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 중국 2분기 PCR 검사에 33조 지출?…비용 논쟁 격화
입력 2022.06.16 (18:04)
수정 2022.06.16 (18: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중국은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면서 코로나19가 확산한다 싶으면 전 시민을 대상으로 전수 검사를 한다는데요.
비용이 천문학적으로 늘어나면서 이를 두고 논쟁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베이징 연결합니다!
이랑 특파원!
우리는 "밥 먹었냐?" 이런 인사를 하는데 요새 중국인들은 색다른 인사를 한다면서요?
[기자]
네, 중국인들도 인사로 "밥 먹었냐?" 이런 말을 자주 하곤 하는데, 최근에는 "오늘 핵산검사 했냐?" 이렇게 물어봅니다.
어제까지 제가 있는 베이징 차오양구 전체 시민 400만 명 정도가 월, 화, 수요일 연속 3일 PCR 검사를 받았는데요.
오늘부터 또 다시 3일 연속 전수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렇게 매일 받아야 하니까 "오늘은 검사받았니?" 인사를 하는 거죠.
이런 전수 PCR 검사가 이번이 처음도 아닙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뚜렷했던 4월 말부터 5월까지, 베이징시에서는 사실상 2200만 시민을 대상으로 PCR 전수 검사를 3일 내리했는데, 한달여 동안 이런 식의 검사를 3차례 이상 진행했습니다.
[앵커]
2천 200만 시민을 다 검사한다고요?
베이징시만 이렇게 하는 건가요?
[기자]
아닙니다.
베이징시를 포함해서 코로나19 감염증 확산세가 보이는 지역이면 대부분이 전수 검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6월 1일, 65일 만에 공식적으로 봉쇄가 풀린 상하이시가 대표적인데요.
[자오단단/상하이시 위생건강위원회 부주임 : "핵산 검사(PCR 검사)는 전염병 감시와 조기 경보 민감성을 높이고 잠재적 위험을 빨리 발견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중국 방역 당국이 언급한 것처럼 중국에서는 무엇보다 조기에 감염자를 찾아내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은 둥타이 칭링이라고 해서 다이내믹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데, 이 정책의 기본이 감염자를 빠르게 식별해서 격리시키는 겁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선제적 전수 검사가 중요하다는 것이죠.
그러다보니 상하이시는 봉쇄가 공식적으로는 풀렸는데, 또 다시 간헐적으로 봉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무슨 말이냐면, 상하이시 상당수 지역에서 감염자가 계속 나오니까 주말에 전수 PCR 검사를 진행하고 결과가 나올 때까지 집 밖을 못나가게 하는 겁니다.
지난 주말에 이어 오는 18일 토요일부터는 아예 주말마다 전 주민 PCR 검사를 하기로 했습니다.
이같은 조치는 7월까지 이어질 예정입니다.
[장지엔/상하이 시민 : "전수 검사를 하고, 또 감염자가 나오면 일자리를 포함해 우리 삶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입니다."]
[앵커]
봉쇄 아닌 봉쇄군요.
그런데 수천 만 명, 수백만 명 이렇게 전수 검사를 하면 비용이 어마어마하겠는데요?
[기자]
네, 일단 이렇게 전수 검사를 수시로 하고 있는 베이징시, 상하이시 등은 모두 검사비용을 받지 않고 있어요.
비용 받는다고 하면 검사를 회피할 수도 있으니까 이렇게 진행을 하는건데요.
중국 둥우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4월부터 6월까지 석달 동안 중국에서 진행된 코로나19 검사가 108억 건입니다.
전체 비용은 1,746억 위안, 우리 돈 33조 3,4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게 어느 정도냐면, 캄보디아의 연간 국내총생산, GDP를 넘어서는 규모입니다.
앞서 이 증권사는 연간 코로나19 검사 비용이 320조 원에 달할 것이라고 추산하기도 했습니다.
베이징, 상하이 등 중국 4대 '1선 도시'와 2선 도시 30곳에서 검사를 진행했을 경우를 기반으로 산출한 비용입니다.
