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불확실성 여전…‘오미크론·인플레’에 달렸다

입력 2022.01.01 (06:52) 수정 2022.01.01 (08: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2021년) 세계 경제는 백신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시작됐지만, 예상치 못한 전 세계적인 공급망 혼란과 인플레이션으로 큰 혼란을 겪었습니다.

올해(2022년) 역시 이런 불확실성은 지속이 될텐데, 특히 '오미크론' 확산세와 '인플레이션' 지속 여부가 경기의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G2, 미국과 중국 현지 특파원 차례로 연결해 올해 세계 경제 전망해보겠습니다.

먼저 뉴욕 연결합니다.

한보경 특파원, 지난해 미국 경제가 완전한 회복세로 접어들면서부터 세계 경제 초미의 관심은 바로 미국의 금리 인상 시점이었습니다.

미국이 올해는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죠?

[기자]

네, 우선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는 올해 3차례 기준 금리 인상을 시사했는데, 제로 수준의 미국 금리가 본격적으로 인상되면 금리 높은 미국으로 돈이 빠져나가면서 세계 금융시장, 특히 신흥국이 큰 충격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긴장하는 거구 일부 신흥국들은 지난해 선제적으로 금리를 올리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도 그런 경우구요.

여기에다 미국이 무제한 풀던 돈줄을 죄기 시작하면 자산 시장에선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될 우려가 있습니다.

뉴욕증시 주요지수들은 코로나19 사태 초기인 재작년 3월 대비 지금까지 모두 100% 안팎씩 상승했습니다.

때문에 자산시장 거품이 꺼질 거라는 경고가 나오고는 있지만, 연준이 금리인상 예고하고, 오미크론 변이 폭증해도 뉴욕증시, 계속해서 우상향하고 있습니다.

[앵커]

연준이 긴축 강도 세게 나가겠다고 하는 건 결국 인플레이션에 강력하게 대응하겠다는 의지로 봐야겠죠?

[기자]

맞습니다.

지난해 미국 경제 최대 리스크, 인플레이션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원유값을 비롯한 각종 원자재값 상승에 세계적인 공급망 대란까지 겹치면서 미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6.8%까지 치솟으며 거의 4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연준은 공급망 문제가 풀리면서 올해 물가 상승률은 2% 대로 내려갈 거라고 전망했는데, 장담은 못하겠다면서 '오미크론'에 달려 있다고 했습니다.

누구나 예상 가능한 최악의 시나리오.

오미크론 폭증으로 세계 각국이 다시 봉쇄 들어가서 공급망 문제 해결 안되고 인플레이션 지속돼 경기 회복세 둔화되는 겁니다.

최상의 시나리오는 오미크론 사태가 금방 진정돼, 소비 중심의 미국 경제가 잘 돌아가고, 결과적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수출 중심 국가들까지 견고한 성장세 이어가는 겁니다.

하지만, 현재로서 확실한 건 이 모든 게 다 불확실하다는 겁니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불확실성 여전…‘오미크론·인플레’에 달렸다
    • 입력 2022-01-01 06:52:04
    • 수정2022-01-01 08:36:33
    뉴스광장 1부
[앵커]

지난해(2021년) 세계 경제는 백신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시작됐지만, 예상치 못한 전 세계적인 공급망 혼란과 인플레이션으로 큰 혼란을 겪었습니다.

올해(2022년) 역시 이런 불확실성은 지속이 될텐데, 특히 '오미크론' 확산세와 '인플레이션' 지속 여부가 경기의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G2, 미국과 중국 현지 특파원 차례로 연결해 올해 세계 경제 전망해보겠습니다.

먼저 뉴욕 연결합니다.

한보경 특파원, 지난해 미국 경제가 완전한 회복세로 접어들면서부터 세계 경제 초미의 관심은 바로 미국의 금리 인상 시점이었습니다.

미국이 올해는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죠?

[기자]

네, 우선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는 올해 3차례 기준 금리 인상을 시사했는데, 제로 수준의 미국 금리가 본격적으로 인상되면 금리 높은 미국으로 돈이 빠져나가면서 세계 금융시장, 특히 신흥국이 큰 충격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긴장하는 거구 일부 신흥국들은 지난해 선제적으로 금리를 올리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도 그런 경우구요.

여기에다 미국이 무제한 풀던 돈줄을 죄기 시작하면 자산 시장에선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될 우려가 있습니다.

뉴욕증시 주요지수들은 코로나19 사태 초기인 재작년 3월 대비 지금까지 모두 100% 안팎씩 상승했습니다.

때문에 자산시장 거품이 꺼질 거라는 경고가 나오고는 있지만, 연준이 금리인상 예고하고, 오미크론 변이 폭증해도 뉴욕증시, 계속해서 우상향하고 있습니다.

[앵커]

연준이 긴축 강도 세게 나가겠다고 하는 건 결국 인플레이션에 강력하게 대응하겠다는 의지로 봐야겠죠?

[기자]

맞습니다.

지난해 미국 경제 최대 리스크, 인플레이션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원유값을 비롯한 각종 원자재값 상승에 세계적인 공급망 대란까지 겹치면서 미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6.8%까지 치솟으며 거의 4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연준은 공급망 문제가 풀리면서 올해 물가 상승률은 2% 대로 내려갈 거라고 전망했는데, 장담은 못하겠다면서 '오미크론'에 달려 있다고 했습니다.

누구나 예상 가능한 최악의 시나리오.

오미크론 폭증으로 세계 각국이 다시 봉쇄 들어가서 공급망 문제 해결 안되고 인플레이션 지속돼 경기 회복세 둔화되는 겁니다.

최상의 시나리오는 오미크론 사태가 금방 진정돼, 소비 중심의 미국 경제가 잘 돌아가고, 결과적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수출 중심 국가들까지 견고한 성장세 이어가는 겁니다.

하지만, 현재로서 확실한 건 이 모든 게 다 불확실하다는 겁니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