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人] 한글에 세상을 담아…‘한글서예가’ 구경숙
입력 2022.06.21 (19:34)
수정 2022.06.21 (20: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컴퓨터와 휴대전화 사용으로 쓰는 대신 누르는 글자가 많아졌죠.
손글씨와 점점 멀어지는 시대에 서예를 통해 한글의 우수성과 뛰어난 조형미를 전하는 작가를 경남인에서 만나보시죠.
[리포트]
궁중에서 만든 궁체부터 목판에 새기던 판본체까지.
모든 서체를 넘나들며 한글에 새 숨을 불어넣는 작가.
[구경숙/한글서예가 : "선의 활달함과 장단의 고결함 그리고 속도감도 낼 수 있어서 좋고…."]
시간이 완성한 붓끝에서 한글은 글자를 뛰어넘어 살아 움직이는 울림이 됩니다.
구경숙 작가가 지도하는 한글서예반.
다양한 연령의 수강생들이 한글 쓰는 재미에 푹 빠졌습니다.
한국화를 전공하다 한글서예에 입문한 청년도, 한자 세대인 여든다섯의 어르신도, 잊고 지낸 한글의 가치를 발견합니다.
[박종문/창원시 진동면 : "소리를 마음대로 우리 글씨로써 표현할 수 있다는 거 그게 참 우수하죠. 후손들이 이걸 잊지 않고 잘 전수해 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게 우리 국민의 의무고…."]
삼시 세끼 밥을 먹듯 하루도 빠짐없이 붓을 들고 한글서예와 함께한 지 40년.
짙은 묵향과 먹색은 서예를 이어온 원동력이고, 한글은 글자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여기에서 문학도 있고 철학도 있고 모든 사상이 다 들어 있는 거 같더라고요. 세상의 색깔을 다 합치면 검정색이 나오잖아요. 그 속에서 어떤 모르는 부분을 자꾸 알아가기 위해서…."]
한글에 어울리는 서체를 연구하며 구슬 꿰듯 글자를 모은 집자 노트가 수십 권.
한 글자, 한 글자 모으고 쓰다 보니 한글은 더 다채로워졌습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이 아름다운 장미의 계절에 내가 눈물 속에 피워낸 기쁨 한 송이 받으시고 내내 행복하십시오."]
생각날 때마다 기록해 둔 글귀는 맵시 있는 글씨로 다시 태어나는데요,
활달한 선의 질감은 시간의 결과물입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차에 실으면 트럭에 실으면 한 트럭은 넘을 겁니다. 소년 명창은 있어도 소년 명필가는 없다는 말이 있더라고요. 그만큼 서예가 많은 세월과 생활 속에서 이렇게 쭉 이어가야 서예의 선이 나오고 글이 나오고 작품이 나오는 것 같아요."]
원칙과 기교가 조화로우면서 간결하고 단아한 서체로, 독일, 중국 등 해외전시회에서 한글의 아름다움을 알리기도 했는데요.
전통을 재해석하면서 항상 새로운 작업을 탐구 중입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작품 구상한다고 이렇게 만들어 봤어요. 선의 질감을 살려서 현대풍의 집에 어떻게 하면 좀 어울릴 수 있을까…."]
40년간 서예를 했지만 붓을 드는 매 순간이 겸손을 배우는 과정인데요.
2004년부터 한글 서체를 배워온 동료 서예 작가는 아낌없는 찬사를 보냅니다.
[이순화/서예 작가 : "어려운 봉서체(가) 마지막 과정인데 제가 볼 때는 한샘 선생님이 최고로 잘하시고 필력도 세고 한글 서예가로는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쉽게 한글의 멋에 다가갈 수 있도록 캘리그래피 강의도 열심입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이렇게 열심히 해서 사랑의 집에서도 잘해나갔으면 좋겠다."]
한글을 쓰면서 자신감이 생긴 태호군, 아이에게 글씨를 선물하고 싶은 예비 엄마. 모두에게 한글은 행복한 선물입니다.
[김태호/창원시 진동면 : "평소에도 글 쓰는 걸 좋아하고 재밌으니깐 글도 예쁘게 쓸 수 있어서 좋고 기분이 좋아집니다."]
[이나겸/창원시 신포동 : "이렇게 예쁜 글자라는 것과 써 보니까 뭔가 정감이 가고 태아에게도 좋다고 해서 태명이나 좋은 글자를 많이 써주고 싶습니다."]
보고 느끼는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는 한글은 세상을 담는 그릇입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한글은 글이 아니라 마음도 담고, 풍경도 담고, 우리 마음의 정도 담아 갈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한글로 마음을 전하고 사람을 연결하며 작가는 오늘도 함께 행복한 세상을 꿈꿉니다.
