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면 등교 중단 첫날…학생·학부모 “앞으로 어떻게 되는 거죠?”
입력 2021.12.20 (19:04)
수정 2021.12.20 (19: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달 22일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에서 전면 등교에 돌입했죠,
4주 만에 다시 원격 수업, 부분 등교가 시작됐습니다.
갑작스러운 전면 등교 중단에 학부모들은 늘어난 보육 부담에 학습 결손까지 걱정이 큽니다.
김혜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중학교.
평소라면 학생들로 채워졌을 교실에 선생님 혼자입니다.
["자 3반, 안녕하세요."]
대신 선생님은 모니터를 통해 학생들을 만납니다.
["그거 말고 또 있을까요 혹시? (어, 8이요.)"]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전면 등교를 중단하고 원격 수업을 병행하기 때문입니다.
[유정근/서울 장위중학교 교장 : "코로나 상황이 우리가 예정됐던 그런 상황대로 흘러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저희는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렇게 바뀌는 수업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준비를 하고 있고요."]
하루 평균 학생 확진자는 전면 등교 시작 당시 하루 375명에서 지난주 844명으로 두배가 넘습니다.
확진자 증가 속에 전면 등교가 약 한 달 만에 중단되면서 학부모들은 학습 공백을 우려합니다.
[중학교 1학년 학부모 : "방학이 얼마 남지도 않았는데 또 이러니까 아이도 힘들어하고. 아이는 학교 가기를 원하거든요. 아이들도 혼란스럽고 수업이 제대로 안 되는 것도 그렇고 많이 걱정이 되죠."]
특히, 부모의 손길이 더 필요한 초등학생을 둔 학부모의 경우 걱정이 더 큽니다.
[초등학교 4학년 학부모 : "전면등교를, 또 갑자기 그만둔다고 하니까 일하는 엄마로서는 사실 기관을 믿고 아이를 보냈는데, 이제는 내가 스스로 어떤 방법을 찾아야 되는 어떤 지경에 이른 것 같아요."]
교육부는 남은 학사 일정 2주 동안 학년 당 이틀 정도만 원격 수업을 하는 꼴이어서 학습 결손 우려가 크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자가 격리와 재택 치료 학생들을 위한 대체 학습자료를 마련해 달라고 교육청과 학교 측에 권고했으며, 방학 중에 학교별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의 경우에 현재 밀집도 기준이 적용된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혜주입니다.
촬영기자:윤재구/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안재우
지난달 22일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에서 전면 등교에 돌입했죠,
4주 만에 다시 원격 수업, 부분 등교가 시작됐습니다.
갑작스러운 전면 등교 중단에 학부모들은 늘어난 보육 부담에 학습 결손까지 걱정이 큽니다.
김혜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중학교.
평소라면 학생들로 채워졌을 교실에 선생님 혼자입니다.
["자 3반, 안녕하세요."]
대신 선생님은 모니터를 통해 학생들을 만납니다.
["그거 말고 또 있을까요 혹시? (어, 8이요.)"]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전면 등교를 중단하고 원격 수업을 병행하기 때문입니다.
[유정근/서울 장위중학교 교장 : "코로나 상황이 우리가 예정됐던 그런 상황대로 흘러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저희는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렇게 바뀌는 수업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준비를 하고 있고요."]
하루 평균 학생 확진자는 전면 등교 시작 당시 하루 375명에서 지난주 844명으로 두배가 넘습니다.
확진자 증가 속에 전면 등교가 약 한 달 만에 중단되면서 학부모들은 학습 공백을 우려합니다.
[중학교 1학년 학부모 : "방학이 얼마 남지도 않았는데 또 이러니까 아이도 힘들어하고. 아이는 학교 가기를 원하거든요. 아이들도 혼란스럽고 수업이 제대로 안 되는 것도 그렇고 많이 걱정이 되죠."]
특히, 부모의 손길이 더 필요한 초등학생을 둔 학부모의 경우 걱정이 더 큽니다.
[초등학교 4학년 학부모 : "전면등교를, 또 갑자기 그만둔다고 하니까 일하는 엄마로서는 사실 기관을 믿고 아이를 보냈는데, 이제는 내가 스스로 어떤 방법을 찾아야 되는 어떤 지경에 이른 것 같아요."]
교육부는 남은 학사 일정 2주 동안 학년 당 이틀 정도만 원격 수업을 하는 꼴이어서 학습 결손 우려가 크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자가 격리와 재택 치료 학생들을 위한 대체 학습자료를 마련해 달라고 교육청과 학교 측에 권고했으며, 방학 중에 학교별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의 경우에 현재 밀집도 기준이 적용된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혜주입니다.
촬영기자:윤재구/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안재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면 등교 중단 첫날…학생·학부모 “앞으로 어떻게 되는 거죠?”
