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소권 공동 대응 첫발…“‘새만금-전북권’ 전략 구체화하고 속도내야”
입력 2021.12.06 (19:14)
수정 2021.12.06 (19: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광역시가 없어 정부의 초광역 협력 논의에서 소외가 우려되는 전북과 강원, 제주가 강소권 지원 촉구 건의문을 내며 첫 공동 행동에 나섰습니다.
독자 권역화를 인정받기 위해 함께 대응하기로 했는데, 자체 전략과 속도가 중요합니다.
이지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라북도와 강원도, 제주특별자치도, 세 지역 단체장들이 정부 세종청사를 찾았습니다.
균형 발전을 위한 초광역 논의가 광역시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비수도권 간의 또 다른 불균형을 가속화시키고 있다며 강소권 지원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정부에 전달했습니다.
건의문에는 세 지역을 강소권 메가시티로 지정해 정부의 초광역협력 지원에 포함할 것을 담았습니다.
정부 차원의 강소권 전담팀 구성과 다른 초광역협력권과의 동등한 지원 등도 요구했습니다.
[송하진/전라북도지사 : "전북, 강원, 제주를 강소권 메가시티로 지정하고, 다른 메가시티와 동등한 지원을 받는 근거를 마련해서 실질적 균형발전을 실현하자는 요구를 담았습니다."]
세 지역이 공동 협의 기구를 활성화하고 국무조정실과 행정안전부의 지원 전략 논의에도 참여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전라북도의 차별화 전략이 관건입니다.
광역시급의 규모를 갖추기 위해 새만금과 전주, 군산, 익산을 묶어 인구 150만 광역도시 조성 방안을 세웠지만, 구체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성재/전북연구원 연구위원 : "새만금을 중심으로 현재 펼쳐지고 있는 신산업 중심의 어떤 결합, 내부적으로 구심점을 강화시키고…."]
취약한 산업 기반 탓에 독자 강소권 형성에도 한계가 분명합니다.
동서내륙벨트권이나 내륙첨단산업벨트 조성 같이 충청이나 대구·경북 등과 협력하며 규모를 키우는 방안도 고민해야 합니다.
[이성재/전북연구원 연구위원 : "충청권, 대경권, 부울경권, 광주·전남권 이런 전라북도의 지리적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산업부터 문화관광 농업, 환경까지 다양한 분야의 기능적 연계가…."]
앞서 전북을 독자 권역이 아닌, 충청권과 묶겠다는 구상안을 내놓은 여당과도 논의를 통해 일관된 방향을 잡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또 강소권 공동 대응이 용두사미로 끝나지 않도록 견고한 연대와 논리 개발, 지속적인 정부 대응 등도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지현입니다.
촬영기자:김동균
광역시가 없어 정부의 초광역 협력 논의에서 소외가 우려되는 전북과 강원, 제주가 강소권 지원 촉구 건의문을 내며 첫 공동 행동에 나섰습니다.
독자 권역화를 인정받기 위해 함께 대응하기로 했는데, 자체 전략과 속도가 중요합니다.
이지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라북도와 강원도, 제주특별자치도, 세 지역 단체장들이 정부 세종청사를 찾았습니다.
균형 발전을 위한 초광역 논의가 광역시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비수도권 간의 또 다른 불균형을 가속화시키고 있다며 강소권 지원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정부에 전달했습니다.
건의문에는 세 지역을 강소권 메가시티로 지정해 정부의 초광역협력 지원에 포함할 것을 담았습니다.
정부 차원의 강소권 전담팀 구성과 다른 초광역협력권과의 동등한 지원 등도 요구했습니다.
[송하진/전라북도지사 : "전북, 강원, 제주를 강소권 메가시티로 지정하고, 다른 메가시티와 동등한 지원을 받는 근거를 마련해서 실질적 균형발전을 실현하자는 요구를 담았습니다."]
세 지역이 공동 협의 기구를 활성화하고 국무조정실과 행정안전부의 지원 전략 논의에도 참여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전라북도의 차별화 전략이 관건입니다.
광역시급의 규모를 갖추기 위해 새만금과 전주, 군산, 익산을 묶어 인구 150만 광역도시 조성 방안을 세웠지만, 구체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성재/전북연구원 연구위원 : "새만금을 중심으로 현재 펼쳐지고 있는 신산업 중심의 어떤 결합, 내부적으로 구심점을 강화시키고…."]
취약한 산업 기반 탓에 독자 강소권 형성에도 한계가 분명합니다.
동서내륙벨트권이나 내륙첨단산업벨트 조성 같이 충청이나 대구·경북 등과 협력하며 규모를 키우는 방안도 고민해야 합니다.
[이성재/전북연구원 연구위원 : "충청권, 대경권, 부울경권, 광주·전남권 이런 전라북도의 지리적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산업부터 문화관광 농업, 환경까지 다양한 분야의 기능적 연계가…."]
앞서 전북을 독자 권역이 아닌, 충청권과 묶겠다는 구상안을 내놓은 여당과도 논의를 통해 일관된 방향을 잡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또 강소권 공동 대응이 용두사미로 끝나지 않도록 견고한 연대와 논리 개발, 지속적인 정부 대응 등도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지현입니다.