[앵커]
수백 조에 달하는 금액을 시민들이 내지 않는다면, 어떻게 처리를 한다는 거죠?
[기자]
기본적으로 의무 전수 검사 비용은 중국 지방정부 재정에서 부담을 하게 되는데요.
그래서 검사 비용과 관련해 논쟁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지방정부로서는 가뜩이나 코로나19 확산으로 재정 수입이 줄어들었는데 거액의 검사 비용까지 떠안게 되는 셈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방역 당국이 직접 나서서 코로나19 검사 일상화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CCTV 보도/지난 9일 : "(방역 당국 관계자는) 과학적으로 핵산 검사 전략을 수립하고, 핵산 검사 범위와 빈도를 정해, 맹목적으로 전원 핵산 검사를 전개하는 범위를 확대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검사의 일상화가 시민들에게도 불편한 일이고 지방 재정에도 부담이 되기 때문에 맹목적으로 검사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코로나19 검사에 따른 지출이 중국 2분기 경제 성장률을 0.62%p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면서, 일상적 검사의 긍정 효과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이창준
중국은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면서 코로나19가 확산한다 싶으면 전 시민을 대상으로 전수 검사를 한다는데요.
비용이 천문학적으로 늘어나면서 이를 두고 논쟁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베이징 연결합니다!
이랑 특파원!
우리는 "밥 먹었냐?" 이런 인사를 하는데 요새 중국인들은 색다른 인사를 한다면서요?
[기자]
네, 중국인들도 인사로 "밥 먹었냐?" 이런 말을 자주 하곤 하는데, 최근에는 "오늘 핵산검사 했냐?" 이렇게 물어봅니다.
어제까지 제가 있는 베이징 차오양구 전체 시민 400만 명 정도가 월, 화, 수요일 연속 3일 PCR 검사를 받았는데요.
오늘부터 또 다시 3일 연속 전수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렇게 매일 받아야 하니까 "오늘은 검사받았니?" 인사를 하는 거죠.
이런 전수 PCR 검사가 이번이 처음도 아닙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뚜렷했던 4월 말부터 5월까지, 베이징시에서는 사실상 2200만 시민을 대상으로 PCR 전수 검사를 3일 내리했는데, 한달여 동안 이런 식의 검사를 3차례 이상 진행했습니다.
[앵커]
2천 200만 시민을 다 검사한다고요?
베이징시만 이렇게 하는 건가요?
[기자]
아닙니다.
베이징시를 포함해서 코로나19 감염증 확산세가 보이는 지역이면 대부분이 전수 검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6월 1일, 65일 만에 공식적으로 봉쇄가 풀린 상하이시가 대표적인데요.
[자오단단/상하이시 위생건강위원회 부주임 : "핵산 검사(PCR 검사)는 전염병 감시와 조기 경보 민감성을 높이고 잠재적 위험을 빨리 발견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중국 방역 당국이 언급한 것처럼 중국에서는 무엇보다 조기에 감염자를 찾아내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은 둥타이 칭링이라고 해서 다이내믹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데, 이 정책의 기본이 감염자를 빠르게 식별해서 격리시키는 겁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선제적 전수 검사가 중요하다는 것이죠.
그러다보니 상하이시는 봉쇄가 공식적으로는 풀렸는데, 또 다시 간헐적으로 봉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무슨 말이냐면, 상하이시 상당수 지역에서 감염자가 계속 나오니까 주말에 전수 PCR 검사를 진행하고 결과가 나올 때까지 집 밖을 못나가게 하는 겁니다.
지난 주말에 이어 오는 18일 토요일부터는 아예 주말마다 전 주민 PCR 검사를 하기로 했습니다.
이같은 조치는 7월까지 이어질 예정입니다.
[장지엔/상하이 시민 : "전수 검사를 하고, 또 감염자가 나오면 일자리를 포함해 우리 삶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입니다."]
[앵커]
봉쇄 아닌 봉쇄군요.
그런데 수천 만 명, 수백만 명 이렇게 전수 검사를 하면 비용이 어마어마하겠는데요?
