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가구]④ 고용 악화가 가구 위기로…‘실직’ 사유 급증
입력 2022.04.21 (09:53)
수정 2022.04.21 (10: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등의 침체로 부산의 고용 상황이 더 나빠졌는데요.
최근 3년간 부산에서 지원받은 긴급 복지 10만 건을 분석해 보니 실직과 휴·폐업으로 갑자기 경제적 위기에 빠진 가구가 크게 늘었습니다.
KBS의 위기 가구 연속보도,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8년간 보육 교사로 일했던 40대 가장.
지난해 2월, 갑자기 일자리를 잃었습니다.
어린이집에서 다른 교사를 찾는다며 재계약을 하지 않았습니다.
[40대 긴급 복지 대상자 : "많이 막막했죠. 앞으로 뭘 할지 고민도 많이 했었고. 잘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실업 급여와 긴급 복지로 받은 생계비로 겨우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40대 긴급 복지 대상자 : "소비를 많이 줄였죠. 소비를 줄이고 실업 급여 끝나고 나서까지 생각하고 절약할 수밖에 없었어요."]
안정적인 직장을 갖기 위해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땄지만, 아직 일자리를 구하지 못했습니다.
[40대 긴급 복지 대상자 : "예전처럼 생활이 돌아오려면 제가 취업을 하고, 어느 정도 시기가 지났을 때 안정적인 상황이 올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하루빨리 취업해야…."]
갑자기 찾아온 경제적 위기로 긴급 복지를 지원받는 경우는 크게 9가지.
주 소득자의 사망이나 질병, 실직과 휴업이나 폐업 등입니다.
2019년부터 3년간 부산에서 지원받은 긴급 복지 10만여 건을 위기 사유별로 분석했습니다.
'실직'으로 생계비 등 긴급 복지를 지원받은 게 2019년 2천여 건에서 지난해 9천백여 건으로 급증했습니다.
주 소득자의 '휴업이나 폐업'을 위기 사유로 든 경우도 3년 사이 천 건 넘게 많아졌습니다.
긴급 복지를 신청한 이유 가운데 실직과 휴·폐업, 이 두 가지 사례가 얼마나 되는지 비중을 살펴봤습니다.
코로나19 이전엔 전체 위기 사유 중 10% 정도였지만, 1년 뒤 2배 가까이 늘더니, 지난해 24%까지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가 평범했던 가구의 생활 기반마저 흔들어 놓은 겁니다.
[정주영/부산복지개발원 연구위원 : "주요 위기 사유를 반영해서 대처할 필요가 있고, 2년에 걸쳐서 있었던 일이지만, 후유증에 대한 대책은 이후에도 계속 마련돼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 3년 사이 부산의 임금 노동자는 6만 명 넘게 줄었지만, 자영업자는 오히려 3만 5천 명 늘었습니다.
이처럼 코로나19를 거치며 고용의 질이 나빠진 게 위기 가구 급증으로 이어졌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합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등의 침체로 부산의 고용 상황이 더 나빠졌는데요.
최근 3년간 부산에서 지원받은 긴급 복지 10만 건을 분석해 보니 실직과 휴·폐업으로 갑자기 경제적 위기에 빠진 가구가 크게 늘었습니다.
KBS의 위기 가구 연속보도,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8년간 보육 교사로 일했던 40대 가장.
지난해 2월, 갑자기 일자리를 잃었습니다.
어린이집에서 다른 교사를 찾는다며 재계약을 하지 않았습니다.
[40대 긴급 복지 대상자 : "많이 막막했죠. 앞으로 뭘 할지 고민도 많이 했었고. 잘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실업 급여와 긴급 복지로 받은 생계비로 겨우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40대 긴급 복지 대상자 : "소비를 많이 줄였죠. 소비를 줄이고 실업 급여 끝나고 나서까지 생각하고 절약할 수밖에 없었어요."]
안정적인 직장을 갖기 위해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땄지만, 아직 일자리를 구하지 못했습니다.
[40대 긴급 복지 대상자 : "예전처럼 생활이 돌아오려면 제가 취업을 하고, 어느 정도 시기가 지났을 때 안정적인 상황이 올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하루빨리 취업해야…."]
갑자기 찾아온 경제적 위기로 긴급 복지를 지원받는 경우는 크게 9가지.
주 소득자의 사망이나 질병, 실직과 휴업이나 폐업 등입니다.
2019년부터 3년간 부산에서 지원받은 긴급 복지 10만여 건을 위기 사유별로 분석했습니다.
'실직'으로 생계비 등 긴급 복지를 지원받은 게 2019년 2천여 건에서 지난해 9천백여 건으로 급증했습니다.
주 소득자의 '휴업이나 폐업'을 위기 사유로 든 경우도 3년 사이 천 건 넘게 많아졌습니다.
긴급 복지를 신청한 이유 가운데 실직과 휴·폐업, 이 두 가지 사례가 얼마나 되는지 비중을 살펴봤습니다.
코로나19 이전엔 전체 위기 사유 중 10% 정도였지만, 1년 뒤 2배 가까이 늘더니, 지난해 24%까지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가 평범했던 가구의 생활 기반마저 흔들어 놓은 겁니다.
[정주영/부산복지개발원 연구위원 : "주요 위기 사유를 반영해서 대처할 필요가 있고, 2년에 걸쳐서 있었던 일이지만, 후유증에 대한 대책은 이후에도 계속 마련돼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 3년 사이 부산의 임금 노동자는 6만 명 넘게 줄었지만, 자영업자는 오히려 3만 5천 명 늘었습니다.
