이스트리아, 화이트 트러플 서식지 감소
입력 2021.12.01 (12:49)
수정 2021.12.01 (12: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휴양지로 유명한 크로아티아의 이스트리아 반도.
습한 기후와 알칼리성 토양 덕분에 고급 화이트 트러플이 서식할 수 있는 세계에서 몇 안 되는 지역 가운데 하나이기도 합니다.
개의 후각을 이용해 야생 트러플을 찾는 한 트러플 사냥꾼이 땅 속에서 약 20그램 무게의 화이트 트러플을 조심스럽게 캐냅니다.
이곳의 트러플은 올해 킬로그램 당 최대 2,860달러에 거래될 정도로 품질을 인정받았습니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과 강수량과 지하수의 감소 등으로 화이트 트러플 생산량이 급감하고 있습니다.
[뷔카디노빅/이스트라 트러플 사냥꾼 협회 회원 : “우리는 화이트 트러플의 서식지를 보호하고자 합니다. 그래서 더 많이 생산돼서 지역 전체에 이익이 돌아가도록 하길 원하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와 토지 사용 방식에 따라 야생 트러플의 생산 감소는 전 세계적인 추세여서, 서식지 보호를 위한 시급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습한 기후와 알칼리성 토양 덕분에 고급 화이트 트러플이 서식할 수 있는 세계에서 몇 안 되는 지역 가운데 하나이기도 합니다.
개의 후각을 이용해 야생 트러플을 찾는 한 트러플 사냥꾼이 땅 속에서 약 20그램 무게의 화이트 트러플을 조심스럽게 캐냅니다.
이곳의 트러플은 올해 킬로그램 당 최대 2,860달러에 거래될 정도로 품질을 인정받았습니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과 강수량과 지하수의 감소 등으로 화이트 트러플 생산량이 급감하고 있습니다.
[뷔카디노빅/이스트라 트러플 사냥꾼 협회 회원 : “우리는 화이트 트러플의 서식지를 보호하고자 합니다. 그래서 더 많이 생산돼서 지역 전체에 이익이 돌아가도록 하길 원하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와 토지 사용 방식에 따라 야생 트러플의 생산 감소는 전 세계적인 추세여서, 서식지 보호를 위한 시급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스트리아, 화이트 트러플 서식지 감소
-
- 입력 2021-12-01 12:49:01
- 수정2021-12-01 12:54:04

아름다운 휴양지로 유명한 크로아티아의 이스트리아 반도.
습한 기후와 알칼리성 토양 덕분에 고급 화이트 트러플이 서식할 수 있는 세계에서 몇 안 되는 지역 가운데 하나이기도 합니다.
개의 후각을 이용해 야생 트러플을 찾는 한 트러플 사냥꾼이 땅 속에서 약 20그램 무게의 화이트 트러플을 조심스럽게 캐냅니다.
이곳의 트러플은 올해 킬로그램 당 최대 2,860달러에 거래될 정도로 품질을 인정받았습니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과 강수량과 지하수의 감소 등으로 화이트 트러플 생산량이 급감하고 있습니다.
[뷔카디노빅/이스트라 트러플 사냥꾼 협회 회원 : “우리는 화이트 트러플의 서식지를 보호하고자 합니다. 그래서 더 많이 생산돼서 지역 전체에 이익이 돌아가도록 하길 원하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와 토지 사용 방식에 따라 야생 트러플의 생산 감소는 전 세계적인 추세여서, 서식지 보호를 위한 시급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습한 기후와 알칼리성 토양 덕분에 고급 화이트 트러플이 서식할 수 있는 세계에서 몇 안 되는 지역 가운데 하나이기도 합니다.
개의 후각을 이용해 야생 트러플을 찾는 한 트러플 사냥꾼이 땅 속에서 약 20그램 무게의 화이트 트러플을 조심스럽게 캐냅니다.
이곳의 트러플은 올해 킬로그램 당 최대 2,860달러에 거래될 정도로 품질을 인정받았습니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과 강수량과 지하수의 감소 등으로 화이트 트러플 생산량이 급감하고 있습니다.
[뷔카디노빅/이스트라 트러플 사냥꾼 협회 회원 : “우리는 화이트 트러플의 서식지를 보호하고자 합니다. 그래서 더 많이 생산돼서 지역 전체에 이익이 돌아가도록 하길 원하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와 토지 사용 방식에 따라 야생 트러플의 생산 감소는 전 세계적인 추세여서, 서식지 보호를 위한 시급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