[기자]
네, 일단 이렇게 전수 검사를 수시로 하고 있는 베이징시, 상하이시 등은 모두 검사비용을 받지 않고 있어요.
비용 받는다고 하면 검사를 회피할 수도 있으니까 이렇게 진행을 하는건데요.
중국 둥우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4월부터 6월까지 석달 동안 중국에서 진행된 코로나19 검사가 108억 건입니다.
전체 비용은 1,746억 위안, 우리 돈 33조 3,4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게 어느 정도냐면, 캄보디아의 연간 국내총생산, GDP를 넘어서는 규모입니다.
앞서 이 증권사는 연간 코로나19 검사 비용이 320조 원에 달할 것이라고 추산하기도 했습니다.
베이징, 상하이 등 중국 4대 '1선 도시'와 2선 도시 30곳에서 검사를 진행했을 경우를 기반으로 산출한 비용입니다.
[앵커]
수백 조에 달하는 금액을 시민들이 내지 않는다면, 어떻게 처리를 한다는 거죠?
[기자]
기본적으로 의무 전수 검사 비용은 중국 지방정부 재정에서 부담을 하게 되는데요.
그래서 검사 비용과 관련해 논쟁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지방정부로서는 가뜩이나 코로나19 확산으로 재정 수입이 줄어들었는데 거액의 검사 비용까지 떠안게 되는 셈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방역 당국이 직접 나서서 코로나19 검사 일상화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CCTV 보도/지난 9일 : "(방역 당국 관계자는) 과학적으로 핵산 검사 전략을 수립하고, 핵산 검사 범위와 빈도를 정해, 맹목적으로 전원 핵산 검사를 전개하는 범위를 확대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검사의 일상화가 시민들에게도 불편한 일이고 지방 재정에도 부담이 되기 때문에 맹목적으로 검사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코로나19 검사에 따른 지출이 중국 2분기 경제 성장률을 0.62%p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면서, 일상적 검사의 긍정 효과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이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ET] 중국 2분기 PCR 검사에 33조 지출?…비용 논쟁 격화
-
- 입력 2022-06-16 18:04:49
- 수정2022-06-16 18:20:06
[앵커]
중국은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면서 코로나19가 확산한다 싶으면 전 시민을 대상으로 전수 검사를 한다는데요.
비용이 천문학적으로 늘어나면서 이를 두고 논쟁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베이징 연결합니다!
이랑 특파원!
우리는 "밥 먹었냐?" 이런 인사를 하는데 요새 중국인들은 색다른 인사를 한다면서요?
[기자]
네, 중국인들도 인사로 "밥 먹었냐?" 이런 말을 자주 하곤 하는데, 최근에는 "오늘 핵산검사 했냐?" 이렇게 물어봅니다.
어제까지 제가 있는 베이징 차오양구 전체 시민 400만 명 정도가 월, 화, 수요일 연속 3일 PCR 검사를 받았는데요.
오늘부터 또 다시 3일 연속 전수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렇게 매일 받아야 하니까 "오늘은 검사받았니?" 인사를 하는 거죠.
이런 전수 PCR 검사가 이번이 처음도 아닙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뚜렷했던 4월 말부터 5월까지, 베이징시에서는 사실상 2200만 시민을 대상으로 PCR 전수 검사를 3일 내리했는데, 한달여 동안 이런 식의 검사를 3차례 이상 진행했습니다.
[앵커]
2천 200만 시민을 다 검사한다고요?
베이징시만 이렇게 하는 건가요?
[기자]
아닙니다.
베이징시를 포함해서 코로나19 감염증 확산세가 보이는 지역이면 대부분이 전수 검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6월 1일, 65일 만에 공식적으로 봉쇄가 풀린 상하이시가 대표적인데요.
[자오단단/상하이시 위생건강위원회 부주임 : "핵산 검사(PCR 검사)는 전염병 감시와 조기 경보 민감성을 높이고 잠재적 위험을 빨리 발견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중국 방역 당국이 언급한 것처럼 중국에서는 무엇보다 조기에 감염자를 찾아내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은 둥타이 칭링이라고 해서 다이내믹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데, 이 정책의 기본이 감염자를 빠르게 식별해서 격리시키는 겁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선제적 전수 검사가 중요하다는 것이죠.