컴퓨터와 휴대전화 사용으로 쓰는 대신 누르는 글자가 많아졌죠.
손글씨와 점점 멀어지는 시대에 서예를 통해 한글의 우수성과 뛰어난 조형미를 전하는 작가를 경남인에서 만나보시죠.
[리포트]
궁중에서 만든 궁체부터 목판에 새기던 판본체까지.
모든 서체를 넘나들며 한글에 새 숨을 불어넣는 작가.
[구경숙/한글서예가 : "선의 활달함과 장단의 고결함 그리고 속도감도 낼 수 있어서 좋고…."]
시간이 완성한 붓끝에서 한글은 글자를 뛰어넘어 살아 움직이는 울림이 됩니다.
구경숙 작가가 지도하는 한글서예반.
다양한 연령의 수강생들이 한글 쓰는 재미에 푹 빠졌습니다.
한국화를 전공하다 한글서예에 입문한 청년도, 한자 세대인 여든다섯의 어르신도, 잊고 지낸 한글의 가치를 발견합니다.
[박종문/창원시 진동면 : "소리를 마음대로 우리 글씨로써 표현할 수 있다는 거 그게 참 우수하죠. 후손들이 이걸 잊지 않고 잘 전수해 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게 우리 국민의 의무고…."]
삼시 세끼 밥을 먹듯 하루도 빠짐없이 붓을 들고 한글서예와 함께한 지 40년.
짙은 묵향과 먹색은 서예를 이어온 원동력이고, 한글은 글자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여기에서 문학도 있고 철학도 있고 모든 사상이 다 들어 있는 거 같더라고요. 세상의 색깔을 다 합치면 검정색이 나오잖아요. 그 속에서 어떤 모르는 부분을 자꾸 알아가기 위해서…."]
한글에 어울리는 서체를 연구하며 구슬 꿰듯 글자를 모은 집자 노트가 수십 권.
한 글자, 한 글자 모으고 쓰다 보니 한글은 더 다채로워졌습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이 아름다운 장미의 계절에 내가 눈물 속에 피워낸 기쁨 한 송이 받으시고 내내 행복하십시오."]
생각날 때마다 기록해 둔 글귀는 맵시 있는 글씨로 다시 태어나는데요,
활달한 선의 질감은 시간의 결과물입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차에 실으면 트럭에 실으면 한 트럭은 넘을 겁니다. 소년 명창은 있어도 소년 명필가는 없다는 말이 있더라고요. 그만큼 서예가 많은 세월과 생활 속에서 이렇게 쭉 이어가야 서예의 선이 나오고 글이 나오고 작품이 나오는 것 같아요."]
원칙과 기교가 조화로우면서 간결하고 단아한 서체로, 독일, 중국 등 해외전시회에서 한글의 아름다움을 알리기도 했는데요.
전통을 재해석하면서 항상 새로운 작업을 탐구 중입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작품 구상한다고 이렇게 만들어 봤어요. 선의 질감을 살려서 현대풍의 집에 어떻게 하면 좀 어울릴 수 있을까…."]
40년간 서예를 했지만 붓을 드는 매 순간이 겸손을 배우는 과정인데요.
2004년부터 한글 서체를 배워온 동료 서예 작가는 아낌없는 찬사를 보냅니다.
[이순화/서예 작가 : "어려운 봉서체(가) 마지막 과정인데 제가 볼 때는 한샘 선생님이 최고로 잘하시고 필력도 세고 한글 서예가로는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쉽게 한글의 멋에 다가갈 수 있도록 캘리그래피 강의도 열심입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이렇게 열심히 해서 사랑의 집에서도 잘해나갔으면 좋겠다."]
한글을 쓰면서 자신감이 생긴 태호군, 아이에게 글씨를 선물하고 싶은 예비 엄마. 모두에게 한글은 행복한 선물입니다.
[김태호/창원시 진동면 : "평소에도 글 쓰는 걸 좋아하고 재밌으니깐 글도 예쁘게 쓸 수 있어서 좋고 기분이 좋아집니다."]
[이나겸/창원시 신포동 : "이렇게 예쁜 글자라는 것과 써 보니까 뭔가 정감이 가고 태아에게도 좋다고 해서 태명이나 좋은 글자를 많이 써주고 싶습니다."]
보고 느끼는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는 한글은 세상을 담는 그릇입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한글은 글이 아니라 마음도 담고, 풍경도 담고, 우리 마음의 정도 담아 갈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한글로 마음을 전하고 사람을 연결하며 작가는 오늘도 함께 행복한 세상을 꿈꿉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남人] 한글에 세상을 담아…‘한글서예가’ 구경숙
-
- 입력 2022-06-21 19:34:25
- 수정2022-06-21 20:11:27

[앵커]
컴퓨터와 휴대전화 사용으로 쓰는 대신 누르는 글자가 많아졌죠.