-
- 입력 2021-12-20 19:04:57
- 수정2021-12-20 19:45:39

[앵커]
지난달 22일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에서 전면 등교에 돌입했죠,
4주 만에 다시 원격 수업, 부분 등교가 시작됐습니다.
갑작스러운 전면 등교 중단에 학부모들은 늘어난 보육 부담에 학습 결손까지 걱정이 큽니다.
김혜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중학교.
평소라면 학생들로 채워졌을 교실에 선생님 혼자입니다.
["자 3반, 안녕하세요."]
대신 선생님은 모니터를 통해 학생들을 만납니다.
["그거 말고 또 있을까요 혹시? (어, 8이요.)"]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전면 등교를 중단하고 원격 수업을 병행하기 때문입니다.
[유정근/서울 장위중학교 교장 : "코로나 상황이 우리가 예정됐던 그런 상황대로 흘러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저희는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렇게 바뀌는 수업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준비를 하고 있고요."]
하루 평균 학생 확진자는 전면 등교 시작 당시 하루 375명에서 지난주 844명으로 두배가 넘습니다.
확진자 증가 속에 전면 등교가 약 한 달 만에 중단되면서 학부모들은 학습 공백을 우려합니다.
[중학교 1학년 학부모 : "방학이 얼마 남지도 않았는데 또 이러니까 아이도 힘들어하고. 아이는 학교 가기를 원하거든요. 아이들도 혼란스럽고 수업이 제대로 안 되는 것도 그렇고 많이 걱정이 되죠."]
특히, 부모의 손길이 더 필요한 초등학생을 둔 학부모의 경우 걱정이 더 큽니다.
[초등학교 4학년 학부모 : "전면등교를, 또 갑자기 그만둔다고 하니까 일하는 엄마로서는 사실 기관을 믿고 아이를 보냈는데, 이제는 내가 스스로 어떤 방법을 찾아야 되는 어떤 지경에 이른 것 같아요."]
교육부는 남은 학사 일정 2주 동안 학년 당 이틀 정도만 원격 수업을 하는 꼴이어서 학습 결손 우려가 크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자가 격리와 재택 치료 학생들을 위한 대체 학습자료를 마련해 달라고 교육청과 학교 측에 권고했으며, 방학 중에 학교별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의 경우에 현재 밀집도 기준이 적용된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혜주입니다.
촬영기자:윤재구/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안재우
지난달 22일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에서 전면 등교에 돌입했죠,
4주 만에 다시 원격 수업, 부분 등교가 시작됐습니다.
갑작스러운 전면 등교 중단에 학부모들은 늘어난 보육 부담에 학습 결손까지 걱정이 큽니다.
김혜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중학교.
평소라면 학생들로 채워졌을 교실에 선생님 혼자입니다.
["자 3반, 안녕하세요."]
대신 선생님은 모니터를 통해 학생들을 만납니다.
["그거 말고 또 있을까요 혹시? (어, 8이요.)"]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전면 등교를 중단하고 원격 수업을 병행하기 때문입니다.
[유정근/서울 장위중학교 교장 : "코로나 상황이 우리가 예정됐던 그런 상황대로 흘러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저희는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렇게 바뀌는 수업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준비를 하고 있고요."]
하루 평균 학생 확진자는 전면 등교 시작 당시 하루 375명에서 지난주 844명으로 두배가 넘습니다.
확진자 증가 속에 전면 등교가 약 한 달 만에 중단되면서 학부모들은 학습 공백을 우려합니다.
[중학교 1학년 학부모 : "방학이 얼마 남지도 않았는데 또 이러니까 아이도 힘들어하고. 아이는 학교 가기를 원하거든요. 아이들도 혼란스럽고 수업이 제대로 안 되는 것도 그렇고 많이 걱정이 되죠."]
특히, 부모의 손길이 더 필요한 초등학생을 둔 학부모의 경우 걱정이 더 큽니다.
[초등학교 4학년 학부모 : "전면등교를, 또 갑자기 그만둔다고 하니까 일하는 엄마로서는 사실 기관을 믿고 아이를 보냈는데, 이제는 내가 스스로 어떤 방법을 찾아야 되는 어떤 지경에 이른 것 같아요."]
교육부는 남은 학사 일정 2주 동안 학년 당 이틀 정도만 원격 수업을 하는 꼴이어서 학습 결손 우려가 크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자가 격리와 재택 치료 학생들을 위한 대체 학습자료를 마련해 달라고 교육청과 학교 측에 권고했으며, 방학 중에 학교별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의 경우에 현재 밀집도 기준이 적용된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혜주입니다.
촬영기자:윤재구/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안재우
-
-
김혜주 기자 khj@kbs.co.kr
김혜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