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싯줄에 그물까지…‘해양 쓰레기’ 심각성을 알려요!
입력 2022.07.23 (21:48)
수정 2022.07.23 (21: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오늘 제주를 포함한 전국의 해변 세 곳에서 해양 정화 활동이 동시에 펼쳐졌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는 해양 쓰레기의 심각성을 알리고, 관련 학술대회의 첫 한국 개최를 축하하기 위해선데요,
허지영 기자가 그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산방산이 내다보이는 해안가에 모여든 사람들.
저마다 빨간 마대 자루를 들고 바위 구석구석에 있는 쓰레기를 주워 담습니다.
다른 한쪽에서는 해안가에 방치됐던 그물을 치우는 작업이 시작됩니다.
바위에 엉킨 그물을 잘라낸 뒤 여럿이 함께 힘을 모아 옮깁니다.
["하나 둘 셋, 어이!"]
폐그물 같은 쓰레기들은 해안가에서 종종 발견되지만 크기가 커 혼자 수거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승민/해양쓰레기 수거 활동가 : "이 그물은 제가 아침부터 봐왔던 거거든요. 오늘 저건 꼭 빼고 싶다고 생각했는데, 사람들이 같이 모였기 때문에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해양수산부와 해양환경공단 등이 주최한 해양 쓰레기 수거 활동이 오늘(23일) 제주를 포함한 전국 해변 세 곳에서 열렸습니다.
오는 9월 열리는 국제 해양폐기물 학술대회의 한국 개최를 응원하기 위해섭니다.
보시는 것처럼 이러한 낚시용품부터 바다에서 쓰는 대형 그물까지 이 일대 해변에서 1시간 동안 다양한 해양 쓰레기들이 수거됐습니다.
땀이 송골송골 맺힐 정도로 힘든 작업이었지만, 해양 쓰레기의 심각성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참가자들은 입을 모읍니다.
[임윤선/제주시 아라동 : "미세한 플라스틱들이 더 많이 있어서 마음이 아픈 것 같아요. 제주에 이사 온 지 얼마 안 됐는데 해양 쓰레기가 심각하다는 것도 (아이에게) 알려주고 싶고."]
이번 해양 정화 활동은 학술대회가 열리는 오는 9월까지 전국 각지 해변에서 이어질 예정입니다.
KBS 뉴스 허지영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
오늘 제주를 포함한 전국의 해변 세 곳에서 해양 정화 활동이 동시에 펼쳐졌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는 해양 쓰레기의 심각성을 알리고, 관련 학술대회의 첫 한국 개최를 축하하기 위해선데요,
허지영 기자가 그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산방산이 내다보이는 해안가에 모여든 사람들.
저마다 빨간 마대 자루를 들고 바위 구석구석에 있는 쓰레기를 주워 담습니다.
다른 한쪽에서는 해안가에 방치됐던 그물을 치우는 작업이 시작됩니다.
바위에 엉킨 그물을 잘라낸 뒤 여럿이 함께 힘을 모아 옮깁니다.
["하나 둘 셋, 어이!"]
폐그물 같은 쓰레기들은 해안가에서 종종 발견되지만 크기가 커 혼자 수거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승민/해양쓰레기 수거 활동가 : "이 그물은 제가 아침부터 봐왔던 거거든요. 오늘 저건 꼭 빼고 싶다고 생각했는데, 사람들이 같이 모였기 때문에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해양수산부와 해양환경공단 등이 주최한 해양 쓰레기 수거 활동이 오늘(23일) 제주를 포함한 전국 해변 세 곳에서 열렸습니다.
오는 9월 열리는 국제 해양폐기물 학술대회의 한국 개최를 응원하기 위해섭니다.
보시는 것처럼 이러한 낚시용품부터 바다에서 쓰는 대형 그물까지 이 일대 해변에서 1시간 동안 다양한 해양 쓰레기들이 수거됐습니다.
땀이 송골송골 맺힐 정도로 힘든 작업이었지만, 해양 쓰레기의 심각성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참가자들은 입을 모읍니다.
[임윤선/제주시 아라동 : "미세한 플라스틱들이 더 많이 있어서 마음이 아픈 것 같아요. 제주에 이사 온 지 얼마 안 됐는데 해양 쓰레기가 심각하다는 것도 (아이에게) 알려주고 싶고."]
이번 해양 정화 활동은 학술대회가 열리는 오는 9월까지 전국 각지 해변에서 이어질 예정입니다.
KBS 뉴스 허지영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낚싯줄에 그물까지…‘해양 쓰레기’ 심각성을 알려요!
