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경쟁력 버팀목은 `제조업`

입력 2004.02.18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제조업하시는 분들 사기가 예전 같지 않다고 하지만 그래도 우리 국가경쟁력의 버팀목은 제조업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 KDI의 연구 내용을 이현주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기자: 지난 한 해 삼성전자의 매출은 43조원이 넘습니다.
현대자동차도 24조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두 제조업체의 매출만 우리 GDP의 10%를 넘습니다.
비단 두 대기업만의 얘기가 아닙니다.
지난 95년부터 2001년까지 분석한 결과 우리 제조업은 GDP, 즉 국내에서 번 모든 돈의 평균 절반을 벌어서 우리 경제를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천식(한국개발연구원 지식경제팀장): 우리 경제는 이제 제조업을 중심으로 혁신주도형 경제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제조업이 역시 국가 경쟁력의 근간이 되고 있는 것이죠.
⊙기자: 그러나 주력 부문, 그러니까 자동차라든지 반도체와 같은 일부 부문을 제외하고서는 단기간 내에 경쟁력 상실이 우려되는 제조업 부문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섬유와 컴퓨터, 가전, 화학 등 주요 전통산업이 중국의 거센 추격을 받고 있어서 연구개발과 구조조정 등 다양한 생존전략 마련이 시급합니다.
⊙이수희(한국경제연구원 기업센터 소장): 중국과의 산업내 분업도 방법이겠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가 부품 중간지를 중국에 주고 중국은 이를 조립해서 선진국 시장에 함께 진출하는 방안이겠습니다.
⊙기자: 이밖에 산업구조가 외국인 기업과 중소기업, 대기업이 어우러지는 삼각구도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S뉴스 이현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가 경쟁력 버팀목은 `제조업`
    • 입력 2004-02-1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제조업하시는 분들 사기가 예전 같지 않다고 하지만 그래도 우리 국가경쟁력의 버팀목은 제조업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 KDI의 연구 내용을 이현주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기자: 지난 한 해 삼성전자의 매출은 43조원이 넘습니다. 현대자동차도 24조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두 제조업체의 매출만 우리 GDP의 10%를 넘습니다. 비단 두 대기업만의 얘기가 아닙니다. 지난 95년부터 2001년까지 분석한 결과 우리 제조업은 GDP, 즉 국내에서 번 모든 돈의 평균 절반을 벌어서 우리 경제를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천식(한국개발연구원 지식경제팀장): 우리 경제는 이제 제조업을 중심으로 혁신주도형 경제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제조업이 역시 국가 경쟁력의 근간이 되고 있는 것이죠. ⊙기자: 그러나 주력 부문, 그러니까 자동차라든지 반도체와 같은 일부 부문을 제외하고서는 단기간 내에 경쟁력 상실이 우려되는 제조업 부문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섬유와 컴퓨터, 가전, 화학 등 주요 전통산업이 중국의 거센 추격을 받고 있어서 연구개발과 구조조정 등 다양한 생존전략 마련이 시급합니다. ⊙이수희(한국경제연구원 기업센터 소장): 중국과의 산업내 분업도 방법이겠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가 부품 중간지를 중국에 주고 중국은 이를 조립해서 선진국 시장에 함께 진출하는 방안이겠습니다. ⊙기자: 이밖에 산업구조가 외국인 기업과 중소기업, 대기업이 어우러지는 삼각구도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S뉴스 이현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