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스팩 재활용 호응…‘수요처 확대’ 숙제
입력 2022.09.19 (09:08)
수정 2022.09.19 (09: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이후 아이스팩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많은 시군이 아이스팩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전라북도에선 그 해법으로 재활용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조경모 기자입니다.
[리포트]
주민센터 한쪽에 잔뜩 쌓인 아이스팩을 수거합니다.
이렇게 가져온 아이스팩을 물로 깨끗이 씻고 말립니다.
오염됐거나 내용물이 새는 것들을 걸러내면 새 주인을 맞을 준비는 모두 끝납니다.
[김윤미/아이스팩 재활용 운동 참여자 : "오염이 많이 된 것, 노랗게 변했다거나 김칫국물 같은 게 묻었다거나 그런 것들은 우리가 다 버리고 있어요."]
한 시민단체와 익산시가 지난해부터 버려지는 아이스팩을 재활용하는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버려진 아이스팩을 수거해 세척한 뒤 필요한 상인들에게 무료로 나눠주고 있습니다.
올해만 아이스팩 만 천여 개를 수거해 7천여 개를 재활용했는데, 무게로 환산하면 3톤이나 됩니다.
한 개에 5백 원 정도 하는 아이스팩을 무료로 받아쓰는 상인들의 반응도 좋습니다.
[김공주/상인 : "첫 번째로는 경제적인 도움이 되고요. 사다 쓰던 것을 무상으로 가져다 쓰니까 좋고요. 장기적으로는 환경(보호)에도 일조하죠."]
아이스팩은 대부분 일반쓰레기로 취급돼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상황.
하지만 아이스팩 주원료인 미세플라스틱인 합성수지는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꼽혀 재활용 방안 마련이 시급합니다.
[전권희/'희망과 대안' 대표 : "아이스팩의 재료가 미세플라스틱으로 돼 있어서 썩지도 잘 타지도 않아서 환경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최대한 아이스팩의 양을 줄이는 게."]
다만 현재 재활용 아이스팩을 사용하는 상점이 익산지역에 20여 곳에 불과해 홍보 등을 통한 수요처 확대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촬영기자:박용호
코로나19 이후 아이스팩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많은 시군이 아이스팩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전라북도에선 그 해법으로 재활용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조경모 기자입니다.
[리포트]
주민센터 한쪽에 잔뜩 쌓인 아이스팩을 수거합니다.
이렇게 가져온 아이스팩을 물로 깨끗이 씻고 말립니다.
오염됐거나 내용물이 새는 것들을 걸러내면 새 주인을 맞을 준비는 모두 끝납니다.
[김윤미/아이스팩 재활용 운동 참여자 : "오염이 많이 된 것, 노랗게 변했다거나 김칫국물 같은 게 묻었다거나 그런 것들은 우리가 다 버리고 있어요."]
한 시민단체와 익산시가 지난해부터 버려지는 아이스팩을 재활용하는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버려진 아이스팩을 수거해 세척한 뒤 필요한 상인들에게 무료로 나눠주고 있습니다.
올해만 아이스팩 만 천여 개를 수거해 7천여 개를 재활용했는데, 무게로 환산하면 3톤이나 됩니다.
한 개에 5백 원 정도 하는 아이스팩을 무료로 받아쓰는 상인들의 반응도 좋습니다.
[김공주/상인 : "첫 번째로는 경제적인 도움이 되고요. 사다 쓰던 것을 무상으로 가져다 쓰니까 좋고요. 장기적으로는 환경(보호)에도 일조하죠."]
아이스팩은 대부분 일반쓰레기로 취급돼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상황.
하지만 아이스팩 주원료인 미세플라스틱인 합성수지는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꼽혀 재활용 방안 마련이 시급합니다.
[전권희/'희망과 대안' 대표 : "아이스팩의 재료가 미세플라스틱으로 돼 있어서 썩지도 잘 타지도 않아서 환경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최대한 아이스팩의 양을 줄이는 게."]
