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 확진자 35만 3천여명…“오미크론 유행 정점 진입”
입력 2022.03.22 (12:08)
수정 2022.03.22 (12: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일주일 전보다 감소하면서 확산세가 주춤해진 반면, 사망자는 380여 명으로 역대 두 번째를 기록했습니다.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에 진입했지만, 언제 감소세로 돌아설지는 아직 더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정연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방역당국은 현재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오미크론 유행의 정점에 진입했다고 판단했습니다.
오늘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5만 3,980명으로, 주말 검사 건수 감소 효과가 사라지면서 확진자가 어제보다 14만 4천 명 가량 증가했지만, 일주일 전인 지난 15일 36만 2천여 명보다는 오히려 8천여 명 줄었기 때문입니다.
매주마다 크게 증가하던 증가추이가 나타나지 않고 정체되고 있다는 겁니다.
다만 본격적인 감소 추세로 전환되는지 여부는 이번 주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판단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누적 확진자는 993만 6,540명으로 오늘 중으로 천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여, 국내 첫 확진자가 나온 지 2년 2개월여 만에 인구의 5분의 1 가까이가 감염된 상황이 됐습니다.
확산세가 주춤해진 가운데서도 사망자는 좀처럼 줄지 않고 있습니다.
어제 사망자는 384명으로 하루 전보다 55명 늘면서, 사망자가 역대 가장 많았던 지난 17일 429명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았습니다.
위중증 환자는 하루 전보다 26명 감소한 천 104명으로 집계됐지만, 지난 8일 이후 보름째 천 명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편 정부는 머크사의 먹는 치료제인 ‘라게브리오’의 긴급사용승인 여부를 이번 주 결정하기로 하고, 사용 승인이 될 경우 10만 명분을 도입해 활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코로나19 사망자 급증으로 화장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수도권 중심으로 적용했던 화장로 1기당 7회 운영 기준을 전국 화장시설에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영상편집:박상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일주일 전보다 감소하면서 확산세가 주춤해진 반면, 사망자는 380여 명으로 역대 두 번째를 기록했습니다.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에 진입했지만, 언제 감소세로 돌아설지는 아직 더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정연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방역당국은 현재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오미크론 유행의 정점에 진입했다고 판단했습니다.
오늘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5만 3,980명으로, 주말 검사 건수 감소 효과가 사라지면서 확진자가 어제보다 14만 4천 명 가량 증가했지만, 일주일 전인 지난 15일 36만 2천여 명보다는 오히려 8천여 명 줄었기 때문입니다.
매주마다 크게 증가하던 증가추이가 나타나지 않고 정체되고 있다는 겁니다.
다만 본격적인 감소 추세로 전환되는지 여부는 이번 주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판단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누적 확진자는 993만 6,540명으로 오늘 중으로 천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여, 국내 첫 확진자가 나온 지 2년 2개월여 만에 인구의 5분의 1 가까이가 감염된 상황이 됐습니다.
확산세가 주춤해진 가운데서도 사망자는 좀처럼 줄지 않고 있습니다.
어제 사망자는 384명으로 하루 전보다 55명 늘면서, 사망자가 역대 가장 많았던 지난 17일 429명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았습니다.
위중증 환자는 하루 전보다 26명 감소한 천 104명으로 집계됐지만, 지난 8일 이후 보름째 천 명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편 정부는 머크사의 먹는 치료제인 ‘라게브리오’의 긴급사용승인 여부를 이번 주 결정하기로 하고, 사용 승인이 될 경우 10만 명분을 도입해 활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코로나19 사망자 급증으로 화장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수도권 중심으로 적용했던 화장로 1기당 7회 운영 기준을 전국 화장시설에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영상편집:박상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35만 3천여명…“오미크론 유행 정점 진입”
-
- 입력 2022-03-22 12:08:57
- 수정2022-03-22 12:21:06

[앵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일주일 전보다 감소하면서 확산세가 주춤해진 반면, 사망자는 380여 명으로 역대 두 번째를 기록했습니다.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에 진입했지만, 언제 감소세로 돌아설지는 아직 더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정연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방역당국은 현재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오미크론 유행의 정점에 진입했다고 판단했습니다.
오늘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5만 3,980명으로, 주말 검사 건수 감소 효과가 사라지면서 확진자가 어제보다 14만 4천 명 가량 증가했지만, 일주일 전인 지난 15일 36만 2천여 명보다는 오히려 8천여 명 줄었기 때문입니다.
매주마다 크게 증가하던 증가추이가 나타나지 않고 정체되고 있다는 겁니다.
다만 본격적인 감소 추세로 전환되는지 여부는 이번 주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판단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누적 확진자는 993만 6,540명으로 오늘 중으로 천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여, 국내 첫 확진자가 나온 지 2년 2개월여 만에 인구의 5분의 1 가까이가 감염된 상황이 됐습니다.
확산세가 주춤해진 가운데서도 사망자는 좀처럼 줄지 않고 있습니다.
어제 사망자는 384명으로 하루 전보다 55명 늘면서, 사망자가 역대 가장 많았던 지난 17일 429명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았습니다.
위중증 환자는 하루 전보다 26명 감소한 천 104명으로 집계됐지만, 지난 8일 이후 보름째 천 명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편 정부는 머크사의 먹는 치료제인 ‘라게브리오’의 긴급사용승인 여부를 이번 주 결정하기로 하고, 사용 승인이 될 경우 10만 명분을 도입해 활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코로나19 사망자 급증으로 화장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수도권 중심으로 적용했던 화장로 1기당 7회 운영 기준을 전국 화장시설에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영상편집:박상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일주일 전보다 감소하면서 확산세가 주춤해진 반면, 사망자는 380여 명으로 역대 두 번째를 기록했습니다.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에 진입했지만, 언제 감소세로 돌아설지는 아직 더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정연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방역당국은 현재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오미크론 유행의 정점에 진입했다고 판단했습니다.
오늘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5만 3,980명으로, 주말 검사 건수 감소 효과가 사라지면서 확진자가 어제보다 14만 4천 명 가량 증가했지만, 일주일 전인 지난 15일 36만 2천여 명보다는 오히려 8천여 명 줄었기 때문입니다.
매주마다 크게 증가하던 증가추이가 나타나지 않고 정체되고 있다는 겁니다.
다만 본격적인 감소 추세로 전환되는지 여부는 이번 주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판단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누적 확진자는 993만 6,540명으로 오늘 중으로 천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여, 국내 첫 확진자가 나온 지 2년 2개월여 만에 인구의 5분의 1 가까이가 감염된 상황이 됐습니다.
확산세가 주춤해진 가운데서도 사망자는 좀처럼 줄지 않고 있습니다.
어제 사망자는 384명으로 하루 전보다 55명 늘면서, 사망자가 역대 가장 많았던 지난 17일 429명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았습니다.
위중증 환자는 하루 전보다 26명 감소한 천 104명으로 집계됐지만, 지난 8일 이후 보름째 천 명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편 정부는 머크사의 먹는 치료제인 ‘라게브리오’의 긴급사용승인 여부를 이번 주 결정하기로 하고, 사용 승인이 될 경우 10만 명분을 도입해 활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코로나19 사망자 급증으로 화장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수도권 중심으로 적용했던 화장로 1기당 7회 운영 기준을 전국 화장시설에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영상편집:박상규
-
-
정연욱 기자 donkey@kbs.co.kr
정연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