-
- 입력 2022-07-23 21:48:44
- 수정2022-07-23 21:55:10

[앵커]
오늘 제주를 포함한 전국의 해변 세 곳에서 해양 정화 활동이 동시에 펼쳐졌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는 해양 쓰레기의 심각성을 알리고, 관련 학술대회의 첫 한국 개최를 축하하기 위해선데요,
허지영 기자가 그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산방산이 내다보이는 해안가에 모여든 사람들.
저마다 빨간 마대 자루를 들고 바위 구석구석에 있는 쓰레기를 주워 담습니다.
다른 한쪽에서는 해안가에 방치됐던 그물을 치우는 작업이 시작됩니다.
바위에 엉킨 그물을 잘라낸 뒤 여럿이 함께 힘을 모아 옮깁니다.
["하나 둘 셋, 어이!"]
폐그물 같은 쓰레기들은 해안가에서 종종 발견되지만 크기가 커 혼자 수거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승민/해양쓰레기 수거 활동가 : "이 그물은 제가 아침부터 봐왔던 거거든요. 오늘 저건 꼭 빼고 싶다고 생각했는데, 사람들이 같이 모였기 때문에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해양수산부와 해양환경공단 등이 주최한 해양 쓰레기 수거 활동이 오늘(23일) 제주를 포함한 전국 해변 세 곳에서 열렸습니다.
오는 9월 열리는 국제 해양폐기물 학술대회의 한국 개최를 응원하기 위해섭니다.
보시는 것처럼 이러한 낚시용품부터 바다에서 쓰는 대형 그물까지 이 일대 해변에서 1시간 동안 다양한 해양 쓰레기들이 수거됐습니다.
땀이 송골송골 맺힐 정도로 힘든 작업이었지만, 해양 쓰레기의 심각성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참가자들은 입을 모읍니다.
[임윤선/제주시 아라동 : "미세한 플라스틱들이 더 많이 있어서 마음이 아픈 것 같아요. 제주에 이사 온 지 얼마 안 됐는데 해양 쓰레기가 심각하다는 것도 (아이에게) 알려주고 싶고."]
이번 해양 정화 활동은 학술대회가 열리는 오는 9월까지 전국 각지 해변에서 이어질 예정입니다.
KBS 뉴스 허지영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
오늘 제주를 포함한 전국의 해변 세 곳에서 해양 정화 활동이 동시에 펼쳐졌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는 해양 쓰레기의 심각성을 알리고, 관련 학술대회의 첫 한국 개최를 축하하기 위해선데요,
허지영 기자가 그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산방산이 내다보이는 해안가에 모여든 사람들.
저마다 빨간 마대 자루를 들고 바위 구석구석에 있는 쓰레기를 주워 담습니다.
다른 한쪽에서는 해안가에 방치됐던 그물을 치우는 작업이 시작됩니다.
바위에 엉킨 그물을 잘라낸 뒤 여럿이 함께 힘을 모아 옮깁니다.
["하나 둘 셋, 어이!"]
폐그물 같은 쓰레기들은 해안가에서 종종 발견되지만 크기가 커 혼자 수거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승민/해양쓰레기 수거 활동가 : "이 그물은 제가 아침부터 봐왔던 거거든요. 오늘 저건 꼭 빼고 싶다고 생각했는데, 사람들이 같이 모였기 때문에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해양수산부와 해양환경공단 등이 주최한 해양 쓰레기 수거 활동이 오늘(23일) 제주를 포함한 전국 해변 세 곳에서 열렸습니다.
오는 9월 열리는 국제 해양폐기물 학술대회의 한국 개최를 응원하기 위해섭니다.
보시는 것처럼 이러한 낚시용품부터 바다에서 쓰는 대형 그물까지 이 일대 해변에서 1시간 동안 다양한 해양 쓰레기들이 수거됐습니다.
땀이 송골송골 맺힐 정도로 힘든 작업이었지만, 해양 쓰레기의 심각성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참가자들은 입을 모읍니다.
[임윤선/제주시 아라동 : "미세한 플라스틱들이 더 많이 있어서 마음이 아픈 것 같아요. 제주에 이사 온 지 얼마 안 됐는데 해양 쓰레기가 심각하다는 것도 (아이에게) 알려주고 싶고."]
이번 해양 정화 활동은 학술대회가 열리는 오는 9월까지 전국 각지 해변에서 이어질 예정입니다.
KBS 뉴스 허지영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
-
-
허지영 기자 tangerine@kbs.co.kr
허지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