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각 산불 상황과 바람 전망은?

입력 2022.03.09 (06:17) 수정 2022.03.09 (13: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KBS 재난미디어센터 연결해 이 시각 산불 상황과 산불 진화의 주요 변수인 바람 전망 알아보겠습니다.

이정훈 기자!

다행히 강릉-동해 산불은 큰 불길이 잡혔는데, 이제 울진 산불이 걱정입니다.

진화, 어느 정도나 진척이 있습니까?

[기자]

네, 산림청이 제공하는 '산불 상황도'를 통해 울진 산불 상황 자세히 보겠습니다.

붉은 선은 아직 불길이 남은 구간이고요.

노란 선은 큰 불길은 잡은 곳입니다.

보시면 울진읍을 비롯해 해안가는 거의 진화가 완료됐는데, 서쪽 산악 지역은 여전히 불길이 남아있습니다.

현재 진화율은 65%입니다.

불길이 남은 지역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가장 우려했던 곳, 바로 금강송 군락지죠.

어제 낮 한때 이렇게 주황 선으로 표시된 산림 당국의 저지선을 넘어서 불티가 날아왔는데요.

산림 당국이 즉시 진화에 나서서 일단 산불이 확산하는 건 막았습니다.

또, 조금 더 북쪽에 있는 이 응봉산 부근으로도 여전히 불길이 남아 있는데요.

해발고도 천미터에 가까운 높은 산이다 보니 진화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결국, 남은 산불을 잡는 열쇠는 바람입니다.

이 지역에서는 낮과 밤에 따라 달라지는 해륙풍 때문에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요.

지난 밤부터는 바다를 향해 부는 바람, 즉, 육풍이 우세한 상황입니다.

그럼 시간대 별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

오전 10시 예측 상황입니다.

보시면 바람이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 그러니까 해풍으로 바뀌는 모습이죠.

바닷바람은 오후로 접어들수록 더 강해집니다.

특히 저녁 시간대에는 바닷 바람이 내륙 깊숙이 경북 봉화 지역까지 유입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이렇게 되면 금강송 군락지로 다시 불길이 확산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산림 당국은 오전 중에 이 지역의 불길을 잡는데 주력할 계획입니다.

[앵커]

아직 불길이 남은 지역이 워낙 넓다 보니, 산림 당국도 산불 장기화에 대비하는 분위기인데, 얼마나 더 길어질까요?

[기자]

네, 국지적인 해륙풍이 진화에 발목을 잡고 있는데 더 센 바람이 예보돼 있습니다.

금요일부터는 우리나라 남쪽에 고기압, 북쪽에 저기압이 위치하게 됩니다.

'양간지풍'이 불 때와 비슷한 기압 배치인데요.

이렇게 되면 해륙풍 대신, 다시 종일 강한 서풍이 불 수 있습니다.

울진 산불 진화, 결국, 마지노선은 금요일입니다.

만약 진화가 더 늦어지면 일요일 비 예보를 기다릴 수밖에 없습니다.

울진을 포함해 전국에 비가 예고됐는데, 많은 비가 올지는 아직 불확실합니다.

최악의 피해를 불러온 2000년 동해안 산불은 열흘만에 내린 비에 진압됐죠.

만약 이번 산불이 일요일까지 이어진다면, 더 큰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됩니다.

지금까지 재난미디어센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 시각 산불 상황과 바람 전망은?
    • 입력 2022-03-09 06:17:34
    • 수정2022-03-09 13:03:11
    뉴스광장 1부
[앵커]

이번에는 KBS 재난미디어센터 연결해 이 시각 산불 상황과 산불 진화의 주요 변수인 바람 전망 알아보겠습니다.

이정훈 기자!

다행히 강릉-동해 산불은 큰 불길이 잡혔는데, 이제 울진 산불이 걱정입니다.

진화, 어느 정도나 진척이 있습니까?

[기자]

네, 산림청이 제공하는 '산불 상황도'를 통해 울진 산불 상황 자세히 보겠습니다.

붉은 선은 아직 불길이 남은 구간이고요.

노란 선은 큰 불길은 잡은 곳입니다.

보시면 울진읍을 비롯해 해안가는 거의 진화가 완료됐는데, 서쪽 산악 지역은 여전히 불길이 남아있습니다.

현재 진화율은 65%입니다.

불길이 남은 지역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가장 우려했던 곳, 바로 금강송 군락지죠.

어제 낮 한때 이렇게 주황 선으로 표시된 산림 당국의 저지선을 넘어서 불티가 날아왔는데요.

산림 당국이 즉시 진화에 나서서 일단 산불이 확산하는 건 막았습니다.

또, 조금 더 북쪽에 있는 이 응봉산 부근으로도 여전히 불길이 남아 있는데요.

해발고도 천미터에 가까운 높은 산이다 보니 진화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결국, 남은 산불을 잡는 열쇠는 바람입니다.

이 지역에서는 낮과 밤에 따라 달라지는 해륙풍 때문에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요.

지난 밤부터는 바다를 향해 부는 바람, 즉, 육풍이 우세한 상황입니다.

그럼 시간대 별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

오전 10시 예측 상황입니다.

보시면 바람이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 그러니까 해풍으로 바뀌는 모습이죠.

바닷바람은 오후로 접어들수록 더 강해집니다.

특히 저녁 시간대에는 바닷 바람이 내륙 깊숙이 경북 봉화 지역까지 유입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이렇게 되면 금강송 군락지로 다시 불길이 확산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산림 당국은 오전 중에 이 지역의 불길을 잡는데 주력할 계획입니다.

[앵커]

아직 불길이 남은 지역이 워낙 넓다 보니, 산림 당국도 산불 장기화에 대비하는 분위기인데, 얼마나 더 길어질까요?

[기자]

네, 국지적인 해륙풍이 진화에 발목을 잡고 있는데 더 센 바람이 예보돼 있습니다.

금요일부터는 우리나라 남쪽에 고기압, 북쪽에 저기압이 위치하게 됩니다.

'양간지풍'이 불 때와 비슷한 기압 배치인데요.

이렇게 되면 해륙풍 대신, 다시 종일 강한 서풍이 불 수 있습니다.

울진 산불 진화, 결국, 마지노선은 금요일입니다.

만약 진화가 더 늦어지면 일요일 비 예보를 기다릴 수밖에 없습니다.

울진을 포함해 전국에 비가 예고됐는데, 많은 비가 올지는 아직 불확실합니다.

최악의 피해를 불러온 2000년 동해안 산불은 열흘만에 내린 비에 진압됐죠.

만약 이번 산불이 일요일까지 이어진다면, 더 큰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됩니다.

지금까지 재난미디어센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