손글씨와 점점 멀어지는 시대에 서예를 통해 한글의 우수성과 뛰어난 조형미를 전하는 작가를 경남인에서 만나보시죠.
[리포트]
궁중에서 만든 궁체부터 목판에 새기던 판본체까지.
모든 서체를 넘나들며 한글에 새 숨을 불어넣는 작가.
[구경숙/한글서예가 : "선의 활달함과 장단의 고결함 그리고 속도감도 낼 수 있어서 좋고…."]
시간이 완성한 붓끝에서 한글은 글자를 뛰어넘어 살아 움직이는 울림이 됩니다.
구경숙 작가가 지도하는 한글서예반.
다양한 연령의 수강생들이 한글 쓰는 재미에 푹 빠졌습니다.
한국화를 전공하다 한글서예에 입문한 청년도, 한자 세대인 여든다섯의 어르신도, 잊고 지낸 한글의 가치를 발견합니다.
[박종문/창원시 진동면 : "소리를 마음대로 우리 글씨로써 표현할 수 있다는 거 그게 참 우수하죠. 후손들이 이걸 잊지 않고 잘 전수해 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게 우리 국민의 의무고…."]
삼시 세끼 밥을 먹듯 하루도 빠짐없이 붓을 들고 한글서예와 함께한 지 40년.
짙은 묵향과 먹색은 서예를 이어온 원동력이고, 한글은 글자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여기에서 문학도 있고 철학도 있고 모든 사상이 다 들어 있는 거 같더라고요. 세상의 색깔을 다 합치면 검정색이 나오잖아요. 그 속에서 어떤 모르는 부분을 자꾸 알아가기 위해서…."]
한글에 어울리는 서체를 연구하며 구슬 꿰듯 글자를 모은 집자 노트가 수십 권.
한 글자, 한 글자 모으고 쓰다 보니 한글은 더 다채로워졌습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이 아름다운 장미의 계절에 내가 눈물 속에 피워낸 기쁨 한 송이 받으시고 내내 행복하십시오."]
생각날 때마다 기록해 둔 글귀는 맵시 있는 글씨로 다시 태어나는데요,
활달한 선의 질감은 시간의 결과물입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차에 실으면 트럭에 실으면 한 트럭은 넘을 겁니다. 소년 명창은 있어도 소년 명필가는 없다는 말이 있더라고요. 그만큼 서예가 많은 세월과 생활 속에서 이렇게 쭉 이어가야 서예의 선이 나오고 글이 나오고 작품이 나오는 것 같아요."]
원칙과 기교가 조화로우면서 간결하고 단아한 서체로, 독일, 중국 등 해외전시회에서 한글의 아름다움을 알리기도 했는데요.
전통을 재해석하면서 항상 새로운 작업을 탐구 중입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작품 구상한다고 이렇게 만들어 봤어요. 선의 질감을 살려서 현대풍의 집에 어떻게 하면 좀 어울릴 수 있을까…."]
40년간 서예를 했지만 붓을 드는 매 순간이 겸손을 배우는 과정인데요.
2004년부터 한글 서체를 배워온 동료 서예 작가는 아낌없는 찬사를 보냅니다.
[이순화/서예 작가 : "어려운 봉서체(가) 마지막 과정인데 제가 볼 때는 한샘 선생님이 최고로 잘하시고 필력도 세고 한글 서예가로는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쉽게 한글의 멋에 다가갈 수 있도록 캘리그래피 강의도 열심입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이렇게 열심히 해서 사랑의 집에서도 잘해나갔으면 좋겠다."]
한글을 쓰면서 자신감이 생긴 태호군, 아이에게 글씨를 선물하고 싶은 예비 엄마. 모두에게 한글은 행복한 선물입니다.
[김태호/창원시 진동면 : "평소에도 글 쓰는 걸 좋아하고 재밌으니깐 글도 예쁘게 쓸 수 있어서 좋고 기분이 좋아집니다."]
[이나겸/창원시 신포동 : "이렇게 예쁜 글자라는 것과 써 보니까 뭔가 정감이 가고 태아에게도 좋다고 해서 태명이나 좋은 글자를 많이 써주고 싶습니다."]
보고 느끼는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는 한글은 세상을 담는 그릇입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한글은 글이 아니라 마음도 담고, 풍경도 담고, 우리 마음의 정도 담아 갈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한글로 마음을 전하고 사람을 연결하며 작가는 오늘도 함께 행복한 세상을 꿈꿉니다.