이처럼 코로나19를 거치며 고용의 질이 나빠진 게 위기 가구 급증으로 이어졌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합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위기가구]④ 고용 악화가 가구 위기로…‘실직’ 사유 급증
-
- 입력 2022-04-21 09:53:02
- 수정2022-04-21 10:41:12
[앵커]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등의 침체로 부산의 고용 상황이 더 나빠졌는데요.
최근 3년간 부산에서 지원받은 긴급 복지 10만 건을 분석해 보니 실직과 휴·폐업으로 갑자기 경제적 위기에 빠진 가구가 크게 늘었습니다.
KBS의 위기 가구 연속보도,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8년간 보육 교사로 일했던 40대 가장.
지난해 2월, 갑자기 일자리를 잃었습니다.
어린이집에서 다른 교사를 찾는다며 재계약을 하지 않았습니다.
[40대 긴급 복지 대상자 : "많이 막막했죠. 앞으로 뭘 할지 고민도 많이 했었고. 잘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실업 급여와 긴급 복지로 받은 생계비로 겨우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40대 긴급 복지 대상자 : "소비를 많이 줄였죠. 소비를 줄이고 실업 급여 끝나고 나서까지 생각하고 절약할 수밖에 없었어요."]
안정적인 직장을 갖기 위해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땄지만, 아직 일자리를 구하지 못했습니다.
[40대 긴급 복지 대상자 : "예전처럼 생활이 돌아오려면 제가 취업을 하고, 어느 정도 시기가 지났을 때 안정적인 상황이 올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하루빨리 취업해야…."]
갑자기 찾아온 경제적 위기로 긴급 복지를 지원받는 경우는 크게 9가지.
주 소득자의 사망이나 질병, 실직과 휴업이나 폐업 등입니다.
2019년부터 3년간 부산에서 지원받은 긴급 복지 10만여 건을 위기 사유별로 분석했습니다.
'실직'으로 생계비 등 긴급 복지를 지원받은 게 2019년 2천여 건에서 지난해 9천백여 건으로 급증했습니다.
주 소득자의 '휴업이나 폐업'을 위기 사유로 든 경우도 3년 사이 천 건 넘게 많아졌습니다.
긴급 복지를 신청한 이유 가운데 실직과 휴·폐업, 이 두 가지 사례가 얼마나 되는지 비중을 살펴봤습니다.
코로나19 이전엔 전체 위기 사유 중 10% 정도였지만, 1년 뒤 2배 가까이 늘더니, 지난해 24%까지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가 평범했던 가구의 생활 기반마저 흔들어 놓은 겁니다.
[정주영/부산복지개발원 연구위원 : "주요 위기 사유를 반영해서 대처할 필요가 있고, 2년에 걸쳐서 있었던 일이지만, 후유증에 대한 대책은 이후에도 계속 마련돼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 3년 사이 부산의 임금 노동자는 6만 명 넘게 줄었지만, 자영업자는 오히려 3만 5천 명 늘었습니다.
이처럼 코로나19를 거치며 고용의 질이 나빠진 게 위기 가구 급증으로 이어졌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합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등의 침체로 부산의 고용 상황이 더 나빠졌는데요.
최근 3년간 부산에서 지원받은 긴급 복지 10만 건을 분석해 보니 실직과 휴·폐업으로 갑자기 경제적 위기에 빠진 가구가 크게 늘었습니다.
KBS의 위기 가구 연속보도,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8년간 보육 교사로 일했던 40대 가장.
지난해 2월, 갑자기 일자리를 잃었습니다.
어린이집에서 다른 교사를 찾는다며 재계약을 하지 않았습니다.
[40대 긴급 복지 대상자 : "많이 막막했죠. 앞으로 뭘 할지 고민도 많이 했었고. 잘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실업 급여와 긴급 복지로 받은 생계비로 겨우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40대 긴급 복지 대상자 : "소비를 많이 줄였죠. 소비를 줄이고 실업 급여 끝나고 나서까지 생각하고 절약할 수밖에 없었어요."]
안정적인 직장을 갖기 위해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땄지만, 아직 일자리를 구하지 못했습니다.
[40대 긴급 복지 대상자 : "예전처럼 생활이 돌아오려면 제가 취업을 하고, 어느 정도 시기가 지났을 때 안정적인 상황이 올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하루빨리 취업해야…."]
갑자기 찾아온 경제적 위기로 긴급 복지를 지원받는 경우는 크게 9가지.
주 소득자의 사망이나 질병, 실직과 휴업이나 폐업 등입니다.
2019년부터 3년간 부산에서 지원받은 긴급 복지 10만여 건을 위기 사유별로 분석했습니다.
'실직'으로 생계비 등 긴급 복지를 지원받은 게 2019년 2천여 건에서 지난해 9천백여 건으로 급증했습니다.
주 소득자의 '휴업이나 폐업'을 위기 사유로 든 경우도 3년 사이 천 건 넘게 많아졌습니다.
긴급 복지를 신청한 이유 가운데 실직과 휴·폐업, 이 두 가지 사례가 얼마나 되는지 비중을 살펴봤습니다.
코로나19 이전엔 전체 위기 사유 중 10% 정도였지만, 1년 뒤 2배 가까이 늘더니, 지난해 24%까지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가 평범했던 가구의 생활 기반마저 흔들어 놓은 겁니다.
[정주영/부산복지개발원 연구위원 : "주요 위기 사유를 반영해서 대처할 필요가 있고, 2년에 걸쳐서 있었던 일이지만, 후유증에 대한 대책은 이후에도 계속 마련돼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 3년 사이 부산의 임금 노동자는 6만 명 넘게 줄었지만, 자영업자는 오히려 3만 5천 명 늘었습니다.
이처럼 코로나19를 거치며 고용의 질이 나빠진 게 위기 가구 급증으로 이어졌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합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
-
황현규 기자 true@kbs.co.kr
황현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