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후유증 인정받고 싶어요”…세심한 지원 한목소리
입력 2022.08.16 (19:21)
수정 2022.08.16 (20: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 주위에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뒤, 후유증을 호소하는 분들이 있는데요.
이들이 신청한 피해보상 가운데 30% 정도만 인과성을 인정받았습니다.
때문에 정부 차원의 더욱 세심한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가을, 둘째 아들을 떠나보낸 장성철 씨.
백신 2차 접종을 한 지 두 달이 조금 지났던 때였습니다.
부검 결과 사인은 급성 심장마비였습니다.
이후, 계절이 세 번이나 바뀌었지만, 건장했던 19살 아들의 갑작스런 죽음에 대한 충분한 설명은 아직도 듣지 못하고 있습니다.
[장성철/서울시 노원구 : "돈의 문제가 아니거든요. 20년 동안 잘 키운 자식을 그 얼마 되는 돈과 바꾸겠습니까."]
백신을 맞은 지 열흘도 채 안 돼, 이상 증세를 보이다 숨진 60대 어머니를 둔 아들도 있습니다.
혈전 등 백신과 인과성이 높아 보인다는 부검 소견이 있었지만, 보상은 1년 넘게 감감무소식입니다.
피해를 호소하며 보상을 요구하는 동안, 백신 불안감을 조장한다는 따가운 시선과도 맞서야 했습니다.
[이은석/제주시 외도동 : "너무 억울한 상황에서 외치는 것조차도, 이렇게 다른 사람의 비난을 받고 욕을 먹고 해야 하는 상황이 너무 속상한 거죠."]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후유증 등을 호소하는 이들의 바람은 정부의 진정성 있는 사과입니다.
또, 현재까지 백신 피해 보상을 신청한 사례 5만 9천여 건 가운데 33% 정도만 인정을 받았다며 백신 피해 인정 범위 확대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김두경/코로나19 백신 피해자 가족 모임 : "왜 백신을 맞고 사망했는지 정부가 밝혀줘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원하는 것입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정부 주도로 진행된 만큼 특별법을 제정해 백신 부작용 피해자들을 구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
우리 주위에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뒤, 후유증을 호소하는 분들이 있는데요.
이들이 신청한 피해보상 가운데 30% 정도만 인과성을 인정받았습니다.
때문에 정부 차원의 더욱 세심한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가을, 둘째 아들을 떠나보낸 장성철 씨.
백신 2차 접종을 한 지 두 달이 조금 지났던 때였습니다.
부검 결과 사인은 급성 심장마비였습니다.
이후, 계절이 세 번이나 바뀌었지만, 건장했던 19살 아들의 갑작스런 죽음에 대한 충분한 설명은 아직도 듣지 못하고 있습니다.
[장성철/서울시 노원구 : "돈의 문제가 아니거든요. 20년 동안 잘 키운 자식을 그 얼마 되는 돈과 바꾸겠습니까."]
백신을 맞은 지 열흘도 채 안 돼, 이상 증세를 보이다 숨진 60대 어머니를 둔 아들도 있습니다.
혈전 등 백신과 인과성이 높아 보인다는 부검 소견이 있었지만, 보상은 1년 넘게 감감무소식입니다.
피해를 호소하며 보상을 요구하는 동안, 백신 불안감을 조장한다는 따가운 시선과도 맞서야 했습니다.
[이은석/제주시 외도동 : "너무 억울한 상황에서 외치는 것조차도, 이렇게 다른 사람의 비난을 받고 욕을 먹고 해야 하는 상황이 너무 속상한 거죠."]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후유증 등을 호소하는 이들의 바람은 정부의 진정성 있는 사과입니다.
또, 현재까지 백신 피해 보상을 신청한 사례 5만 9천여 건 가운데 33% 정도만 인정을 받았다며 백신 피해 인정 범위 확대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김두경/코로나19 백신 피해자 가족 모임 : "왜 백신을 맞고 사망했는지 정부가 밝혀줘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원하는 것입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정부 주도로 진행된 만큼 특별법을 제정해 백신 부작용 피해자들을 구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백신 후유증 인정받고 싶어요”…세심한 지원 한목소리
-
- 입력 2022-08-16 19:21:10
- 수정2022-08-16 20:03:12

[앵커]
우리 주위에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뒤, 후유증을 호소하는 분들이 있는데요.
