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인 명부 누락되도 당사자는 ‘깜깜’
입력 2022.04.29 (21:45)
수정 2022.04.29 (22: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본인도 모르는 사이 선거인 명부에서 빠져 투표를 못 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를 막는 제도가 있다지만 보완이 필요해 보입니다.
보도에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선 사전투표가 있었던 지난달 4일.
광주의 한 투표소를 찾은 A씨는 투표를 못 하고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
'선거인명부'에 자기 이름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왜 빠졌을까?
호적상 등록기준지 지자체가 선거권 제한 여부를 담은 범죄기록을 검찰에서 받아 전산에 등록하는데, A씨의 범죄 이력이 공무원의 실수로 사실과 다르게 등록됐고, 주소지 지자체가 이 전산 기록대로 선거인명부를 확정한 겁니다.
[광주 ○○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범죄마다 (투표권 제한이) 다른 것으로 알고 있어요. 입력을 할 때 언제까지 선거권이 없다고 입력을 하는 거죠. 날짜까지..."]
광주에서 비슷한 사례가 한 명 더 있었고, 충남 논산에서는 동명이인의 사망자와 착각해 유권자를 선거인명부에서 삭제하는 황당한 일도 벌어졌습니다.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지자체가 선거인명부 열람과 이의신청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이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기우식/참여자치21 사무처장 : "(정부의 책무는) 참정권을 보장하고 보호하는 것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선거인명부와 관련해서 당연하게 주어진 권리들이 침해받지 않도록 행정에서 잘 알릴 의무가..."]
행정 실수로 선거권을 뺏기는 황당한 상황을 막기 위한 보다 세심한 보완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조민웅
본인도 모르는 사이 선거인 명부에서 빠져 투표를 못 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를 막는 제도가 있다지만 보완이 필요해 보입니다.
보도에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선 사전투표가 있었던 지난달 4일.
광주의 한 투표소를 찾은 A씨는 투표를 못 하고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
'선거인명부'에 자기 이름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왜 빠졌을까?
호적상 등록기준지 지자체가 선거권 제한 여부를 담은 범죄기록을 검찰에서 받아 전산에 등록하는데, A씨의 범죄 이력이 공무원의 실수로 사실과 다르게 등록됐고, 주소지 지자체가 이 전산 기록대로 선거인명부를 확정한 겁니다.
[광주 ○○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범죄마다 (투표권 제한이) 다른 것으로 알고 있어요. 입력을 할 때 언제까지 선거권이 없다고 입력을 하는 거죠. 날짜까지..."]
광주에서 비슷한 사례가 한 명 더 있었고, 충남 논산에서는 동명이인의 사망자와 착각해 유권자를 선거인명부에서 삭제하는 황당한 일도 벌어졌습니다.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지자체가 선거인명부 열람과 이의신청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이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기우식/참여자치21 사무처장 : "(정부의 책무는) 참정권을 보장하고 보호하는 것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선거인명부와 관련해서 당연하게 주어진 권리들이 침해받지 않도록 행정에서 잘 알릴 의무가..."]
행정 실수로 선거권을 뺏기는 황당한 상황을 막기 위한 보다 세심한 보완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조민웅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선거인 명부 누락되도 당사자는 ‘깜깜’
-
- 입력 2022-04-29 21:45:52
- 수정2022-04-29 22:14:28

[앵커]
본인도 모르는 사이 선거인 명부에서 빠져 투표를 못 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를 막는 제도가 있다지만 보완이 필요해 보입니다.
보도에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선 사전투표가 있었던 지난달 4일.
광주의 한 투표소를 찾은 A씨는 투표를 못 하고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
'선거인명부'에 자기 이름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왜 빠졌을까?
호적상 등록기준지 지자체가 선거권 제한 여부를 담은 범죄기록을 검찰에서 받아 전산에 등록하는데, A씨의 범죄 이력이 공무원의 실수로 사실과 다르게 등록됐고, 주소지 지자체가 이 전산 기록대로 선거인명부를 확정한 겁니다.
[광주 ○○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범죄마다 (투표권 제한이) 다른 것으로 알고 있어요. 입력을 할 때 언제까지 선거권이 없다고 입력을 하는 거죠. 날짜까지..."]
광주에서 비슷한 사례가 한 명 더 있었고, 충남 논산에서는 동명이인의 사망자와 착각해 유권자를 선거인명부에서 삭제하는 황당한 일도 벌어졌습니다.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지자체가 선거인명부 열람과 이의신청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이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기우식/참여자치21 사무처장 : "(정부의 책무는) 참정권을 보장하고 보호하는 것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선거인명부와 관련해서 당연하게 주어진 권리들이 침해받지 않도록 행정에서 잘 알릴 의무가..."]
행정 실수로 선거권을 뺏기는 황당한 상황을 막기 위한 보다 세심한 보완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조민웅
본인도 모르는 사이 선거인 명부에서 빠져 투표를 못 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를 막는 제도가 있다지만 보완이 필요해 보입니다.
보도에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선 사전투표가 있었던 지난달 4일.
광주의 한 투표소를 찾은 A씨는 투표를 못 하고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
'선거인명부'에 자기 이름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왜 빠졌을까?
호적상 등록기준지 지자체가 선거권 제한 여부를 담은 범죄기록을 검찰에서 받아 전산에 등록하는데, A씨의 범죄 이력이 공무원의 실수로 사실과 다르게 등록됐고, 주소지 지자체가 이 전산 기록대로 선거인명부를 확정한 겁니다.
[광주 ○○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범죄마다 (투표권 제한이) 다른 것으로 알고 있어요. 입력을 할 때 언제까지 선거권이 없다고 입력을 하는 거죠. 날짜까지..."]
광주에서 비슷한 사례가 한 명 더 있었고, 충남 논산에서는 동명이인의 사망자와 착각해 유권자를 선거인명부에서 삭제하는 황당한 일도 벌어졌습니다.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지자체가 선거인명부 열람과 이의신청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이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기우식/참여자치21 사무처장 : "(정부의 책무는) 참정권을 보장하고 보호하는 것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선거인명부와 관련해서 당연하게 주어진 권리들이 침해받지 않도록 행정에서 잘 알릴 의무가..."]
행정 실수로 선거권을 뺏기는 황당한 상황을 막기 위한 보다 세심한 보완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조민웅
-
-
손준수 기자 handsome@kbs.co.kr
손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