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빈곤층 첫 실태 조사…“아파도 병원 못 가”
입력 2022.02.09 (07:57)
수정 2022.02.09 (08: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울산 인구의 3%가 넘는 빈곤계층의 생활 실태에 관한 첫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아파도 병원에 가지 못하고, 복지 제도에 대한 정보가 없어 정책 지원을 받지 못하는 등의 사각지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울산연구원의 조사 결과를 이이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기준, 울산의 저소득 빈곤층은 약 4만 명.
울산 인구의 3.5%에 달합니다.
이들의 생활에 대한 첫 실태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눈에 띄는 건 의료서비스와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부분.
2백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39%가 "의료서비스가 필요했지만, 못 간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수급자와 비수급자 모두 "경제적 이유"를 원인으로 꼽았는데, 특히 수급 가구의 경우, "돌봄이 필요한 가구원이 있어서"라는 특징적인 응답이 나왔습니다.
사회보장제도와 관련해선 대상자 절반가량이 "신청하더라도 선정되지 못할 거란 공무원 답변" 때문에 '중도 포기'했다고 답했습니다.
탈락 사유의 43%는 "부양의무자의 소득이나 재산 기준이 높아서"였습니다.
정부 차원에서 부양의무제를 완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보장받지 못하는 빈곤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백지숙/북구사회복지관 과장 : "소득분위에 있어서 높게 나타나지만 실질적으로 일상생활 유지가 어려운 분들이 굉장히 많으세요. 이런 분들을 어떻게 분류를 해서…."]
특히, 일자리에 대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46%가 "일할 생각이 있지만, 개인적 여건으로 할 수 없다"고 답한 가운데, 상대적으로 비수급 가구의 근로 희망 욕구가 높게 나왔습니다.
수급자와 경제적으로 유사한 비수급 계층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윤형/울산연구원 연구위원 : "민간과 공공의 영역을 연계시켜줄 수 있는 신청 창구, 상담 창구가 많이 다양화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울산시는 이번 저소득 빈곤층에 대한 첫 실태 조사 결과를 앞으로 마련될 '울산형 기초생계지원제도'에 반영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김근영
울산 인구의 3%가 넘는 빈곤계층의 생활 실태에 관한 첫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아파도 병원에 가지 못하고, 복지 제도에 대한 정보가 없어 정책 지원을 받지 못하는 등의 사각지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울산연구원의 조사 결과를 이이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기준, 울산의 저소득 빈곤층은 약 4만 명.
울산 인구의 3.5%에 달합니다.
이들의 생활에 대한 첫 실태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눈에 띄는 건 의료서비스와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부분.
2백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39%가 "의료서비스가 필요했지만, 못 간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수급자와 비수급자 모두 "경제적 이유"를 원인으로 꼽았는데, 특히 수급 가구의 경우, "돌봄이 필요한 가구원이 있어서"라는 특징적인 응답이 나왔습니다.
사회보장제도와 관련해선 대상자 절반가량이 "신청하더라도 선정되지 못할 거란 공무원 답변" 때문에 '중도 포기'했다고 답했습니다.
탈락 사유의 43%는 "부양의무자의 소득이나 재산 기준이 높아서"였습니다.
정부 차원에서 부양의무제를 완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보장받지 못하는 빈곤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백지숙/북구사회복지관 과장 : "소득분위에 있어서 높게 나타나지만 실질적으로 일상생활 유지가 어려운 분들이 굉장히 많으세요. 이런 분들을 어떻게 분류를 해서…."]
특히, 일자리에 대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46%가 "일할 생각이 있지만, 개인적 여건으로 할 수 없다"고 답한 가운데, 상대적으로 비수급 가구의 근로 희망 욕구가 높게 나왔습니다.
