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깜이 ‘위험물질 운송차량 정보’ 실시간 확인

입력 2022.09.02 (06:38) 수정 2022.09.02 (08: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유해 화학물질이나 고압가스 등의 위험물 운송 정보는 화물차량에 설치된 단말기를 통해 교통안전공단이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있는데요.

이 정보를 국내 3대 석유·화학단지인 대산 산단이 있는 서산시와 공유해 사고 대응력 강화에 나섰습니다.

홍정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앵커]

교차로에 진입한 대형 화물차량.

겉으로는 무엇을 실었는지 알 수 없지만 모니터에 나타난 위험물 표식을 누르자 차량 정보와 실린 화학물질의 종류와 양, 이동 경로까지 상세히 나타납니다.

전국에 등록된 만 2천여 대의 위험물질 운송차량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달받은 정보입니다.

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충남 서산시와 공단이 협약을 맺고 정보 공유에 나섰습니다.

[김보현/교통안전공단 상임이사 : "도로공사라든지 이런 데 제공했는데 앞으로 이런 지자체, 민간 또 운송회사에도 폭넓게 제공할 계획입니다."]

국내 3대 석유화학단지가 있는 서산은 하루 평균 5백여 대의 화물차량이 위험물질을 싣고 마을을 관통해 지나다니고 있습니다.

때문에 이번 시스템 구축으로 산업단지 주변 환경 개선이 기대됩니다.

[이완섭/서산시장 : "위험물 차량이 이동하면서 어떤 사건·사고가 났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 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겠다."]

앞으로 시스템을 정비하면 사고 위험 예측이나 졸음운전 감지 정보 등의 공유도 가능해 질 것으로 보입니다.

서산시는 다음 달 초부터 시범 운행에 들어가, 올 연말부터는 시스템을 본격 가동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홍정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깜깜이 ‘위험물질 운송차량 정보’ 실시간 확인
    • 입력 2022-09-02 06:38:10
    • 수정2022-09-02 08:12:04
    뉴스광장 1부
[앵커]

유해 화학물질이나 고압가스 등의 위험물 운송 정보는 화물차량에 설치된 단말기를 통해 교통안전공단이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있는데요.

이 정보를 국내 3대 석유·화학단지인 대산 산단이 있는 서산시와 공유해 사고 대응력 강화에 나섰습니다.

홍정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앵커]

교차로에 진입한 대형 화물차량.

겉으로는 무엇을 실었는지 알 수 없지만 모니터에 나타난 위험물 표식을 누르자 차량 정보와 실린 화학물질의 종류와 양, 이동 경로까지 상세히 나타납니다.

전국에 등록된 만 2천여 대의 위험물질 운송차량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달받은 정보입니다.

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충남 서산시와 공단이 협약을 맺고 정보 공유에 나섰습니다.

[김보현/교통안전공단 상임이사 : "도로공사라든지 이런 데 제공했는데 앞으로 이런 지자체, 민간 또 운송회사에도 폭넓게 제공할 계획입니다."]

국내 3대 석유화학단지가 있는 서산은 하루 평균 5백여 대의 화물차량이 위험물질을 싣고 마을을 관통해 지나다니고 있습니다.

때문에 이번 시스템 구축으로 산업단지 주변 환경 개선이 기대됩니다.

[이완섭/서산시장 : "위험물 차량이 이동하면서 어떤 사건·사고가 났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 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겠다."]

앞으로 시스템을 정비하면 사고 위험 예측이나 졸음운전 감지 정보 등의 공유도 가능해 질 것으로 보입니다.

서산시는 다음 달 초부터 시범 운행에 들어가, 올 연말부터는 시스템을 본격 가동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홍정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