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화상병 확산 비상…코로나19처럼 조기 진단
입력 2022.01.11 (21:47)
수정 2022.01.11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과수화상병은 한 번 발생하면 농사를 포기해야 할 정도로 농가 피해가 막심한데요,
코로나19처럼 감염 여부를 조기 진단하는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감염된 나무만 골라 미리 제거하면 피해도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나뭇잎이 불에 탄 듯 진한 갈색으로 말라 죽었습니다.
한쪽에서는 굴착기로 땅을 파고 나무들을 파묻습니다.
치료제가 없어 과수의 구제역으로 불리는 과수화상병 감염 나무들입니다.
지난해에만 전국에서 618개 농가, 289ha에서 발생해 과수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줬습니다.
[임대순/배 재배 농민 : "이거는 한 번 걸리면 나무를 다 묻어야 하니까, 전부다. 그래서 이게 굉장히 걱정이 큽니다."]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실시간 유전자 진단기입니다.
과수화상병 잠복이 의심되는 과수나무 궤양을 잘라 진단기에 넣습니다.
1시간 정도 기다리자 과수화상병 감염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나타납니다.
이 진단기로 발병 나무를 확인해 미리 제거하면 다른 나무로의 확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서효원/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장 : "지난해 과수화상병이 발생한 과원을 중심으로 현장에서 정밀 진단해 사전 방제를 철저히 할 계획입니다."]
꼭 과수화상병이 아니라도 과수나무에 발생하는 궤양은 병균이 휴면하는 겨울철에 미리 제거하는 게 좋습니다.
[송장훈/농촌진흥청 연구관 : "궤양은 여러 병원균의 잠복처가 되기 때문에 미리 제거해주는 것이 병 예방에 좋습니다."]
2015년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과수화상병은 해마다 피해 면적이 늘고 있어 조기 대처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촬영기자:홍순용
과수화상병은 한 번 발생하면 농사를 포기해야 할 정도로 농가 피해가 막심한데요,
코로나19처럼 감염 여부를 조기 진단하는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감염된 나무만 골라 미리 제거하면 피해도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나뭇잎이 불에 탄 듯 진한 갈색으로 말라 죽었습니다.
한쪽에서는 굴착기로 땅을 파고 나무들을 파묻습니다.
치료제가 없어 과수의 구제역으로 불리는 과수화상병 감염 나무들입니다.
지난해에만 전국에서 618개 농가, 289ha에서 발생해 과수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줬습니다.
[임대순/배 재배 농민 : "이거는 한 번 걸리면 나무를 다 묻어야 하니까, 전부다. 그래서 이게 굉장히 걱정이 큽니다."]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실시간 유전자 진단기입니다.
과수화상병 잠복이 의심되는 과수나무 궤양을 잘라 진단기에 넣습니다.
1시간 정도 기다리자 과수화상병 감염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나타납니다.
이 진단기로 발병 나무를 확인해 미리 제거하면 다른 나무로의 확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서효원/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장 : "지난해 과수화상병이 발생한 과원을 중심으로 현장에서 정밀 진단해 사전 방제를 철저히 할 계획입니다."]
꼭 과수화상병이 아니라도 과수나무에 발생하는 궤양은 병균이 휴면하는 겨울철에 미리 제거하는 게 좋습니다.
[송장훈/농촌진흥청 연구관 : "궤양은 여러 병원균의 잠복처가 되기 때문에 미리 제거해주는 것이 병 예방에 좋습니다."]
2015년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과수화상병은 해마다 피해 면적이 늘고 있어 조기 대처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촬영기자:홍순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과수화상병 확산 비상…코로나19처럼 조기 진단
-
- 입력 2022-01-11 21:47:07
- 수정2022-01-11 22:02:12
[앵커]
과수화상병은 한 번 발생하면 농사를 포기해야 할 정도로 농가 피해가 막심한데요,
코로나19처럼 감염 여부를 조기 진단하는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감염된 나무만 골라 미리 제거하면 피해도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나뭇잎이 불에 탄 듯 진한 갈색으로 말라 죽었습니다.
한쪽에서는 굴착기로 땅을 파고 나무들을 파묻습니다.
치료제가 없어 과수의 구제역으로 불리는 과수화상병 감염 나무들입니다.
지난해에만 전국에서 618개 농가, 289ha에서 발생해 과수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줬습니다.
[임대순/배 재배 농민 : "이거는 한 번 걸리면 나무를 다 묻어야 하니까, 전부다. 그래서 이게 굉장히 걱정이 큽니다."]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실시간 유전자 진단기입니다.
과수화상병 잠복이 의심되는 과수나무 궤양을 잘라 진단기에 넣습니다.
1시간 정도 기다리자 과수화상병 감염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나타납니다.
이 진단기로 발병 나무를 확인해 미리 제거하면 다른 나무로의 확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서효원/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장 : "지난해 과수화상병이 발생한 과원을 중심으로 현장에서 정밀 진단해 사전 방제를 철저히 할 계획입니다."]
꼭 과수화상병이 아니라도 과수나무에 발생하는 궤양은 병균이 휴면하는 겨울철에 미리 제거하는 게 좋습니다.
[송장훈/농촌진흥청 연구관 : "궤양은 여러 병원균의 잠복처가 되기 때문에 미리 제거해주는 것이 병 예방에 좋습니다."]
2015년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과수화상병은 해마다 피해 면적이 늘고 있어 조기 대처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촬영기자:홍순용
과수화상병은 한 번 발생하면 농사를 포기해야 할 정도로 농가 피해가 막심한데요,
코로나19처럼 감염 여부를 조기 진단하는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감염된 나무만 골라 미리 제거하면 피해도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나뭇잎이 불에 탄 듯 진한 갈색으로 말라 죽었습니다.
한쪽에서는 굴착기로 땅을 파고 나무들을 파묻습니다.
치료제가 없어 과수의 구제역으로 불리는 과수화상병 감염 나무들입니다.
지난해에만 전국에서 618개 농가, 289ha에서 발생해 과수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줬습니다.
[임대순/배 재배 농민 : "이거는 한 번 걸리면 나무를 다 묻어야 하니까, 전부다. 그래서 이게 굉장히 걱정이 큽니다."]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실시간 유전자 진단기입니다.
과수화상병 잠복이 의심되는 과수나무 궤양을 잘라 진단기에 넣습니다.
1시간 정도 기다리자 과수화상병 감염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나타납니다.
이 진단기로 발병 나무를 확인해 미리 제거하면 다른 나무로의 확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서효원/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장 : "지난해 과수화상병이 발생한 과원을 중심으로 현장에서 정밀 진단해 사전 방제를 철저히 할 계획입니다."]
꼭 과수화상병이 아니라도 과수나무에 발생하는 궤양은 병균이 휴면하는 겨울철에 미리 제거하는 게 좋습니다.
[송장훈/농촌진흥청 연구관 : "궤양은 여러 병원균의 잠복처가 되기 때문에 미리 제거해주는 것이 병 예방에 좋습니다."]
2015년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과수화상병은 해마다 피해 면적이 늘고 있어 조기 대처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촬영기자:홍순용
-
-
황정환 기자 baram@kbs.co.kr
황정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