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시티 규약안 행정예고…‘부산·울산·경남 특별연합’ 출범 시동

입력 2022.03.18 (21:55) 수정 2022.03.18 (22: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부울경 특별자치단체의 규약안이 오늘 경남과 부산, 울산에서 동시에 행정예고돼 출범이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3년 전, 비수도권의 생존 전략으로 경남 주도로 시작된 메가시티 구상의 첫걸음을 뗀 것으로 볼 수 있는데요.

앞으로 어떻게 추진이 되는지, 손원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하고 전국을 다극체제로 전환하기 위해 추진된 '메가시티', 특별자치단체의 이름은 '부산울산경남특별연합'입니다.

규약안에는 그동안 쟁점이 된 사무소 위치와 의회 구성이 담겼고, 처리 사무 범위와 경비 부담 등을 정해뒀습니다.

행정예고된 오늘(18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20일 동안 도민 의견을 수렴합니다.

[장영욱/경상남도 동남권전략기획과장 : "의견을 수렴하고 4월 의회에서 의결을 거쳐 행정안전부의 승인을 받게 되면 규약안이 확정이 됩니다."]

행정안전부의 규약안 승인으로 행정적인 출범을 하게 되는 겁니다.

초광역권 발전계획 구상으로 자동차·조선·항공 3대 산업 고도화와 수소경제권 조성, 광역교통체계, 동북아 물류플랫폼 구축, 지역인재 육성, 서부권 균형발전이 제시됐습니다.

다음 달 출범도 가능하지만, 대통령 선거 이전 출범을 목표로 논의된 정부의 지원협약 체결 등이 함께 이뤄질지는 미지수입니다.

국무조정실 관계자는 임박한 지방선거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상반기 안에 정부 지원과 발전계획을 확정하려는 경남, 부산, 울산의 의지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행정적 출범 뒤엔 청사와 조직, 예산 마련 등 운영 준비를 거쳐 본격적인 사무 시작은 내년 1월 1일부텁니다.

그동안 3개 시·도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합니다.

[박준호/경상남도의회 경제환경위원장 : "(속도를 내려면) 광역시장과 지사가 선거를 통해서 당선이 되면 그 이후에 협력에 관해서, 긴밀한 (사전) 협력이 돼야 하고요."]

지방교부세법 개정과 타당성 조사 기준 완화, 추가 권한 이양 등 부산울산경남특별연합 성공의 제도적 바탕을 마련하는 것도 공동의 과제입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조형수/영상편집:안진영/그래픽:박재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메가시티 규약안 행정예고…‘부산·울산·경남 특별연합’ 출범 시동
    • 입력 2022-03-18 21:55:20
    • 수정2022-03-18 22:32:09
    뉴스9(창원)
[앵커]

부울경 특별자치단체의 규약안이 오늘 경남과 부산, 울산에서 동시에 행정예고돼 출범이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3년 전, 비수도권의 생존 전략으로 경남 주도로 시작된 메가시티 구상의 첫걸음을 뗀 것으로 볼 수 있는데요.

앞으로 어떻게 추진이 되는지, 손원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하고 전국을 다극체제로 전환하기 위해 추진된 '메가시티', 특별자치단체의 이름은 '부산울산경남특별연합'입니다.

규약안에는 그동안 쟁점이 된 사무소 위치와 의회 구성이 담겼고, 처리 사무 범위와 경비 부담 등을 정해뒀습니다.

행정예고된 오늘(18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20일 동안 도민 의견을 수렴합니다.

[장영욱/경상남도 동남권전략기획과장 : "의견을 수렴하고 4월 의회에서 의결을 거쳐 행정안전부의 승인을 받게 되면 규약안이 확정이 됩니다."]

행정안전부의 규약안 승인으로 행정적인 출범을 하게 되는 겁니다.

초광역권 발전계획 구상으로 자동차·조선·항공 3대 산업 고도화와 수소경제권 조성, 광역교통체계, 동북아 물류플랫폼 구축, 지역인재 육성, 서부권 균형발전이 제시됐습니다.

다음 달 출범도 가능하지만, 대통령 선거 이전 출범을 목표로 논의된 정부의 지원협약 체결 등이 함께 이뤄질지는 미지수입니다.

국무조정실 관계자는 임박한 지방선거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상반기 안에 정부 지원과 발전계획을 확정하려는 경남, 부산, 울산의 의지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행정적 출범 뒤엔 청사와 조직, 예산 마련 등 운영 준비를 거쳐 본격적인 사무 시작은 내년 1월 1일부텁니다.

그동안 3개 시·도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합니다.

[박준호/경상남도의회 경제환경위원장 : "(속도를 내려면) 광역시장과 지사가 선거를 통해서 당선이 되면 그 이후에 협력에 관해서, 긴밀한 (사전) 협력이 돼야 하고요."]

지방교부세법 개정과 타당성 조사 기준 완화, 추가 권한 이양 등 부산울산경남특별연합 성공의 제도적 바탕을 마련하는 것도 공동의 과제입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조형수/영상편집:안진영/그래픽:박재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