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차관, ‘한일 초계기 갈등 풀고 싶다’ 뜻 밝혀

입력 2022.09.02 (21:49) 수정 2022.09.03 (07: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2018년, 일본은 우리 해군 함정이 일본 초계기를 겨냥해 레이더를 비췄다고 주장했고, 이 때문에 두 나라 사이 긴장이 높아졌습니다.

그런데 오늘(2일) 우리 국방부 차관이 이 초계기 문제를 포함해 두 나라 갈등을 포괄적으로 해결하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이게 어떤 의미인지 이세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18년 12월 불거진 이른바 '한일 초계기 갈등'.

우리 광개토대왕함이 일본 P1 초계기를 향해 사격 통제 레이더를 가동했다는 일본 측 주장으로 촉발됐습니다.

[해상자위대원/2018년 12월 20일 : "당신의 FC(사격 통제용) 레이더가 우리 쪽을 향한 것을 탐지했다. 어떤 의도인가?"]

당시 우리 군은 레이더를 쏘지 않았고, 오히려 일본 초계기가 저공 위협 비행을 했다고 반박했습니다.

이후 일본의 거듭된 위협 비행으로 갈등이 장기화됐고 입장 차는 좁히지 못했습니다.

사건 3년 반 만에, 신범철 국방부 차관이 일본 마이니치 신문과 인터뷰에서 "한일 간 갈등을 해결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신 차관은 "공식적으로 레이더 조준은 없었다는 입장"이라면서도, "양국 관계 개선과 국방 협력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해결할 의사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신 차관은 문재인 정부가 일본에 대해서만 추가 절차를 실시했다면서 "적절한지 의문"이라고도 했습니다.

일본에서 극우파를 중심으로 우리 군의 대응 지침 폐기를 요구하는 상황에서 우리 군 당국이 먼저 갈등 해결을 언급한 만큼, 일본도 관계 개선이나 군사적 신뢰구축 차원에서 협력 의지를 보여야 한다는 취지로 풀이됩니다.

오는 11월 일본 국제관함식 참가 여부에 대해 신 차관은 "과거 관행을 참고하면서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관함식 참가의 사전 조치로 초계기 갈등 해결을 모색하는 건 아니라고 국방부는 밝혔습니다.

신 차관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지소미아와 관련해 정보 교류가 원활히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이세연입니다.

영상편집:안영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방차관, ‘한일 초계기 갈등 풀고 싶다’ 뜻 밝혀
    • 입력 2022-09-02 21:49:43
    • 수정2022-09-03 07:58:11
    뉴스 9
[앵커]

2018년, 일본은 우리 해군 함정이 일본 초계기를 겨냥해 레이더를 비췄다고 주장했고, 이 때문에 두 나라 사이 긴장이 높아졌습니다.

그런데 오늘(2일) 우리 국방부 차관이 이 초계기 문제를 포함해 두 나라 갈등을 포괄적으로 해결하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이게 어떤 의미인지 이세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18년 12월 불거진 이른바 '한일 초계기 갈등'.

우리 광개토대왕함이 일본 P1 초계기를 향해 사격 통제 레이더를 가동했다는 일본 측 주장으로 촉발됐습니다.

[해상자위대원/2018년 12월 20일 : "당신의 FC(사격 통제용) 레이더가 우리 쪽을 향한 것을 탐지했다. 어떤 의도인가?"]

당시 우리 군은 레이더를 쏘지 않았고, 오히려 일본 초계기가 저공 위협 비행을 했다고 반박했습니다.

이후 일본의 거듭된 위협 비행으로 갈등이 장기화됐고 입장 차는 좁히지 못했습니다.

사건 3년 반 만에, 신범철 국방부 차관이 일본 마이니치 신문과 인터뷰에서 "한일 간 갈등을 해결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신 차관은 "공식적으로 레이더 조준은 없었다는 입장"이라면서도, "양국 관계 개선과 국방 협력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해결할 의사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신 차관은 문재인 정부가 일본에 대해서만 추가 절차를 실시했다면서 "적절한지 의문"이라고도 했습니다.

일본에서 극우파를 중심으로 우리 군의 대응 지침 폐기를 요구하는 상황에서 우리 군 당국이 먼저 갈등 해결을 언급한 만큼, 일본도 관계 개선이나 군사적 신뢰구축 차원에서 협력 의지를 보여야 한다는 취지로 풀이됩니다.

오는 11월 일본 국제관함식 참가 여부에 대해 신 차관은 "과거 관행을 참고하면서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관함식 참가의 사전 조치로 초계기 갈등 해결을 모색하는 건 아니라고 국방부는 밝혔습니다.

신 차관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지소미아와 관련해 정보 교류가 원활히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이세연입니다.

영상편집:안영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