컴퓨터와 휴대전화 사용으로 쓰는 대신 누르는 글자가 많아졌죠.
손글씨와 점점 멀어지는 시대에 서예를 통해 한글의 우수성과 뛰어난 조형미를 전하는 작가를 경남인에서 만나보시죠.
[리포트]
궁중에서 만든 궁체부터 목판에 새기던 판본체까지.
모든 서체를 넘나들며 한글에 새 숨을 불어넣는 작가.
[구경숙/한글서예가 : "선의 활달함과 장단의 고결함 그리고 속도감도 낼 수 있어서 좋고…."]
시간이 완성한 붓끝에서 한글은 글자를 뛰어넘어 살아 움직이는 울림이 됩니다.
구경숙 작가가 지도하는 한글서예반.
다양한 연령의 수강생들이 한글 쓰는 재미에 푹 빠졌습니다.
한국화를 전공하다 한글서예에 입문한 청년도, 한자 세대인 여든다섯의 어르신도, 잊고 지낸 한글의 가치를 발견합니다.
[박종문/창원시 진동면 : "소리를 마음대로 우리 글씨로써 표현할 수 있다는 거 그게 참 우수하죠. 후손들이 이걸 잊지 않고 잘 전수해 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게 우리 국민의 의무고…."]
삼시 세끼 밥을 먹듯 하루도 빠짐없이 붓을 들고 한글서예와 함께한 지 40년.
짙은 묵향과 먹색은 서예를 이어온 원동력이고, 한글은 글자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여기에서 문학도 있고 철학도 있고 모든 사상이 다 들어 있는 거 같더라고요. 세상의 색깔을 다 합치면 검정색이 나오잖아요. 그 속에서 어떤 모르는 부분을 자꾸 알아가기 위해서…."]
한글에 어울리는 서체를 연구하며 구슬 꿰듯 글자를 모은 집자 노트가 수십 권.
한 글자, 한 글자 모으고 쓰다 보니 한글은 더 다채로워졌습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이 아름다운 장미의 계절에 내가 눈물 속에 피워낸 기쁨 한 송이 받으시고 내내 행복하십시오."]
생각날 때마다 기록해 둔 글귀는 맵시 있는 글씨로 다시 태어나는데요,
활달한 선의 질감은 시간의 결과물입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차에 실으면 트럭에 실으면 한 트럭은 넘을 겁니다. 소년 명창은 있어도 소년 명필가는 없다는 말이 있더라고요. 그만큼 서예가 많은 세월과 생활 속에서 이렇게 쭉 이어가야 서예의 선이 나오고 글이 나오고 작품이 나오는 것 같아요."]
원칙과 기교가 조화로우면서 간결하고 단아한 서체로, 독일, 중국 등 해외전시회에서 한글의 아름다움을 알리기도 했는데요.
전통을 재해석하면서 항상 새로운 작업을 탐구 중입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작품 구상한다고 이렇게 만들어 봤어요. 선의 질감을 살려서 현대풍의 집에 어떻게 하면 좀 어울릴 수 있을까…."]
40년간 서예를 했지만 붓을 드는 매 순간이 겸손을 배우는 과정인데요.
2004년부터 한글 서체를 배워온 동료 서예 작가는 아낌없는 찬사를 보냅니다.
[이순화/서예 작가 : "어려운 봉서체(가) 마지막 과정인데 제가 볼 때는 한샘 선생님이 최고로 잘하시고 필력도 세고 한글 서예가로는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쉽게 한글의 멋에 다가갈 수 있도록 캘리그래피 강의도 열심입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이렇게 열심히 해서 사랑의 집에서도 잘해나갔으면 좋겠다."]
한글을 쓰면서 자신감이 생긴 태호군, 아이에게 글씨를 선물하고 싶은 예비 엄마. 모두에게 한글은 행복한 선물입니다.
[김태호/창원시 진동면 : "평소에도 글 쓰는 걸 좋아하고 재밌으니깐 글도 예쁘게 쓸 수 있어서 좋고 기분이 좋아집니다."]
[이나겸/창원시 신포동 : "이렇게 예쁜 글자라는 것과 써 보니까 뭔가 정감이 가고 태아에게도 좋다고 해서 태명이나 좋은 글자를 많이 써주고 싶습니다."]
보고 느끼는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는 한글은 세상을 담는 그릇입니다.
[구경숙/한글서예가 : "한글은 글이 아니라 마음도 담고, 풍경도 담고, 우리 마음의 정도 담아 갈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한글로 마음을 전하고 사람을 연결하며 작가는 오늘도 함께 행복한 세상을 꿈꿉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