수급자와 경제적으로 유사한 비수급 계층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윤형/울산연구원 연구위원 : "민간과 공공의 영역을 연계시켜줄 수 있는 신청 창구, 상담 창구가 많이 다양화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울산시는 이번 저소득 빈곤층에 대한 첫 실태 조사 결과를 앞으로 마련될 '울산형 기초생계지원제도'에 반영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김근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울산 빈곤층 첫 실태 조사…“아파도 병원 못 가”
-
- 입력 2022-02-09 07:56:59
- 수정2022-02-09 08:15:39

[앵커]
울산 인구의 3%가 넘는 빈곤계층의 생활 실태에 관한 첫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아파도 병원에 가지 못하고, 복지 제도에 대한 정보가 없어 정책 지원을 받지 못하는 등의 사각지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울산연구원의 조사 결과를 이이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기준, 울산의 저소득 빈곤층은 약 4만 명.
울산 인구의 3.5%에 달합니다.
이들의 생활에 대한 첫 실태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눈에 띄는 건 의료서비스와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부분.
2백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39%가 "의료서비스가 필요했지만, 못 간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수급자와 비수급자 모두 "경제적 이유"를 원인으로 꼽았는데, 특히 수급 가구의 경우, "돌봄이 필요한 가구원이 있어서"라는 특징적인 응답이 나왔습니다.
사회보장제도와 관련해선 대상자 절반가량이 "신청하더라도 선정되지 못할 거란 공무원 답변" 때문에 '중도 포기'했다고 답했습니다.
탈락 사유의 43%는 "부양의무자의 소득이나 재산 기준이 높아서"였습니다.
정부 차원에서 부양의무제를 완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보장받지 못하는 빈곤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백지숙/북구사회복지관 과장 : "소득분위에 있어서 높게 나타나지만 실질적으로 일상생활 유지가 어려운 분들이 굉장히 많으세요. 이런 분들을 어떻게 분류를 해서…."]
특히, 일자리에 대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46%가 "일할 생각이 있지만, 개인적 여건으로 할 수 없다"고 답한 가운데, 상대적으로 비수급 가구의 근로 희망 욕구가 높게 나왔습니다.
수급자와 경제적으로 유사한 비수급 계층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윤형/울산연구원 연구위원 : "민간과 공공의 영역을 연계시켜줄 수 있는 신청 창구, 상담 창구가 많이 다양화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울산시는 이번 저소득 빈곤층에 대한 첫 실태 조사 결과를 앞으로 마련될 '울산형 기초생계지원제도'에 반영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김근영
울산 인구의 3%가 넘는 빈곤계층의 생활 실태에 관한 첫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아파도 병원에 가지 못하고, 복지 제도에 대한 정보가 없어 정책 지원을 받지 못하는 등의 사각지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울산연구원의 조사 결과를 이이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기준, 울산의 저소득 빈곤층은 약 4만 명.
울산 인구의 3.5%에 달합니다.
이들의 생활에 대한 첫 실태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눈에 띄는 건 의료서비스와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부분.
2백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39%가 "의료서비스가 필요했지만, 못 간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수급자와 비수급자 모두 "경제적 이유"를 원인으로 꼽았는데, 특히 수급 가구의 경우, "돌봄이 필요한 가구원이 있어서"라는 특징적인 응답이 나왔습니다.
사회보장제도와 관련해선 대상자 절반가량이 "신청하더라도 선정되지 못할 거란 공무원 답변" 때문에 '중도 포기'했다고 답했습니다.
탈락 사유의 43%는 "부양의무자의 소득이나 재산 기준이 높아서"였습니다.
정부 차원에서 부양의무제를 완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보장받지 못하는 빈곤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백지숙/북구사회복지관 과장 : "소득분위에 있어서 높게 나타나지만 실질적으로 일상생활 유지가 어려운 분들이 굉장히 많으세요. 이런 분들을 어떻게 분류를 해서…."]
특히, 일자리에 대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46%가 "일할 생각이 있지만, 개인적 여건으로 할 수 없다"고 답한 가운데, 상대적으로 비수급 가구의 근로 희망 욕구가 높게 나왔습니다.
수급자와 경제적으로 유사한 비수급 계층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윤형/울산연구원 연구위원 : "민간과 공공의 영역을 연계시켜줄 수 있는 신청 창구, 상담 창구가 많이 다양화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울산시는 이번 저소득 빈곤층에 대한 첫 실태 조사 결과를 앞으로 마련될 '울산형 기초생계지원제도'에 반영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김근영
-
-
이이슬 기자 eslee31@kbs.co.kr
이이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