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산불 피해조사 시작…“지원금 받아도 막막”

입력 2022.03.11 (21:32) 수정 2022.03.11 (21: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북 울진과 강원도 강릉 등 이번 동해안 지역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조사가 시작됐습니다.

빠르면 이달 말에야 복구 계획이 나오는 데다 지원 금액도 많지 않아서 벌써부터 이재민들 걱정이 큽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불이 덮쳤던 경북 울진의 한 마을.

불에 타고 무너진 주택은 형체를 알아볼 수 없습니다.

산불 피해로 지붕은 이렇게 내려앉았고, 집을 받치던 벽돌도 산산조각이 났습니다.

이 마을 주택 28채 가운데 22채가 전소되거나 반쯤 타버렸습니다.

그러나 손을 댈 수도 없습니다.

자치단체의 조사와 중앙부처의 현장 확인이 먼저 마무리돼야 하기 때문입니다.

[장세탁/울진 산불 이재민 : "언제 이게 조사가 되고 끝나는지에 대해서도 저희들은 알 수가 없고."]

현장 조사 뒤에는 빠르면 이달 말쯤 복구 계획이 마련될 예정입니다.

문제는 이후 복구지원금입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곳은 경북 울진, 강원도 삼척, 그리고 강릉·동해 지역.

특별재난지역이라도 전체 지원금 가운데 자치단체 부담금의 일부를 국비로 지원할 뿐, 이재민이 받는 지원금액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주택이 전소된 이재민에게 주거비로 천6백만 원을 지원할 뿐입니다.

집을 다시 짓기 위해선 빚을 질 수밖에 없습니다.

농작물이나 농기계가 피해를 입은 경우는 정부가 정한 피해 품목에 해당되는지 등을 따져야 하기 때문에 즉각적인 지원도 어렵습니다.

[황명석/경상북도 현장지원단장/기획조정실장 : "(지원 방안과) 관련해서 성금이라든지 또는 다양한 융자라든지 이런 방법을 강구해야 합니다."]

이번 동해안 지역 산불로 피해를 입은 주택만도 지금까지 3백여 채로 추산됩니다.

3년 전 강원도 고성 산불 이후에도 특별재난지역에 대한 지원금 현실화에 대해 국회에서 논의됐지만, 아직도 제자리를 맴돌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영상편집:김무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해안 산불 피해조사 시작…“지원금 받아도 막막”
    • 입력 2022-03-11 21:32:48
    • 수정2022-03-11 21:41:17
    뉴스 9
[앵커]

경북 울진과 강원도 강릉 등 이번 동해안 지역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조사가 시작됐습니다.

빠르면 이달 말에야 복구 계획이 나오는 데다 지원 금액도 많지 않아서 벌써부터 이재민들 걱정이 큽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불이 덮쳤던 경북 울진의 한 마을.

불에 타고 무너진 주택은 형체를 알아볼 수 없습니다.

산불 피해로 지붕은 이렇게 내려앉았고, 집을 받치던 벽돌도 산산조각이 났습니다.

이 마을 주택 28채 가운데 22채가 전소되거나 반쯤 타버렸습니다.

그러나 손을 댈 수도 없습니다.

자치단체의 조사와 중앙부처의 현장 확인이 먼저 마무리돼야 하기 때문입니다.

[장세탁/울진 산불 이재민 : "언제 이게 조사가 되고 끝나는지에 대해서도 저희들은 알 수가 없고."]

현장 조사 뒤에는 빠르면 이달 말쯤 복구 계획이 마련될 예정입니다.

문제는 이후 복구지원금입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곳은 경북 울진, 강원도 삼척, 그리고 강릉·동해 지역.

특별재난지역이라도 전체 지원금 가운데 자치단체 부담금의 일부를 국비로 지원할 뿐, 이재민이 받는 지원금액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주택이 전소된 이재민에게 주거비로 천6백만 원을 지원할 뿐입니다.

집을 다시 짓기 위해선 빚을 질 수밖에 없습니다.

농작물이나 농기계가 피해를 입은 경우는 정부가 정한 피해 품목에 해당되는지 등을 따져야 하기 때문에 즉각적인 지원도 어렵습니다.

[황명석/경상북도 현장지원단장/기획조정실장 : "(지원 방안과) 관련해서 성금이라든지 또는 다양한 융자라든지 이런 방법을 강구해야 합니다."]

이번 동해안 지역 산불로 피해를 입은 주택만도 지금까지 3백여 채로 추산됩니다.

3년 전 강원도 고성 산불 이후에도 특별재난지역에 대한 지원금 현실화에 대해 국회에서 논의됐지만, 아직도 제자리를 맴돌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영상편집:김무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