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반대하더니…“中, 한반도 향해 신형 레이더 배치”

입력 2022.05.03 (06:41) 수정 2022.05.03 (13: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사드 레이더가 중국의 안보를 위협한다며 보복 조치를 강행했던 중국이 한반도와 일본 전역을 탐지할 수 있는 레이더를 설치한 정황이 위성 사진으로 확인됐습니다.

해당 레이더가 한반도 미사일 감시용이라고 중국군 소식통이 말했다는 외신 보도도 나왔습니다.

베이징 조성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2018년 6월 촬영한 중국 산둥성 위성 사진에 대형 레이더가 남동쪽으로 서 있습니다.

그런데 올해 2월 같은 곳의 위성 사진을 보니 비슷한 레이더 하나가 동북쪽을 향해 새로 들어섰습니다.

중국이 그 사이 한반도와 가까운 산둥성에 대형 레이더를 한반도 방향으로 추가 설치한 겁니다.

실제 이 레이더가 한반도와 일본의 미사일 감시용이란 사실을 중국군 소식통이 확인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습니다.

지난 3월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을 재개하는 등 동북아 전략 상황이 예사롭지 않은 시점에 중국 측의 한반도 방향 대형 레이더를 확인한 셈입니다.

헤이룽장성 등지에는 이미 10층 높이의 같은 종류 '위상 배열 레이더'가 배치됐습니다.

[신종우/한국국방안보포럼 전문연구위원 : "탄도탄이라도 아주 빠른 속도로 날아가는 작은 비행체까지 충분히 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고요. 탐지 거리는 약 5,000km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600에서 900km 정도로 알려진 주한미군 사드 레이더의 탐지 거리를 한참 넘어서는 범위입니다.

중국은 또 다양한 레이더를 요격 미사일과 세트로 개발해 공개하는 등 레이더 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장톈린/중국전자과학기술그룹 관계자 : "이 레이더는 주로 중고고도의 일부 스텔스전투기, 전술 탄도 미사일, 재래식 목표물을 탐지하는 임무를 수행합니다."]

레이더 탐지 거리를 이유로 사드 배치에 반대했던 중국이 한반도 방향으로 대형 레이더를 설치했습니다.

중국의 이중적 태도와 동북아 안보 현실을 동시에 보여줍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조성원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이현모/자료조사:김다형/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드 반대하더니…“中, 한반도 향해 신형 레이더 배치”
    • 입력 2022-05-03 06:41:34
    • 수정2022-05-03 13:10:04
    뉴스광장 1부
[앵커]

사드 레이더가 중국의 안보를 위협한다며 보복 조치를 강행했던 중국이 한반도와 일본 전역을 탐지할 수 있는 레이더를 설치한 정황이 위성 사진으로 확인됐습니다.

해당 레이더가 한반도 미사일 감시용이라고 중국군 소식통이 말했다는 외신 보도도 나왔습니다.

베이징 조성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2018년 6월 촬영한 중국 산둥성 위성 사진에 대형 레이더가 남동쪽으로 서 있습니다.

그런데 올해 2월 같은 곳의 위성 사진을 보니 비슷한 레이더 하나가 동북쪽을 향해 새로 들어섰습니다.

중국이 그 사이 한반도와 가까운 산둥성에 대형 레이더를 한반도 방향으로 추가 설치한 겁니다.

실제 이 레이더가 한반도와 일본의 미사일 감시용이란 사실을 중국군 소식통이 확인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습니다.

지난 3월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을 재개하는 등 동북아 전략 상황이 예사롭지 않은 시점에 중국 측의 한반도 방향 대형 레이더를 확인한 셈입니다.

헤이룽장성 등지에는 이미 10층 높이의 같은 종류 '위상 배열 레이더'가 배치됐습니다.

[신종우/한국국방안보포럼 전문연구위원 : "탄도탄이라도 아주 빠른 속도로 날아가는 작은 비행체까지 충분히 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고요. 탐지 거리는 약 5,000km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600에서 900km 정도로 알려진 주한미군 사드 레이더의 탐지 거리를 한참 넘어서는 범위입니다.

중국은 또 다양한 레이더를 요격 미사일과 세트로 개발해 공개하는 등 레이더 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장톈린/중국전자과학기술그룹 관계자 : "이 레이더는 주로 중고고도의 일부 스텔스전투기, 전술 탄도 미사일, 재래식 목표물을 탐지하는 임무를 수행합니다."]

레이더 탐지 거리를 이유로 사드 배치에 반대했던 중국이 한반도 방향으로 대형 레이더를 설치했습니다.

중국의 이중적 태도와 동북아 안보 현실을 동시에 보여줍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조성원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이현모/자료조사:김다형/그래픽: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