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시 대담] 제주 의료체계 개선, 어떻게 해야 하나?

입력 2022.02.08 (19:31) 수정 2022.02.08 (19: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KBS는 신년기획 주목K를 통해 제주지역 의료체계 실태와 과제, 대안을 짚어보고 있는데요.

특히 중증치료를 위해 원정 진료까지 떠나야 하는 도민들의 고충을 해소하기 위해 도내 상급종합병원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7시 대담에서는 세 차례에 걸쳐 이 문제를 다뤄보는데요.

오늘은 송병철 제주대병원장과 자세한 이야기 나눠봅니다.

안녕하세요?

제주대병원이 올해 21주년을 맞았습니다만, 코로나19 확산세로 어느 때보다 바쁜 상황인걸로 압니다.

관련 진료상황은 어떻습니까?

[앵커]

자, 중증진료를 위해 아픈 몸으로 원정 진료까지 가야 하는 도민의 고충을 이 시간을 통해 보도해드렸는데요.

제주지역 의료인으로써 이러한 실정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그래서 제주대병원에서 상급종합병원을 준비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상급종합병원이 왜 필요한 거죠?

[앵커]

상급종합병원이란 용어가 아직은 생소한 분들이 많아요.

제주대병원이면 상급종합병원 아닌가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지금의 제주대병원과 어떤 차이가 있는 건가요?

[앵커]

현재 제주대학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많죠.

그런데 의료인력 유출로 의사들이 자주 바뀌어서 불편하다는 목소리도 있어요.

자연스레 제주대병원의 과제이자 상급종합병원을 준비하는 이유가 되는 건가요?

[앵커]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되려면 지금 제주대병원 상황보다 인력과 장비, 시설, 교육 등 모든 면에서 보강이 필요하다는 건데, 어떤 준비를 하고 있나요?

[앵커]

평가는 보건복지부에서 해 3년에 한 번씩 상급종합병원을 지정한다고 들었습니다.

제주대병원의 상급종합병원 지정 시기 목표는 언제로 계획하고 계신가요?

[앵커]

평가 대목을 봤더니, 평가 권역에서 제주가 서울권으로 돼 있더라고요.

그럼 서울지역 병원들과 경쟁해야 한다는 건가요?

[앵커]

제주가 왜 서울 권역인지 쉽게 이해되지 않는데요?

[앵커]

이런 상황에서도 제주에 상급종합병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는 커지고 있습니다.

병원 자체 노력도 필요하지만, 지역사회의 도움도 필요하겠죠?

[앵커]

아직도 많은 도민께서는 지역 의료 신뢰성에 대해 의문을 가지시고 계세요.

제주지역 의료체계 개선을 위한 조언을 해주신다면요?

[앵커]

끝으로 도민께 전하고 싶은 말씀 있다면요?

[앵커]

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7시 대담] 제주 의료체계 개선, 어떻게 해야 하나?
    • 입력 2022-02-08 19:31:11
    • 수정2022-02-08 19:53:26
    뉴스7(제주)
[앵커]

KBS는 신년기획 주목K를 통해 제주지역 의료체계 실태와 과제, 대안을 짚어보고 있는데요.

특히 중증치료를 위해 원정 진료까지 떠나야 하는 도민들의 고충을 해소하기 위해 도내 상급종합병원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7시 대담에서는 세 차례에 걸쳐 이 문제를 다뤄보는데요.

오늘은 송병철 제주대병원장과 자세한 이야기 나눠봅니다.

안녕하세요?

제주대병원이 올해 21주년을 맞았습니다만, 코로나19 확산세로 어느 때보다 바쁜 상황인걸로 압니다.

관련 진료상황은 어떻습니까?

[앵커]

자, 중증진료를 위해 아픈 몸으로 원정 진료까지 가야 하는 도민의 고충을 이 시간을 통해 보도해드렸는데요.

제주지역 의료인으로써 이러한 실정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그래서 제주대병원에서 상급종합병원을 준비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상급종합병원이 왜 필요한 거죠?

[앵커]

상급종합병원이란 용어가 아직은 생소한 분들이 많아요.

제주대병원이면 상급종합병원 아닌가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지금의 제주대병원과 어떤 차이가 있는 건가요?

[앵커]

현재 제주대학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많죠.

그런데 의료인력 유출로 의사들이 자주 바뀌어서 불편하다는 목소리도 있어요.

자연스레 제주대병원의 과제이자 상급종합병원을 준비하는 이유가 되는 건가요?

[앵커]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되려면 지금 제주대병원 상황보다 인력과 장비, 시설, 교육 등 모든 면에서 보강이 필요하다는 건데, 어떤 준비를 하고 있나요?

[앵커]

평가는 보건복지부에서 해 3년에 한 번씩 상급종합병원을 지정한다고 들었습니다.

제주대병원의 상급종합병원 지정 시기 목표는 언제로 계획하고 계신가요?

[앵커]

평가 대목을 봤더니, 평가 권역에서 제주가 서울권으로 돼 있더라고요.

그럼 서울지역 병원들과 경쟁해야 한다는 건가요?

[앵커]

제주가 왜 서울 권역인지 쉽게 이해되지 않는데요?

[앵커]

이런 상황에서도 제주에 상급종합병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는 커지고 있습니다.

병원 자체 노력도 필요하지만, 지역사회의 도움도 필요하겠죠?

[앵커]

아직도 많은 도민께서는 지역 의료 신뢰성에 대해 의문을 가지시고 계세요.

제주지역 의료체계 개선을 위한 조언을 해주신다면요?

[앵커]

끝으로 도민께 전하고 싶은 말씀 있다면요?

[앵커]

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