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 수도권 집중 심화 우려
입력 2004.02.22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고속철도가 개통되면 수도권의 인구 집중이 심화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지방시대가 열릴 거라는 정부의 예측을 뒤집는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민필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오는 4월 고속철이 개통되면 전국이 반나절 생활권이 되면서 전국토가 균형발전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고속철도가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을 더 가속화시킬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국토연구원의 연구로는 고속철도가 개통되면 경기도 인구는 앞으로 10년간 4만 6000여 명, 인천은 1만 5000여 명이 더 늘어나게 됩니다.
그러나 이 같은 인구증가는 교육이나 일자리, 소득차이 등의 다른 변수를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실제로는 더 많은 인구가 수도권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지금까지 지방에 살던 사람들도 고속철을 이용해 지방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결국 수도권이 충청권까지 확산되는 부작용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성호(서울대 교수/지역개발 전공): 수도권, 충청권, 특히 천안, 대전권까지 산업과 인구,경제활동이 집중되는 그런 형태로 되면 수도권보다 훨씬 더 큰 블랙홀이 생기는 거죠.
⊙기자: 이 때문에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입을 막기 위해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출퇴근할 경우 통근비를 보조하는 등의 추가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민필규입니다.
지방시대가 열릴 거라는 정부의 예측을 뒤집는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민필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오는 4월 고속철이 개통되면 전국이 반나절 생활권이 되면서 전국토가 균형발전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고속철도가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을 더 가속화시킬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국토연구원의 연구로는 고속철도가 개통되면 경기도 인구는 앞으로 10년간 4만 6000여 명, 인천은 1만 5000여 명이 더 늘어나게 됩니다.
그러나 이 같은 인구증가는 교육이나 일자리, 소득차이 등의 다른 변수를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실제로는 더 많은 인구가 수도권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지금까지 지방에 살던 사람들도 고속철을 이용해 지방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결국 수도권이 충청권까지 확산되는 부작용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성호(서울대 교수/지역개발 전공): 수도권, 충청권, 특히 천안, 대전권까지 산업과 인구,경제활동이 집중되는 그런 형태로 되면 수도권보다 훨씬 더 큰 블랙홀이 생기는 거죠.
⊙기자: 이 때문에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입을 막기 위해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출퇴근할 경우 통근비를 보조하는 등의 추가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민필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속철, 수도권 집중 심화 우려
-
- 입력 2004-02-22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고속철도가 개통되면 수도권의 인구 집중이 심화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지방시대가 열릴 거라는 정부의 예측을 뒤집는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민필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오는 4월 고속철이 개통되면 전국이 반나절 생활권이 되면서 전국토가 균형발전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고속철도가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을 더 가속화시킬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국토연구원의 연구로는 고속철도가 개통되면 경기도 인구는 앞으로 10년간 4만 6000여 명, 인천은 1만 5000여 명이 더 늘어나게 됩니다.
그러나 이 같은 인구증가는 교육이나 일자리, 소득차이 등의 다른 변수를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실제로는 더 많은 인구가 수도권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지금까지 지방에 살던 사람들도 고속철을 이용해 지방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결국 수도권이 충청권까지 확산되는 부작용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성호(서울대 교수/지역개발 전공): 수도권, 충청권, 특히 천안, 대전권까지 산업과 인구,경제활동이 집중되는 그런 형태로 되면 수도권보다 훨씬 더 큰 블랙홀이 생기는 거죠.
⊙기자: 이 때문에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입을 막기 위해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출퇴근할 경우 통근비를 보조하는 등의 추가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민필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