그러다보니 상하이시는 봉쇄가 공식적으로는 풀렸는데, 또 다시 간헐적으로 봉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무슨 말이냐면, 상하이시 상당수 지역에서 감염자가 계속 나오니까 주말에 전수 PCR 검사를 진행하고 결과가 나올 때까지 집 밖을 못나가게 하는 겁니다.
지난 주말에 이어 오는 18일 토요일부터는 아예 주말마다 전 주민 PCR 검사를 하기로 했습니다.
이같은 조치는 7월까지 이어질 예정입니다.
[장지엔/상하이 시민 : "전수 검사를 하고, 또 감염자가 나오면 일자리를 포함해 우리 삶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입니다."]
[앵커]
봉쇄 아닌 봉쇄군요.
그런데 수천 만 명, 수백만 명 이렇게 전수 검사를 하면 비용이 어마어마하겠는데요?
[기자]
네, 일단 이렇게 전수 검사를 수시로 하고 있는 베이징시, 상하이시 등은 모두 검사비용을 받지 않고 있어요.
비용 받는다고 하면 검사를 회피할 수도 있으니까 이렇게 진행을 하는건데요.
중국 둥우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4월부터 6월까지 석달 동안 중국에서 진행된 코로나19 검사가 108억 건입니다.
전체 비용은 1,746억 위안, 우리 돈 33조 3,4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게 어느 정도냐면, 캄보디아의 연간 국내총생산, GDP를 넘어서는 규모입니다.
앞서 이 증권사는 연간 코로나19 검사 비용이 320조 원에 달할 것이라고 추산하기도 했습니다.
베이징, 상하이 등 중국 4대 '1선 도시'와 2선 도시 30곳에서 검사를 진행했을 경우를 기반으로 산출한 비용입니다.
[앵커]
수백 조에 달하는 금액을 시민들이 내지 않는다면, 어떻게 처리를 한다는 거죠?
[기자]
기본적으로 의무 전수 검사 비용은 중국 지방정부 재정에서 부담을 하게 되는데요.
그래서 검사 비용과 관련해 논쟁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지방정부로서는 가뜩이나 코로나19 확산으로 재정 수입이 줄어들었는데 거액의 검사 비용까지 떠안게 되는 셈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방역 당국이 직접 나서서 코로나19 검사 일상화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CCTV 보도/지난 9일 : "(방역 당국 관계자는) 과학적으로 핵산 검사 전략을 수립하고, 핵산 검사 범위와 빈도를 정해, 맹목적으로 전원 핵산 검사를 전개하는 범위를 확대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검사의 일상화가 시민들에게도 불편한 일이고 지방 재정에도 부담이 되기 때문에 맹목적으로 검사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코로나19 검사에 따른 지출이 중국 2분기 경제 성장률을 0.62%p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면서, 일상적 검사의 긍정 효과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이창준
중국은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면서 코로나19가 확산한다 싶으면 전 시민을 대상으로 전수 검사를 한다는데요.
비용이 천문학적으로 늘어나면서 이를 두고 논쟁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베이징 연결합니다!
이랑 특파원!
우리는 "밥 먹었냐?" 이런 인사를 하는데 요새 중국인들은 색다른 인사를 한다면서요?
[기자]
네, 중국인들도 인사로 "밥 먹었냐?" 이런 말을 자주 하곤 하는데, 최근에는 "오늘 핵산검사 했냐?" 이렇게 물어봅니다.
어제까지 제가 있는 베이징 차오양구 전체 시민 400만 명 정도가 월, 화, 수요일 연속 3일 PCR 검사를 받았는데요.
오늘부터 또 다시 3일 연속 전수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렇게 매일 받아야 하니까 "오늘은 검사받았니?" 인사를 하는 거죠.
