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라진 고수온에 적조도 우려…양식장 비상
입력 2022.07.07 (21:42)
수정 2022.07.07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때 이른 폭염이 바닷물 온도를 끌어 올리면서 해상 양식장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전남 5개 해역에 작년보다 열흘이나 빠르게 고수온 주의보가 내려졌고 적조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박지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어류 양식장 한구석에 물고기들이 한두 마리 떠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양식장 관리선에도 산소발생기가 설치되는 등 갑자기 오르는 수온에 어민들의 걱정도 커집니다.
[배민재/양식어민 : "(수온이) 한 번에 오르면 폐사 원인이 되니까 나누고 있어요. 밀식을 안 시키고 좀 나누고..."]
장맛비가 거의 내리지 않고 폭염은 계속되면서 전남 5개 해역에 고수온 주의보가 내려졌습니다.
3천 7백여 어가에서 175억 원의 고수온 피해가 난 지난해보다 열흘이나 빠릅니다.
함평만의 수온은 28.9도까지 올랐고 어류 양식장이 몰려있는 여수 가막만도 28도를 넘어섰습니다.
양식 적정 수온을 크게 웃돌아 넙치나 조피볼락의 한계 수온인 29도에 임박한 상황입니다.
또 전체 해역의 수온이 평년보다 1도가량 오를 것으로 전망되는 등 적조 우려도 불거지고 있습니다.
[최정기/전남도 해양수산국장 : "4-5년 주기로 이게 이뤄지고 있는데 올해는 저희들이 좀 적조에 대비를 해야 하지 않겠냐 해가지고 저희들이 방제선이라든가..."]
전라남도는 실시간으로 수온을 재 전파하는 등 피해를 줄이기 위해 고수온 대응 체계에 들어갔습니다.
또 양식 어민들에게 먹이 공급 중단과 조기 출하, 입식 신고와 재해 보험 가입을 유도한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촬영기자:신한비·김선오
때 이른 폭염이 바닷물 온도를 끌어 올리면서 해상 양식장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전남 5개 해역에 작년보다 열흘이나 빠르게 고수온 주의보가 내려졌고 적조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박지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어류 양식장 한구석에 물고기들이 한두 마리 떠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양식장 관리선에도 산소발생기가 설치되는 등 갑자기 오르는 수온에 어민들의 걱정도 커집니다.
[배민재/양식어민 : "(수온이) 한 번에 오르면 폐사 원인이 되니까 나누고 있어요. 밀식을 안 시키고 좀 나누고..."]
장맛비가 거의 내리지 않고 폭염은 계속되면서 전남 5개 해역에 고수온 주의보가 내려졌습니다.
3천 7백여 어가에서 175억 원의 고수온 피해가 난 지난해보다 열흘이나 빠릅니다.
함평만의 수온은 28.9도까지 올랐고 어류 양식장이 몰려있는 여수 가막만도 28도를 넘어섰습니다.
양식 적정 수온을 크게 웃돌아 넙치나 조피볼락의 한계 수온인 29도에 임박한 상황입니다.
또 전체 해역의 수온이 평년보다 1도가량 오를 것으로 전망되는 등 적조 우려도 불거지고 있습니다.
[최정기/전남도 해양수산국장 : "4-5년 주기로 이게 이뤄지고 있는데 올해는 저희들이 좀 적조에 대비를 해야 하지 않겠냐 해가지고 저희들이 방제선이라든가..."]
전라남도는 실시간으로 수온을 재 전파하는 등 피해를 줄이기 위해 고수온 대응 체계에 들어갔습니다.
또 양식 어민들에게 먹이 공급 중단과 조기 출하, 입식 신고와 재해 보험 가입을 유도한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촬영기자:신한비·김선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빨라진 고수온에 적조도 우려…양식장 비상
-
- 입력 2022-07-07 21:42:01
- 수정2022-07-07 22:01:21

[앵커]
때 이른 폭염이 바닷물 온도를 끌어 올리면서 해상 양식장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전남 5개 해역에 작년보다 열흘이나 빠르게 고수온 주의보가 내려졌고 적조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박지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어류 양식장 한구석에 물고기들이 한두 마리 떠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양식장 관리선에도 산소발생기가 설치되는 등 갑자기 오르는 수온에 어민들의 걱정도 커집니다.
[배민재/양식어민 : "(수온이) 한 번에 오르면 폐사 원인이 되니까 나누고 있어요. 밀식을 안 시키고 좀 나누고..."]
장맛비가 거의 내리지 않고 폭염은 계속되면서 전남 5개 해역에 고수온 주의보가 내려졌습니다.
3천 7백여 어가에서 175억 원의 고수온 피해가 난 지난해보다 열흘이나 빠릅니다.
함평만의 수온은 28.9도까지 올랐고 어류 양식장이 몰려있는 여수 가막만도 28도를 넘어섰습니다.
양식 적정 수온을 크게 웃돌아 넙치나 조피볼락의 한계 수온인 29도에 임박한 상황입니다.
또 전체 해역의 수온이 평년보다 1도가량 오를 것으로 전망되는 등 적조 우려도 불거지고 있습니다.
[최정기/전남도 해양수산국장 : "4-5년 주기로 이게 이뤄지고 있는데 올해는 저희들이 좀 적조에 대비를 해야 하지 않겠냐 해가지고 저희들이 방제선이라든가..."]
전라남도는 실시간으로 수온을 재 전파하는 등 피해를 줄이기 위해 고수온 대응 체계에 들어갔습니다.
또 양식 어민들에게 먹이 공급 중단과 조기 출하, 입식 신고와 재해 보험 가입을 유도한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촬영기자:신한비·김선오
때 이른 폭염이 바닷물 온도를 끌어 올리면서 해상 양식장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전남 5개 해역에 작년보다 열흘이나 빠르게 고수온 주의보가 내려졌고 적조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박지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어류 양식장 한구석에 물고기들이 한두 마리 떠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양식장 관리선에도 산소발생기가 설치되는 등 갑자기 오르는 수온에 어민들의 걱정도 커집니다.
[배민재/양식어민 : "(수온이) 한 번에 오르면 폐사 원인이 되니까 나누고 있어요. 밀식을 안 시키고 좀 나누고..."]
장맛비가 거의 내리지 않고 폭염은 계속되면서 전남 5개 해역에 고수온 주의보가 내려졌습니다.
3천 7백여 어가에서 175억 원의 고수온 피해가 난 지난해보다 열흘이나 빠릅니다.
함평만의 수온은 28.9도까지 올랐고 어류 양식장이 몰려있는 여수 가막만도 28도를 넘어섰습니다.
양식 적정 수온을 크게 웃돌아 넙치나 조피볼락의 한계 수온인 29도에 임박한 상황입니다.
또 전체 해역의 수온이 평년보다 1도가량 오를 것으로 전망되는 등 적조 우려도 불거지고 있습니다.
[최정기/전남도 해양수산국장 : "4-5년 주기로 이게 이뤄지고 있는데 올해는 저희들이 좀 적조에 대비를 해야 하지 않겠냐 해가지고 저희들이 방제선이라든가..."]
전라남도는 실시간으로 수온을 재 전파하는 등 피해를 줄이기 위해 고수온 대응 체계에 들어갔습니다.
또 양식 어민들에게 먹이 공급 중단과 조기 출하, 입식 신고와 재해 보험 가입을 유도한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촬영기자:신한비·김선오
-
-
박지성 기자 jsp@kbs.co.kr
박지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