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품 지원도, 상담도 안 돼요”…치료 못 받는 재택치료

입력 2021.12.22 (09:36) 수정 2021.12.22 (09: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집에서 증상이 호전되길 기다리는 재택치료 확진자, 현재 3만 명이 넘는데요.

재택 치료자는 급증하는데, 관리 인력은 역부족이어서 방치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격리 기간 내내 진료를 못 받다가 격리가 해제될 때쯤에야 안내를 받은 경우도 있습니다.

김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코로나19 확진자 김연희 씨는 지난 15일부터 자가 격리를 시작했습니다.

재택치료자는 매일 상태를 체크하도록 돼 있지만 닷새를 기다려도 보건소에서는 전화 한 통 오지 않았습니다.

전화를 걸어도 받지도 않았습니다.

[김연희/재택치료자 : "(보건소에서) 연락이 안 오는 거예요. 한 3일은 너무 아파가지고 어디 얘기할 수가 없는 거예요. 일단 통화가 돼야 하는데 통화가 안 되니까."]

결국 격리해제를 이틀 남기고서야 보건소와 연락이 닿았고, 재택치료를 위한 물품도 그때서야 받았습니다.

[김연희/재택치료자 : "의사하고 통화도 어제, 맞아요. 어제 한 번 했어요. 어제 돼서야 약품이랑 온도계랑 산소포화도, 이거 어제 오면 뭐하겠어요."]

60대 후반 고위험군인 박현임 씨는 12일부터 자가 격리를 했는데, 역시 물품지원과 의료 상담이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일주일 만에 연락이 닿은 상황실에서는 "기다리라"는 말뿐이었습니다.

[박현임/재택 치료자 : "몸 아픈데 연락도 안 되고 뭐 이거 나가지도 못하게 하고, 지금 아파서 병원을 그럼 빨리 보내줄 수 있냐 했더니 기다려야 된다고 하더라고요."]

재택치료 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지자체는 인력이 너무 부족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방역 당국은 아직까진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답변을 내놨습니다.

[정태길/중앙사고수습본부 재택치료기획팀장 : "(재택치료) 관리는 좀 안정적으로 되고 있다고 보고 있고, 지자체별로 건강 모니터링 및 비대면 진료를 수행하고 있는 관리 의료기관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국의 재택치료자는 3만 1,000여 명.

한 주 새 5천 명 넘게 급증했습니다.

방역대책이 효과를 나타내기 전까지 급증세는 한동안 계속될 전망입니다.

정부는 전국의 보건소에 인력 2천여 명을 한시적으로 투입해 재택치료자 관리 등 업무를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도영입니다.

촬영기자:김준우/영상편집:박상규/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물품 지원도, 상담도 안 돼요”…치료 못 받는 재택치료
    • 입력 2021-12-22 09:36:41
    • 수정2021-12-22 09:41:48
    930뉴스
[앵커]

집에서 증상이 호전되길 기다리는 재택치료 확진자, 현재 3만 명이 넘는데요.

재택 치료자는 급증하는데, 관리 인력은 역부족이어서 방치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격리 기간 내내 진료를 못 받다가 격리가 해제될 때쯤에야 안내를 받은 경우도 있습니다.

김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코로나19 확진자 김연희 씨는 지난 15일부터 자가 격리를 시작했습니다.

재택치료자는 매일 상태를 체크하도록 돼 있지만 닷새를 기다려도 보건소에서는 전화 한 통 오지 않았습니다.

전화를 걸어도 받지도 않았습니다.

[김연희/재택치료자 : "(보건소에서) 연락이 안 오는 거예요. 한 3일은 너무 아파가지고 어디 얘기할 수가 없는 거예요. 일단 통화가 돼야 하는데 통화가 안 되니까."]

결국 격리해제를 이틀 남기고서야 보건소와 연락이 닿았고, 재택치료를 위한 물품도 그때서야 받았습니다.

[김연희/재택치료자 : "의사하고 통화도 어제, 맞아요. 어제 한 번 했어요. 어제 돼서야 약품이랑 온도계랑 산소포화도, 이거 어제 오면 뭐하겠어요."]

60대 후반 고위험군인 박현임 씨는 12일부터 자가 격리를 했는데, 역시 물품지원과 의료 상담이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일주일 만에 연락이 닿은 상황실에서는 "기다리라"는 말뿐이었습니다.

[박현임/재택 치료자 : "몸 아픈데 연락도 안 되고 뭐 이거 나가지도 못하게 하고, 지금 아파서 병원을 그럼 빨리 보내줄 수 있냐 했더니 기다려야 된다고 하더라고요."]

재택치료 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지자체는 인력이 너무 부족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방역 당국은 아직까진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답변을 내놨습니다.

[정태길/중앙사고수습본부 재택치료기획팀장 : "(재택치료) 관리는 좀 안정적으로 되고 있다고 보고 있고, 지자체별로 건강 모니터링 및 비대면 진료를 수행하고 있는 관리 의료기관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국의 재택치료자는 3만 1,000여 명.

한 주 새 5천 명 넘게 급증했습니다.

방역대책이 효과를 나타내기 전까지 급증세는 한동안 계속될 전망입니다.

정부는 전국의 보건소에 인력 2천여 명을 한시적으로 투입해 재택치료자 관리 등 업무를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도영입니다.

촬영기자:김준우/영상편집:박상규/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