이런 전수 PCR 검사가 이번이 처음도 아닙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뚜렷했던 4월 말부터 5월까지, 베이징시에서는 사실상 2200만 시민을 대상으로 PCR 전수 검사를 3일 내리했는데, 한달여 동안 이런 식의 검사를 3차례 이상 진행했습니다.
[앵커]
2천 200만 시민을 다 검사한다고요?
베이징시만 이렇게 하는 건가요?
[기자]
아닙니다.
베이징시를 포함해서 코로나19 감염증 확산세가 보이는 지역이면 대부분이 전수 검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6월 1일, 65일 만에 공식적으로 봉쇄가 풀린 상하이시가 대표적인데요.
[자오단단/상하이시 위생건강위원회 부주임 : "핵산 검사(PCR 검사)는 전염병 감시와 조기 경보 민감성을 높이고 잠재적 위험을 빨리 발견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중국 방역 당국이 언급한 것처럼 중국에서는 무엇보다 조기에 감염자를 찾아내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은 둥타이 칭링이라고 해서 다이내믹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데, 이 정책의 기본이 감염자를 빠르게 식별해서 격리시키는 겁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선제적 전수 검사가 중요하다는 것이죠.
그러다보니 상하이시는 봉쇄가 공식적으로는 풀렸는데, 또 다시 간헐적으로 봉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무슨 말이냐면, 상하이시 상당수 지역에서 감염자가 계속 나오니까 주말에 전수 PCR 검사를 진행하고 결과가 나올 때까지 집 밖을 못나가게 하는 겁니다.
지난 주말에 이어 오는 18일 토요일부터는 아예 주말마다 전 주민 PCR 검사를 하기로 했습니다.
이같은 조치는 7월까지 이어질 예정입니다.
[장지엔/상하이 시민 : "전수 검사를 하고, 또 감염자가 나오면 일자리를 포함해 우리 삶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입니다."]
[앵커]
봉쇄 아닌 봉쇄군요.
그런데 수천 만 명, 수백만 명 이렇게 전수 검사를 하면 비용이 어마어마하겠는데요?
[기자]
네, 일단 이렇게 전수 검사를 수시로 하고 있는 베이징시, 상하이시 등은 모두 검사비용을 받지 않고 있어요.
비용 받는다고 하면 검사를 회피할 수도 있으니까 이렇게 진행을 하는건데요.
중국 둥우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4월부터 6월까지 석달 동안 중국에서 진행된 코로나19 검사가 108억 건입니다.
전체 비용은 1,746억 위안, 우리 돈 33조 3,4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게 어느 정도냐면, 캄보디아의 연간 국내총생산, GDP를 넘어서는 규모입니다.
앞서 이 증권사는 연간 코로나19 검사 비용이 320조 원에 달할 것이라고 추산하기도 했습니다.
베이징, 상하이 등 중국 4대 '1선 도시'와 2선 도시 30곳에서 검사를 진행했을 경우를 기반으로 산출한 비용입니다.
[앵커]
수백 조에 달하는 금액을 시민들이 내지 않는다면, 어떻게 처리를 한다는 거죠?
[기자]
기본적으로 의무 전수 검사 비용은 중국 지방정부 재정에서 부담을 하게 되는데요.
그래서 검사 비용과 관련해 논쟁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지방정부로서는 가뜩이나 코로나19 확산으로 재정 수입이 줄어들었는데 거액의 검사 비용까지 떠안게 되는 셈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방역 당국이 직접 나서서 코로나19 검사 일상화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CCTV 보도/지난 9일 : "(방역 당국 관계자는) 과학적으로 핵산 검사 전략을 수립하고, 핵산 검사 범위와 빈도를 정해, 맹목적으로 전원 핵산 검사를 전개하는 범위를 확대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검사의 일상화가 시민들에게도 불편한 일이고 지방 재정에도 부담이 되기 때문에 맹목적으로 검사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코로나19 검사에 따른 지출이 중국 2분기 경제 성장률을 0.62%p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면서, 일상적 검사의 긍정 효과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이창준
-
-
이랑 기자 herb@kbs.co.kr
이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