촬영기자:김동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소권 공동 대응 첫발…“‘새만금-전북권’ 전략 구체화하고 속도내야”
-
- 입력 2021-12-06 19:14:11
- 수정2021-12-06 19:54:49
[앵커]
광역시가 없어 정부의 초광역 협력 논의에서 소외가 우려되는 전북과 강원, 제주가 강소권 지원 촉구 건의문을 내며 첫 공동 행동에 나섰습니다.
독자 권역화를 인정받기 위해 함께 대응하기로 했는데, 자체 전략과 속도가 중요합니다.
이지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라북도와 강원도, 제주특별자치도, 세 지역 단체장들이 정부 세종청사를 찾았습니다.
균형 발전을 위한 초광역 논의가 광역시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비수도권 간의 또 다른 불균형을 가속화시키고 있다며 강소권 지원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정부에 전달했습니다.
건의문에는 세 지역을 강소권 메가시티로 지정해 정부의 초광역협력 지원에 포함할 것을 담았습니다.
정부 차원의 강소권 전담팀 구성과 다른 초광역협력권과의 동등한 지원 등도 요구했습니다.
[송하진/전라북도지사 : "전북, 강원, 제주를 강소권 메가시티로 지정하고, 다른 메가시티와 동등한 지원을 받는 근거를 마련해서 실질적 균형발전을 실현하자는 요구를 담았습니다."]
세 지역이 공동 협의 기구를 활성화하고 국무조정실과 행정안전부의 지원 전략 논의에도 참여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전라북도의 차별화 전략이 관건입니다.
광역시급의 규모를 갖추기 위해 새만금과 전주, 군산, 익산을 묶어 인구 150만 광역도시 조성 방안을 세웠지만, 구체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성재/전북연구원 연구위원 : "새만금을 중심으로 현재 펼쳐지고 있는 신산업 중심의 어떤 결합, 내부적으로 구심점을 강화시키고…."]
취약한 산업 기반 탓에 독자 강소권 형성에도 한계가 분명합니다.
동서내륙벨트권이나 내륙첨단산업벨트 조성 같이 충청이나 대구·경북 등과 협력하며 규모를 키우는 방안도 고민해야 합니다.
[이성재/전북연구원 연구위원 : "충청권, 대경권, 부울경권, 광주·전남권 이런 전라북도의 지리적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산업부터 문화관광 농업, 환경까지 다양한 분야의 기능적 연계가…."]
앞서 전북을 독자 권역이 아닌, 충청권과 묶겠다는 구상안을 내놓은 여당과도 논의를 통해 일관된 방향을 잡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또 강소권 공동 대응이 용두사미로 끝나지 않도록 견고한 연대와 논리 개발, 지속적인 정부 대응 등도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지현입니다.
촬영기자:김동균
광역시가 없어 정부의 초광역 협력 논의에서 소외가 우려되는 전북과 강원, 제주가 강소권 지원 촉구 건의문을 내며 첫 공동 행동에 나섰습니다.
독자 권역화를 인정받기 위해 함께 대응하기로 했는데, 자체 전략과 속도가 중요합니다.
이지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라북도와 강원도, 제주특별자치도, 세 지역 단체장들이 정부 세종청사를 찾았습니다.
균형 발전을 위한 초광역 논의가 광역시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비수도권 간의 또 다른 불균형을 가속화시키고 있다며 강소권 지원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정부에 전달했습니다.
건의문에는 세 지역을 강소권 메가시티로 지정해 정부의 초광역협력 지원에 포함할 것을 담았습니다.
정부 차원의 강소권 전담팀 구성과 다른 초광역협력권과의 동등한 지원 등도 요구했습니다.
[송하진/전라북도지사 : "전북, 강원, 제주를 강소권 메가시티로 지정하고, 다른 메가시티와 동등한 지원을 받는 근거를 마련해서 실질적 균형발전을 실현하자는 요구를 담았습니다."]
세 지역이 공동 협의 기구를 활성화하고 국무조정실과 행정안전부의 지원 전략 논의에도 참여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전라북도의 차별화 전략이 관건입니다.
광역시급의 규모를 갖추기 위해 새만금과 전주, 군산, 익산을 묶어 인구 150만 광역도시 조성 방안을 세웠지만, 구체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성재/전북연구원 연구위원 : "새만금을 중심으로 현재 펼쳐지고 있는 신산업 중심의 어떤 결합, 내부적으로 구심점을 강화시키고…."]
취약한 산업 기반 탓에 독자 강소권 형성에도 한계가 분명합니다.
동서내륙벨트권이나 내륙첨단산업벨트 조성 같이 충청이나 대구·경북 등과 협력하며 규모를 키우는 방안도 고민해야 합니다.
[이성재/전북연구원 연구위원 : "충청권, 대경권, 부울경권, 광주·전남권 이런 전라북도의 지리적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산업부터 문화관광 농업, 환경까지 다양한 분야의 기능적 연계가…."]
앞서 전북을 독자 권역이 아닌, 충청권과 묶겠다는 구상안을 내놓은 여당과도 논의를 통해 일관된 방향을 잡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또 강소권 공동 대응이 용두사미로 끝나지 않도록 견고한 연대와 논리 개발, 지속적인 정부 대응 등도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지현입니다.
촬영기자:김동균
-
-
이지현 기자 idl@kbs.co.kr
이지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