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 나도 ‘식량 보호주의’…밀·닭고기·설탕에다 쌀까지

입력 2022.06.04 (21:13) 수정 2022.06.04 (21: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세계 식량 가격이 급등하면서 각국이 식량 수출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자국에서 가격이 급등하는 걸 막기 위해 식량 보호주의가 확산하고 있는 건데요.

이제는 쌀까지 수출 금지가 검토되고 있다는데, 세계 식량 위기는 물론 기아 인구 증가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방콕 김원장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갑작스런 수출 금지조치에 밀 수송 트럭 수 천 여 대가 항구에서 갈 곳을 잃었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밀 수출이 중단된 가운데, 세계 두번째 밀 생산국인 인도가 밀 수출을 전면 금지했기 때문입니다.

말레이시아는 이달 1일부터 닭고기 수출을 전면 중단했습니다.

역시 국내 가격을 잡기 위해서인데, 그러자 주변국 싱가포르 식당 메뉴에서 닭고기가 사라졌습니다.

[제이슨 찬/프랜차이즈 식당 점주/싱가포르 CNA 뉴스 : "(말레이시아가 수출을 중단한다는) 뉴스가 나오고 하루도 안돼 닭고기 가격이 15~20% 뛰었습니다."]

지난달 25일부터 설탕 수출까지 제한하고 있는 인도는 쌀 수출 금지까지 검토 중입니다.

세계 최대 쌀 수출국인 인도에 이어 2위와 3위인 베트남과 태국도 수출되는 쌀 가격을 올린다는 방침입니다.

태국과 베트남 정부는 밀 가격은 급등했는데, 수출되는 쌀 가격은 여전히 낮다며 자국 농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쌀의 수출가 인상이 필요하단 입장입니다.

터키는 양고기를, 세르비아와 카자흐스탄도 곡물 수출을 제한하는 등 식량 수출을 규제하는 나라들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브라질 인구의 36%가 기아에 직면하는 등 이같은 식량 보호주의는 가난한 나라의 식량 위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브라질 주민 : "저는 노숙자인데, 이 1레알(260원)짜리 식사가 없으면 오늘 하루 굶는거죠."]

[마리아 산체즈/페루 주민 : "이 정부 보조 식당마저 문을 닫으면 엄마들에겐 끔찍한 일이 벌어질 거예요."]

유엔세계식량계획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전 세계에서 4,700만 명이 추가로 굶주림에 직면했다고 분석했습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김원장입니다.

촬영:이윤민/편집:이현모/자료조사:이지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너도 나도 ‘식량 보호주의’…밀·닭고기·설탕에다 쌀까지
    • 입력 2022-06-04 21:13:57
    • 수정2022-06-04 21:47:14
    뉴스 9
[앵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세계 식량 가격이 급등하면서 각국이 식량 수출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자국에서 가격이 급등하는 걸 막기 위해 식량 보호주의가 확산하고 있는 건데요.

이제는 쌀까지 수출 금지가 검토되고 있다는데, 세계 식량 위기는 물론 기아 인구 증가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방콕 김원장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갑작스런 수출 금지조치에 밀 수송 트럭 수 천 여 대가 항구에서 갈 곳을 잃었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밀 수출이 중단된 가운데, 세계 두번째 밀 생산국인 인도가 밀 수출을 전면 금지했기 때문입니다.

말레이시아는 이달 1일부터 닭고기 수출을 전면 중단했습니다.

역시 국내 가격을 잡기 위해서인데, 그러자 주변국 싱가포르 식당 메뉴에서 닭고기가 사라졌습니다.

[제이슨 찬/프랜차이즈 식당 점주/싱가포르 CNA 뉴스 : "(말레이시아가 수출을 중단한다는) 뉴스가 나오고 하루도 안돼 닭고기 가격이 15~20% 뛰었습니다."]

지난달 25일부터 설탕 수출까지 제한하고 있는 인도는 쌀 수출 금지까지 검토 중입니다.

세계 최대 쌀 수출국인 인도에 이어 2위와 3위인 베트남과 태국도 수출되는 쌀 가격을 올린다는 방침입니다.

태국과 베트남 정부는 밀 가격은 급등했는데, 수출되는 쌀 가격은 여전히 낮다며 자국 농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쌀의 수출가 인상이 필요하단 입장입니다.

터키는 양고기를, 세르비아와 카자흐스탄도 곡물 수출을 제한하는 등 식량 수출을 규제하는 나라들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브라질 인구의 36%가 기아에 직면하는 등 이같은 식량 보호주의는 가난한 나라의 식량 위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브라질 주민 : "저는 노숙자인데, 이 1레알(260원)짜리 식사가 없으면 오늘 하루 굶는거죠."]

[마리아 산체즈/페루 주민 : "이 정부 보조 식당마저 문을 닫으면 엄마들에겐 끔찍한 일이 벌어질 거예요."]

유엔세계식량계획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전 세계에서 4,700만 명이 추가로 굶주림에 직면했다고 분석했습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김원장입니다.

촬영:이윤민/편집:이현모/자료조사:이지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