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길 열리는데…2년 넘게 끊긴 한일 바닷길

입력 2022.05.02 (10:01) 수정 2022.05.02 (10: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로 얼어붙었던 해외 여행수요가 되살아나며 하늘길도 속속 열리고 있는데요.

그런데 국제 여객선은 여전히 발이 묶여있습니다.

벌써 2년 넘게, 부산에서 일본을 오가는 뱃길이 끊긴 부산항을, 정민규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아시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부산과 일본 각지를 잇는 여객선이 분주히 오고 가야 할 곳이지만 사실상 휴업 상태입니다.

코로나19 이후 2년 넘게 여객선 운항이 중단돼 있기 때문입니다.

입점 업체들 상당수는 문을 닫았습니다.

[입점 업체 관계자 : "여행객 자체도 아예 끊기고, 코로나로 손님 더 없고, 여기 직원 수도 감원이 된 거 같아요. 직원 수도 줄고 아예 손님이 없죠, 하루 종일."]

터미널의 현주소를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곳이 바로 입·출국장입니다.

연간 이용객 280만 명이 이용할 수 있는 규모로 만들어졌지만, 지금은 보시는 것처럼 한낮에도 사람을 찾아보기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2년이 넘는 시간 동안 국제선 이용객을 단 한 명도 태우지 못한 여객 선사들은 고사 직전입니다.

[홍성무/부관훼리 부본부장 : "화물만 수송하는 상태입니다. 그 기간 직원들은 퇴사하거나 아직 휴직 중인 상태고요. 회사나 직원이나 모두 힘든 상태입니다."]

코로나19는 감소세에 접어들었지만 운항 재개 시점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최근에야 한 여객선사가 부산-일본 후쿠오카 노선 운항에 대비해 시범 접안만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행업 등 동반 산업의 타격도 큰 만큼 관련 업계는 하루빨리 끊겼던 뱃길이 이어지길 기다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하늘길 열리는데…2년 넘게 끊긴 한일 바닷길
    • 입력 2022-05-02 10:01:54
    • 수정2022-05-02 10:07:45
    930뉴스
[앵커]

코로나19로 얼어붙었던 해외 여행수요가 되살아나며 하늘길도 속속 열리고 있는데요.

그런데 국제 여객선은 여전히 발이 묶여있습니다.

벌써 2년 넘게, 부산에서 일본을 오가는 뱃길이 끊긴 부산항을, 정민규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아시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부산과 일본 각지를 잇는 여객선이 분주히 오고 가야 할 곳이지만 사실상 휴업 상태입니다.

코로나19 이후 2년 넘게 여객선 운항이 중단돼 있기 때문입니다.

입점 업체들 상당수는 문을 닫았습니다.

[입점 업체 관계자 : "여행객 자체도 아예 끊기고, 코로나로 손님 더 없고, 여기 직원 수도 감원이 된 거 같아요. 직원 수도 줄고 아예 손님이 없죠, 하루 종일."]

터미널의 현주소를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곳이 바로 입·출국장입니다.

연간 이용객 280만 명이 이용할 수 있는 규모로 만들어졌지만, 지금은 보시는 것처럼 한낮에도 사람을 찾아보기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2년이 넘는 시간 동안 국제선 이용객을 단 한 명도 태우지 못한 여객 선사들은 고사 직전입니다.

[홍성무/부관훼리 부본부장 : "화물만 수송하는 상태입니다. 그 기간 직원들은 퇴사하거나 아직 휴직 중인 상태고요. 회사나 직원이나 모두 힘든 상태입니다."]

코로나19는 감소세에 접어들었지만 운항 재개 시점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최근에야 한 여객선사가 부산-일본 후쿠오카 노선 운항에 대비해 시범 접안만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행업 등 동반 산업의 타격도 큰 만큼 관련 업계는 하루빨리 끊겼던 뱃길이 이어지길 기다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