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항모, 동해 진입 협의…“강력한 대북 경고”
입력 2022.04.12 (07:28)
수정 2022.04.12 (07: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이 이번 주 동해 공해상으로 전개하는 방안이 한미 간에 논의 중인데, 합동훈련 가능성도 나옵니다.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경고 차원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우한솔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F-35C 스텔스기 등 항공기 80여 대를 탑재하고 이지스 구축함 등을 거느린 미군의 에이브러햄 링컨 항모전단, 떠다니는 군사기지로 불리는 핵추진 항모가 이번 주 동해 공해상에 진입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일성의 110회 생일인 오는 15일을 전후해 들어와 5일 정도 체류하는 일정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체류 기간 한미 해군 간 연합훈련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미국 항모 전단의 동해 진입은 북한의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가 잇따르던 2017년 11월 이후 4년 5개월 만입니다.
이 달 들어 북한의 7차 핵실험과 ICBM 추가 발사 등 도발 가능성이 커지자 사전에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지난달에도 미7함대는 링컨함에서 F-35C 전투기 등이 황해로 출격하는 영상을 이례적으로 공개하며 대북 억지력을 과시했습니다.
최근 대북 억지력 강화를 위한 미군 전략자산 전개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는 데 대해, 이종섭 국방장관 후보자는 북한의 행동에 따라 상응하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답했습니다.
2018년 이후 축소된 한미연합 실기동훈련의 복원 가능성을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이종섭/국방부 장관 후보자 : "훈련을 하지 않는 군대는 존재 의미가 없는 것이죠. (훈련은) 군의 기본 임무를 수행하는 겁니다. 그래서 그런 기본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줘야 되겠죠."]
북한의 각종 경축일이 이번 주부터 시작된 가운데, 한미 양국은 오늘(12일)부터 상반기 연합훈련의 사전연습격인 위기관리참모훈련에 들어갑니다.
KBS 뉴스 우한솔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최정연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이 이번 주 동해 공해상으로 전개하는 방안이 한미 간에 논의 중인데, 합동훈련 가능성도 나옵니다.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경고 차원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우한솔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F-35C 스텔스기 등 항공기 80여 대를 탑재하고 이지스 구축함 등을 거느린 미군의 에이브러햄 링컨 항모전단, 떠다니는 군사기지로 불리는 핵추진 항모가 이번 주 동해 공해상에 진입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일성의 110회 생일인 오는 15일을 전후해 들어와 5일 정도 체류하는 일정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체류 기간 한미 해군 간 연합훈련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미국 항모 전단의 동해 진입은 북한의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가 잇따르던 2017년 11월 이후 4년 5개월 만입니다.
이 달 들어 북한의 7차 핵실험과 ICBM 추가 발사 등 도발 가능성이 커지자 사전에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지난달에도 미7함대는 링컨함에서 F-35C 전투기 등이 황해로 출격하는 영상을 이례적으로 공개하며 대북 억지력을 과시했습니다.
최근 대북 억지력 강화를 위한 미군 전략자산 전개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는 데 대해, 이종섭 국방장관 후보자는 북한의 행동에 따라 상응하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답했습니다.
2018년 이후 축소된 한미연합 실기동훈련의 복원 가능성을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이종섭/국방부 장관 후보자 : "훈련을 하지 않는 군대는 존재 의미가 없는 것이죠. (훈련은) 군의 기본 임무를 수행하는 겁니다. 그래서 그런 기본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줘야 되겠죠."]
북한의 각종 경축일이 이번 주부터 시작된 가운데, 한미 양국은 오늘(12일)부터 상반기 연합훈련의 사전연습격인 위기관리참모훈련에 들어갑니다.
KBS 뉴스 우한솔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최정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항모, 동해 진입 협의…“강력한 대북 경고”
-
- 입력 2022-04-12 07:28:47
- 수정2022-04-12 07:36:50

[앵커]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이 이번 주 동해 공해상으로 전개하는 방안이 한미 간에 논의 중인데, 합동훈련 가능성도 나옵니다.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경고 차원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우한솔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F-35C 스텔스기 등 항공기 80여 대를 탑재하고 이지스 구축함 등을 거느린 미군의 에이브러햄 링컨 항모전단, 떠다니는 군사기지로 불리는 핵추진 항모가 이번 주 동해 공해상에 진입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일성의 110회 생일인 오는 15일을 전후해 들어와 5일 정도 체류하는 일정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체류 기간 한미 해군 간 연합훈련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미국 항모 전단의 동해 진입은 북한의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가 잇따르던 2017년 11월 이후 4년 5개월 만입니다.
이 달 들어 북한의 7차 핵실험과 ICBM 추가 발사 등 도발 가능성이 커지자 사전에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지난달에도 미7함대는 링컨함에서 F-35C 전투기 등이 황해로 출격하는 영상을 이례적으로 공개하며 대북 억지력을 과시했습니다.
최근 대북 억지력 강화를 위한 미군 전략자산 전개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는 데 대해, 이종섭 국방장관 후보자는 북한의 행동에 따라 상응하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답했습니다.
2018년 이후 축소된 한미연합 실기동훈련의 복원 가능성을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이종섭/국방부 장관 후보자 : "훈련을 하지 않는 군대는 존재 의미가 없는 것이죠. (훈련은) 군의 기본 임무를 수행하는 겁니다. 그래서 그런 기본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줘야 되겠죠."]
북한의 각종 경축일이 이번 주부터 시작된 가운데, 한미 양국은 오늘(12일)부터 상반기 연합훈련의 사전연습격인 위기관리참모훈련에 들어갑니다.
KBS 뉴스 우한솔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최정연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이 이번 주 동해 공해상으로 전개하는 방안이 한미 간에 논의 중인데, 합동훈련 가능성도 나옵니다.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경고 차원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우한솔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F-35C 스텔스기 등 항공기 80여 대를 탑재하고 이지스 구축함 등을 거느린 미군의 에이브러햄 링컨 항모전단, 떠다니는 군사기지로 불리는 핵추진 항모가 이번 주 동해 공해상에 진입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일성의 110회 생일인 오는 15일을 전후해 들어와 5일 정도 체류하는 일정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체류 기간 한미 해군 간 연합훈련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미국 항모 전단의 동해 진입은 북한의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가 잇따르던 2017년 11월 이후 4년 5개월 만입니다.
이 달 들어 북한의 7차 핵실험과 ICBM 추가 발사 등 도발 가능성이 커지자 사전에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지난달에도 미7함대는 링컨함에서 F-35C 전투기 등이 황해로 출격하는 영상을 이례적으로 공개하며 대북 억지력을 과시했습니다.
최근 대북 억지력 강화를 위한 미군 전략자산 전개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는 데 대해, 이종섭 국방장관 후보자는 북한의 행동에 따라 상응하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답했습니다.
2018년 이후 축소된 한미연합 실기동훈련의 복원 가능성을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이종섭/국방부 장관 후보자 : "훈련을 하지 않는 군대는 존재 의미가 없는 것이죠. (훈련은) 군의 기본 임무를 수행하는 겁니다. 그래서 그런 기본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줘야 되겠죠."]
북한의 각종 경축일이 이번 주부터 시작된 가운데, 한미 양국은 오늘(12일)부터 상반기 연합훈련의 사전연습격인 위기관리참모훈련에 들어갑니다.
KBS 뉴스 우한솔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최정연
-
-
우한솔 기자 pine@kbs.co.kr
우한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