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무력 법제화…“김정은 위험 시 자동 핵 타격”

입력 2022.09.09 (21:18) 수정 2022.09.09 (21: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은 이번 최고인민회의에서 '어떤 경우 핵무기 사용이 가능한지' 등 핵무력에 대한 법제화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핵 지휘·통제권한을 모두 갖고, 김정은 등 지도부가 공격받으면 자동으로 핵공격을 한다고도 명시했습니다.

이어서 송영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 최고인민회의가 새로 제정한 '핵 무력 정책 법령'은 핵무기에 관한 모든 결정권을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만 부여했습니다.

법제화를 통해 핵무기 지휘통제 체계를 구체화하고 김 위원장의 절대적 위상과 지배력을 과시한 겁니다.

김 위원장을 중심으로 한 지휘부가 적대세력의 공격으로 위험에 처하면 자동적으로 핵타격이 단행된다고도 규정했습니다.

북한 핵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 군의 킬체인과 대량응징보복 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입니다.

자동 핵타격 외에 공세적인 핵무기 사용 조건도 눈에 띕니다.

'북한에 대한 대규모 공격 등이 감행됐거나 임박했다고 판단한 경우', '작전상 필요가 불가피하게 제기되는 경우' 등 김 위원장 판단에 따라 선제적인 핵 사용까지 가능하게 했습니다.

[정대진/한라대 교수 : "핵사용 기준을 법으로 구체화해 '핵사용 문턱'을 낮추려는 시도로 보이고요. 특히, 미국 본토를 겨냥한 전략핵보다 주한미군과 남한을 겨냥한 전술핵 사용 가능성을 한층 구체화했다는 점이 주목할 부분입니다."]

법령에서는 "핵 무력을 질량적으로 갱신, 강화한다"고 명시해 핵과 미사일 고도화를 지속하겠다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 : "공화국의 국방성과 국방공업은 조성된 국면을 군력 강화의 더없는 좋은 기회로 삼을것입니다."]

북한은 비핵국가가 핵무기 보유국과 야합해 북한을 공격하지 않는 한 해당 국가에 핵무기를 쓰지 않겠다고 했는데, 한미연합 대응의 균열을 노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KBS 뉴스 송영석입니다.

영상편집:조완기/그래픽:이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北, 핵무력 법제화…“김정은 위험 시 자동 핵 타격”
    • 입력 2022-09-09 21:18:14
    • 수정2022-09-09 21:48:45
    뉴스 9
[앵커]

북한은 이번 최고인민회의에서 '어떤 경우 핵무기 사용이 가능한지' 등 핵무력에 대한 법제화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핵 지휘·통제권한을 모두 갖고, 김정은 등 지도부가 공격받으면 자동으로 핵공격을 한다고도 명시했습니다.

이어서 송영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 최고인민회의가 새로 제정한 '핵 무력 정책 법령'은 핵무기에 관한 모든 결정권을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만 부여했습니다.

법제화를 통해 핵무기 지휘통제 체계를 구체화하고 김 위원장의 절대적 위상과 지배력을 과시한 겁니다.

김 위원장을 중심으로 한 지휘부가 적대세력의 공격으로 위험에 처하면 자동적으로 핵타격이 단행된다고도 규정했습니다.

북한 핵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 군의 킬체인과 대량응징보복 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입니다.

자동 핵타격 외에 공세적인 핵무기 사용 조건도 눈에 띕니다.

'북한에 대한 대규모 공격 등이 감행됐거나 임박했다고 판단한 경우', '작전상 필요가 불가피하게 제기되는 경우' 등 김 위원장 판단에 따라 선제적인 핵 사용까지 가능하게 했습니다.

[정대진/한라대 교수 : "핵사용 기준을 법으로 구체화해 '핵사용 문턱'을 낮추려는 시도로 보이고요. 특히, 미국 본토를 겨냥한 전략핵보다 주한미군과 남한을 겨냥한 전술핵 사용 가능성을 한층 구체화했다는 점이 주목할 부분입니다."]

법령에서는 "핵 무력을 질량적으로 갱신, 강화한다"고 명시해 핵과 미사일 고도화를 지속하겠다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 : "공화국의 국방성과 국방공업은 조성된 국면을 군력 강화의 더없는 좋은 기회로 삼을것입니다."]

북한은 비핵국가가 핵무기 보유국과 야합해 북한을 공격하지 않는 한 해당 국가에 핵무기를 쓰지 않겠다고 했는데, 한미연합 대응의 균열을 노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KBS 뉴스 송영석입니다.

영상편집:조완기/그래픽:이경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