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피해목 5%만 ‘긴급 벌채’…산사태 등 2차 피해 우려

입력 2022.04.07 (08:02) 수정 2022.04.07 (08: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울진·삼척 산불 등 동해안 대형 산불로 2만ha가 넘는 산림이 피해를 입었는데요.

그런데 이제 곧 장마철이 다가오면서 산불 피해를 입은 나무들이 걱정입니다.

그대로 방치할 경우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유발할 우려가 있어 대책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주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산 곳곳에 까맣게 탄 나무들이 즐비합니다.

울진 산불로 피해를 입은 나무들입니다.

이 산불 피해목들이 그대로 방치될 경우 또다른 재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집중호우 때 피해목들이 주택과 시설물을 덮치거나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겁니다.

[서재철/녹색연합 전문위원 : "(산불로 전소된 숲에서는) 비가 내렸을 경우 빗물을 분산시키는 기능과 역할이 상실되고, 토사유실, 산사태까지 이어지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2000년대 초 강원 고성 산불 이후 방치된 피해목들이 태풍 루사 때 홍수에 쓸리면서 민가와 교량을 파손하는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번 동해안 산불 구역에 대해 피해목 긴급 벌채비용 532억 원을 국비로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긴급 벌채 구역은 전체 피해 면적 가운데 약 5%에 불과한 상황.

[울진군청 관계자/음성변조 : "긴급 벌채는 나라에서 국비를 통해서 하는 거고, 긴급 벌채를 안 하는 구역 같은 경우는 산주가 해야 될 부분…. 기본적으로 사유재산이니까."]

때문에 사유림 내 벌채는 비용 부담 탓에 산주들이 피해목을 방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문현철/한국산불학회장 : "(사유림의) 벌채에 대한 의무 조항을 입법화할 필요가 있고, 개인 산주들이 영세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비용에 대해서는 그리고 장비에 대해서는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또다른 재난을 막기 위해서는 산불 피해목의 신속한 벌채와 철저한 복구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주현지입니다.

촬영기자:최동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불 피해목 5%만 ‘긴급 벌채’…산사태 등 2차 피해 우려
    • 입력 2022-04-07 08:02:28
    • 수정2022-04-07 08:50:45
    뉴스광장(대구)
[앵커]

울진·삼척 산불 등 동해안 대형 산불로 2만ha가 넘는 산림이 피해를 입었는데요.

그런데 이제 곧 장마철이 다가오면서 산불 피해를 입은 나무들이 걱정입니다.

그대로 방치할 경우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유발할 우려가 있어 대책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주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산 곳곳에 까맣게 탄 나무들이 즐비합니다.

울진 산불로 피해를 입은 나무들입니다.

이 산불 피해목들이 그대로 방치될 경우 또다른 재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집중호우 때 피해목들이 주택과 시설물을 덮치거나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겁니다.

[서재철/녹색연합 전문위원 : "(산불로 전소된 숲에서는) 비가 내렸을 경우 빗물을 분산시키는 기능과 역할이 상실되고, 토사유실, 산사태까지 이어지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2000년대 초 강원 고성 산불 이후 방치된 피해목들이 태풍 루사 때 홍수에 쓸리면서 민가와 교량을 파손하는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번 동해안 산불 구역에 대해 피해목 긴급 벌채비용 532억 원을 국비로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긴급 벌채 구역은 전체 피해 면적 가운데 약 5%에 불과한 상황.

[울진군청 관계자/음성변조 : "긴급 벌채는 나라에서 국비를 통해서 하는 거고, 긴급 벌채를 안 하는 구역 같은 경우는 산주가 해야 될 부분…. 기본적으로 사유재산이니까."]

때문에 사유림 내 벌채는 비용 부담 탓에 산주들이 피해목을 방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문현철/한국산불학회장 : "(사유림의) 벌채에 대한 의무 조항을 입법화할 필요가 있고, 개인 산주들이 영세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비용에 대해서는 그리고 장비에 대해서는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또다른 재난을 막기 위해서는 산불 피해목의 신속한 벌채와 철저한 복구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주현지입니다.

촬영기자:최동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