이들이 신청한 피해보상 가운데 30% 정도만 인과성을 인정받았습니다.
때문에 정부 차원의 더욱 세심한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가을, 둘째 아들을 떠나보낸 장성철 씨.
백신 2차 접종을 한 지 두 달이 조금 지났던 때였습니다.
부검 결과 사인은 급성 심장마비였습니다.
이후, 계절이 세 번이나 바뀌었지만, 건장했던 19살 아들의 갑작스런 죽음에 대한 충분한 설명은 아직도 듣지 못하고 있습니다.
[장성철/서울시 노원구 : "돈의 문제가 아니거든요. 20년 동안 잘 키운 자식을 그 얼마 되는 돈과 바꾸겠습니까."]
백신을 맞은 지 열흘도 채 안 돼, 이상 증세를 보이다 숨진 60대 어머니를 둔 아들도 있습니다.
혈전 등 백신과 인과성이 높아 보인다는 부검 소견이 있었지만, 보상은 1년 넘게 감감무소식입니다.
피해를 호소하며 보상을 요구하는 동안, 백신 불안감을 조장한다는 따가운 시선과도 맞서야 했습니다.
[이은석/제주시 외도동 : "너무 억울한 상황에서 외치는 것조차도, 이렇게 다른 사람의 비난을 받고 욕을 먹고 해야 하는 상황이 너무 속상한 거죠."]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후유증 등을 호소하는 이들의 바람은 정부의 진정성 있는 사과입니다.
또, 현재까지 백신 피해 보상을 신청한 사례 5만 9천여 건 가운데 33% 정도만 인정을 받았다며 백신 피해 인정 범위 확대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김두경/코로나19 백신 피해자 가족 모임 : "왜 백신을 맞고 사망했는지 정부가 밝혀줘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원하는 것입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정부 주도로 진행된 만큼 특별법을 제정해 백신 부작용 피해자들을 구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
우리 주위에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뒤, 후유증을 호소하는 분들이 있는데요.
이들이 신청한 피해보상 가운데 30% 정도만 인과성을 인정받았습니다.
때문에 정부 차원의 더욱 세심한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가을, 둘째 아들을 떠나보낸 장성철 씨.
백신 2차 접종을 한 지 두 달이 조금 지났던 때였습니다.
부검 결과 사인은 급성 심장마비였습니다.
이후, 계절이 세 번이나 바뀌었지만, 건장했던 19살 아들의 갑작스런 죽음에 대한 충분한 설명은 아직도 듣지 못하고 있습니다.
[장성철/서울시 노원구 : "돈의 문제가 아니거든요. 20년 동안 잘 키운 자식을 그 얼마 되는 돈과 바꾸겠습니까."]
백신을 맞은 지 열흘도 채 안 돼, 이상 증세를 보이다 숨진 60대 어머니를 둔 아들도 있습니다.
혈전 등 백신과 인과성이 높아 보인다는 부검 소견이 있었지만, 보상은 1년 넘게 감감무소식입니다.
피해를 호소하며 보상을 요구하는 동안, 백신 불안감을 조장한다는 따가운 시선과도 맞서야 했습니다.
[이은석/제주시 외도동 : "너무 억울한 상황에서 외치는 것조차도, 이렇게 다른 사람의 비난을 받고 욕을 먹고 해야 하는 상황이 너무 속상한 거죠."]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후유증 등을 호소하는 이들의 바람은 정부의 진정성 있는 사과입니다.
또, 현재까지 백신 피해 보상을 신청한 사례 5만 9천여 건 가운데 33% 정도만 인정을 받았다며 백신 피해 인정 범위 확대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김두경/코로나19 백신 피해자 가족 모임 : "왜 백신을 맞고 사망했는지 정부가 밝혀줘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원하는 것입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정부 주도로 진행된 만큼 특별법을 제정해 백신 부작용 피해자들을 구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