다만 현재 재활용 아이스팩을 사용하는 상점이 익산지역에 20여 곳에 불과해 홍보 등을 통한 수요처 확대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촬영기자:박용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이스팩 재활용 호응…‘수요처 확대’ 숙제
-
- 입력 2022-09-19 09:08:18
- 수정2022-09-19 09:20:11

[앵커]
코로나19 이후 아이스팩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많은 시군이 아이스팩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전라북도에선 그 해법으로 재활용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조경모 기자입니다.
[리포트]
주민센터 한쪽에 잔뜩 쌓인 아이스팩을 수거합니다.
이렇게 가져온 아이스팩을 물로 깨끗이 씻고 말립니다.
오염됐거나 내용물이 새는 것들을 걸러내면 새 주인을 맞을 준비는 모두 끝납니다.
[김윤미/아이스팩 재활용 운동 참여자 : "오염이 많이 된 것, 노랗게 변했다거나 김칫국물 같은 게 묻었다거나 그런 것들은 우리가 다 버리고 있어요."]
한 시민단체와 익산시가 지난해부터 버려지는 아이스팩을 재활용하는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버려진 아이스팩을 수거해 세척한 뒤 필요한 상인들에게 무료로 나눠주고 있습니다.
올해만 아이스팩 만 천여 개를 수거해 7천여 개를 재활용했는데, 무게로 환산하면 3톤이나 됩니다.
한 개에 5백 원 정도 하는 아이스팩을 무료로 받아쓰는 상인들의 반응도 좋습니다.
[김공주/상인 : "첫 번째로는 경제적인 도움이 되고요. 사다 쓰던 것을 무상으로 가져다 쓰니까 좋고요. 장기적으로는 환경(보호)에도 일조하죠."]
아이스팩은 대부분 일반쓰레기로 취급돼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상황.
하지만 아이스팩 주원료인 미세플라스틱인 합성수지는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꼽혀 재활용 방안 마련이 시급합니다.
[전권희/'희망과 대안' 대표 : "아이스팩의 재료가 미세플라스틱으로 돼 있어서 썩지도 잘 타지도 않아서 환경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최대한 아이스팩의 양을 줄이는 게."]
다만 현재 재활용 아이스팩을 사용하는 상점이 익산지역에 20여 곳에 불과해 홍보 등을 통한 수요처 확대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촬영기자:박용호
코로나19 이후 아이스팩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많은 시군이 아이스팩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전라북도에선 그 해법으로 재활용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조경모 기자입니다.
[리포트]
주민센터 한쪽에 잔뜩 쌓인 아이스팩을 수거합니다.
이렇게 가져온 아이스팩을 물로 깨끗이 씻고 말립니다.
오염됐거나 내용물이 새는 것들을 걸러내면 새 주인을 맞을 준비는 모두 끝납니다.
[김윤미/아이스팩 재활용 운동 참여자 : "오염이 많이 된 것, 노랗게 변했다거나 김칫국물 같은 게 묻었다거나 그런 것들은 우리가 다 버리고 있어요."]
한 시민단체와 익산시가 지난해부터 버려지는 아이스팩을 재활용하는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버려진 아이스팩을 수거해 세척한 뒤 필요한 상인들에게 무료로 나눠주고 있습니다.
올해만 아이스팩 만 천여 개를 수거해 7천여 개를 재활용했는데, 무게로 환산하면 3톤이나 됩니다.
한 개에 5백 원 정도 하는 아이스팩을 무료로 받아쓰는 상인들의 반응도 좋습니다.
[김공주/상인 : "첫 번째로는 경제적인 도움이 되고요. 사다 쓰던 것을 무상으로 가져다 쓰니까 좋고요. 장기적으로는 환경(보호)에도 일조하죠."]
아이스팩은 대부분 일반쓰레기로 취급돼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상황.
하지만 아이스팩 주원료인 미세플라스틱인 합성수지는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꼽혀 재활용 방안 마련이 시급합니다.
[전권희/'희망과 대안' 대표 : "아이스팩의 재료가 미세플라스틱으로 돼 있어서 썩지도 잘 타지도 않아서 환경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최대한 아이스팩의 양을 줄이는 게."]
다만 현재 재활용 아이스팩을 사용하는 상점이 익산지역에 20여 곳에 불과해 홍보 등을 통한 수요처 확대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촬영기자:박용호
-
-
조경모 기자 jkm@kbs.co.kr
조경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