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소멸은 없다]② “주민등록 위주 인구 정책 탈피해야”

입력 2022.02.24 (21:55) 수정 2022.02.24 (2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농촌이 처한 현실을 진단하고,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KBS 충북이 마련한 연속기획 두 번째 순서입니다.

자치단체마다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파격적인 출산 장려금에 내 고향 주소 갖기 운동 등 유인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그때뿐이었죠.

때문에 주민 등록 위주의 인구 정책에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보도에 이만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학에서 건축을 가르치고 있는 김승근 교수.

7년 전, 방치돼 있던 시골 외갓집을 새로 단장했습니다.

70년 된 대들보에서 서까래까지, 외조부의 손길을 거친 옛 집의 구조물을 그대로 살리며, 직접 수리했습니다.

평일에는 시내 아파트에서, 주말이나 휴일엔 이곳에서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김승근/청주시 문의면 : "상수원 보호구역이기 때문에 오히려 많은 것이 훼손되지 않고 오롯이 농촌의 풍경, 또 농촌이 갖고 있는 여러 가치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는 것에 큰 장점이 있었고요."]

김시동 씨도 4개월 전 고향 마을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고교 진학과 함께 시작된 긴 세월의 객지 생활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더욱 사무치게 했습니다.

도심의 본가와는 불과 자동차로 20~30분 거리인 데다, 멀지 않은 곳에서 의료와 문화, 상업 시설을 쉽게 이용할 수 있어, 큰 불편함 없이 지내고 있습니다.

[김시동/청주시 문의면 : "일단 생활하기가 편하죠. 제가 일이 있으면 금방 한 25분이면 청주 시내에서 일을 볼 수 있고…."]

이처럼 주 거주지를 옮기지 않고, 농촌 지역에 임시 거처를 두거나 지속적으로 농촌 지역과 교류하는 '관계 인구'가 새롭게 부상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일회성 방문인 '관광'보다는 지역 사회에 관여도가 높고, 삶의 근거지를 옮겨야 하는 '귀농·귀촌' 등 '정주'보다는 가벼운 개념입니다.

이들은 비록 외지나 도심 지역에 거주하거나 법적 주소지를 두고 있지만, 농촌 지역 내 자생적 생태계를 지탱하는 지역 구성원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한 연구 기관이 지난해 국내 '관계 인구' 규모를 추산하기 위해, 도시 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9.3%가 이에 해당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성주인/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유동 인구 자체가 늘어난다는 것은 지역에서 여러 가지 새로운 기회가 창출될 수 있다는 것을 얘기하고요. 농촌 지역에서 지역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자원이 되는 거죠)."]

때문에 주민 등록상, 인구 늘리기 등 '정주 인구' 위주의 정책보다는, 다양화된 삶의 방식에 맞춘 인구 정책으로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만영입니다.

촬영기자:최영준/그래픽:정슬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농촌, 소멸은 없다]② “주민등록 위주 인구 정책 탈피해야”
    • 입력 2022-02-24 21:55:24
    • 수정2022-02-24 22:12:01
    뉴스9(청주)
[앵커]

농촌이 처한 현실을 진단하고,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KBS 충북이 마련한 연속기획 두 번째 순서입니다.

자치단체마다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파격적인 출산 장려금에 내 고향 주소 갖기 운동 등 유인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그때뿐이었죠.

때문에 주민 등록 위주의 인구 정책에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보도에 이만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학에서 건축을 가르치고 있는 김승근 교수.

7년 전, 방치돼 있던 시골 외갓집을 새로 단장했습니다.

70년 된 대들보에서 서까래까지, 외조부의 손길을 거친 옛 집의 구조물을 그대로 살리며, 직접 수리했습니다.

평일에는 시내 아파트에서, 주말이나 휴일엔 이곳에서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김승근/청주시 문의면 : "상수원 보호구역이기 때문에 오히려 많은 것이 훼손되지 않고 오롯이 농촌의 풍경, 또 농촌이 갖고 있는 여러 가치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는 것에 큰 장점이 있었고요."]

김시동 씨도 4개월 전 고향 마을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고교 진학과 함께 시작된 긴 세월의 객지 생활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더욱 사무치게 했습니다.

도심의 본가와는 불과 자동차로 20~30분 거리인 데다, 멀지 않은 곳에서 의료와 문화, 상업 시설을 쉽게 이용할 수 있어, 큰 불편함 없이 지내고 있습니다.

[김시동/청주시 문의면 : "일단 생활하기가 편하죠. 제가 일이 있으면 금방 한 25분이면 청주 시내에서 일을 볼 수 있고…."]

이처럼 주 거주지를 옮기지 않고, 농촌 지역에 임시 거처를 두거나 지속적으로 농촌 지역과 교류하는 '관계 인구'가 새롭게 부상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일회성 방문인 '관광'보다는 지역 사회에 관여도가 높고, 삶의 근거지를 옮겨야 하는 '귀농·귀촌' 등 '정주'보다는 가벼운 개념입니다.

이들은 비록 외지나 도심 지역에 거주하거나 법적 주소지를 두고 있지만, 농촌 지역 내 자생적 생태계를 지탱하는 지역 구성원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한 연구 기관이 지난해 국내 '관계 인구' 규모를 추산하기 위해, 도시 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9.3%가 이에 해당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성주인/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유동 인구 자체가 늘어난다는 것은 지역에서 여러 가지 새로운 기회가 창출될 수 있다는 것을 얘기하고요. 농촌 지역에서 지역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자원이 되는 거죠)."]

때문에 주민 등록상, 인구 늘리기 등 '정주 인구' 위주의 정책보다는, 다양화된 삶의 방식에 맞춘 인구 정책으로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만영입니다.

촬영기자:최영준/그래픽:정슬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