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속 강화 1년…얼마나 나아졌나

입력 2022.05.08 (07:04) 수정 2022.05.08 (07: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재난안전 정보를 한눈에 보여드립니다.

재난방송센터 문을 열겠습니다.

거리에 전동킥보드 정말 많아졌는데요.

안전모를 쓴 운전자 보신 적 있으신가요?

저는 잘 못 본 것 같습니다.

전동킥보드는 자동차와 달리 신체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돼 있죠.

또 중심을 잃기 쉬워서 사고 시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이제라도 안전모 꼭 써야겠습니다.

윤양균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동킥보드가 4차선 도로 중앙선을 넘어 가로지릅니다.

차도와 인도를 마음대로 오가기도 합니다.

킥보드 한 대에 두 명이 함께 타거나 안전모를 쓰지 않고 빠른 속도로 달리는 모습도 여전합니다.

위험천만한 사고도 많습니다.

골목에서 나오는 차량과 전동킥보드가 그대로 부딪히고 정면에서 오는 차량을 피하지 못해 넘어지기도 합니다.

[권혁만/택시 기사 : "잘 안 보이죠. 대각선 후미진 쪽에서 들어올 때는 굉장히 많이 (불안하다고) 느끼죠."]

지난해 5월부터 안전모를 착용하고 원동기면허를 소지하도록 하는 등 전동킥보드 이용 규정이 강화됐습니다.

경찰의 집중 단속도 함께 시작됐습니다.

지난해, 경찰이 적발한 전동킥보드나 전동휠 등 개인형 이동장치 법규 위반 건수는 7만 3천여 건, 하루 300건 이상 적발한 셈입니다.

안전모를 안 쓴 경우가 80%로 가장 많았고 면허 없이 운전을 하거나 술을 먹고 운전 한 경우도 만 건이 넘습니다.

이처럼 대대적인 단속에도 사고 건수는 줄지 않고 있습니다.

2017년 100여 건에 불과했던 사고는 지난해 1,700여 건까지 증가했습니다.

해마다 2배 정도씩 늘어난 겁니다.

[조재형/경찰청 교통안전계장 : "지난해 법이 개정돼서 실제 단속을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문화로까지 정착되지 못하면서."]

전동 킥보드는 자동차와 달리 신체가 외부에 노출돼 있고, 중심을 잃기 쉬워 사고가 나면 치명적인 손상을 입게 됩니다.

단속이 무서워서가 아니라 전동킥보드 이용자 스스로 안전 규칙을 지켜야 할 이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속 강화 1년…얼마나 나아졌나
    • 입력 2022-05-08 07:04:30
    • 수정2022-05-08 07:10:04
    KBS 재난방송센터
[앵커]

재난안전 정보를 한눈에 보여드립니다.

재난방송센터 문을 열겠습니다.

거리에 전동킥보드 정말 많아졌는데요.

안전모를 쓴 운전자 보신 적 있으신가요?

저는 잘 못 본 것 같습니다.

전동킥보드는 자동차와 달리 신체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돼 있죠.

또 중심을 잃기 쉬워서 사고 시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이제라도 안전모 꼭 써야겠습니다.

윤양균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동킥보드가 4차선 도로 중앙선을 넘어 가로지릅니다.

차도와 인도를 마음대로 오가기도 합니다.

킥보드 한 대에 두 명이 함께 타거나 안전모를 쓰지 않고 빠른 속도로 달리는 모습도 여전합니다.

위험천만한 사고도 많습니다.

골목에서 나오는 차량과 전동킥보드가 그대로 부딪히고 정면에서 오는 차량을 피하지 못해 넘어지기도 합니다.

[권혁만/택시 기사 : "잘 안 보이죠. 대각선 후미진 쪽에서 들어올 때는 굉장히 많이 (불안하다고) 느끼죠."]

지난해 5월부터 안전모를 착용하고 원동기면허를 소지하도록 하는 등 전동킥보드 이용 규정이 강화됐습니다.

경찰의 집중 단속도 함께 시작됐습니다.

지난해, 경찰이 적발한 전동킥보드나 전동휠 등 개인형 이동장치 법규 위반 건수는 7만 3천여 건, 하루 300건 이상 적발한 셈입니다.

안전모를 안 쓴 경우가 80%로 가장 많았고 면허 없이 운전을 하거나 술을 먹고 운전 한 경우도 만 건이 넘습니다.

이처럼 대대적인 단속에도 사고 건수는 줄지 않고 있습니다.

2017년 100여 건에 불과했던 사고는 지난해 1,700여 건까지 증가했습니다.

해마다 2배 정도씩 늘어난 겁니다.

[조재형/경찰청 교통안전계장 : "지난해 법이 개정돼서 실제 단속을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문화로까지 정착되지 못하면서."]

전동 킥보드는 자동차와 달리 신체가 외부에 노출돼 있고, 중심을 잃기 쉬워 사고가 나면 치명적인 손상을 입게 됩니다.

단속이 무서워서가 아니라 전동킥보드 이용자 스스로 안전 규칙을 지켜야 할 이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