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개념 홀로그램 구현 소재 개발
입력 2022.09.27 (19:39)
수정 2022.09.27 (20: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활발하게 상업화가 이뤄지고 있는 증강현실(AR)이나 가상현실(VR)에 현실감을 더하기 위해서는 홀로그램 기술이 필수적인데요.
국내 연구진이 홀로그램 기술 구현에 필요한 새로운 소재를 개발했습니다.
이연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차량 유리창에 속도와 방향이 표시됩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인데, 홀로그램 기술을 적용해 3차원으로 구현하면 사실감을 더 높일 수 있지만 기존에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소재는 대량 생산이 어렵거나 열에 취약해 한계가 있었습니다.
한국화학연구원이 이런 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홀로그램을 구현할 조성물을 개발했습니다.
홀로그램 필름 제작 과정에서 이 조성물 표면에 레이저를 쏘면 활성산소가 만들어지는데 활성산소가 수용체 색깔을 바꿔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원리입니다.
[김형석/한국화학연구원 박사 후 연구원 : "빛을 조사하게 되면 발생되는 활성산소종에 의해서 수용체의 구조적인 변화를 통해서 홀로그램 기록이 가능합니다."]
원료의 구성이 비교적 단순해 공정도 쉽고, 매우 얇으면서 열에도 강해 여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가재원/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메타버스 구현이라든지 자동차에 들어가는 홀로그램 헤드업 디스플레이, 혹은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태양열 집광판 등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애플과 구글 등이 스마트 안경 개발에 나선 상황에서 연구진은 이번 연구 성과를 우리나라의 이동통신, 인공지능 기술과 접목하면 산업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KBS 뉴스 이연경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최근 활발하게 상업화가 이뤄지고 있는 증강현실(AR)이나 가상현실(VR)에 현실감을 더하기 위해서는 홀로그램 기술이 필수적인데요.
국내 연구진이 홀로그램 기술 구현에 필요한 새로운 소재를 개발했습니다.
이연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차량 유리창에 속도와 방향이 표시됩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인데, 홀로그램 기술을 적용해 3차원으로 구현하면 사실감을 더 높일 수 있지만 기존에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소재는 대량 생산이 어렵거나 열에 취약해 한계가 있었습니다.
한국화학연구원이 이런 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홀로그램을 구현할 조성물을 개발했습니다.
홀로그램 필름 제작 과정에서 이 조성물 표면에 레이저를 쏘면 활성산소가 만들어지는데 활성산소가 수용체 색깔을 바꿔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원리입니다.
[김형석/한국화학연구원 박사 후 연구원 : "빛을 조사하게 되면 발생되는 활성산소종에 의해서 수용체의 구조적인 변화를 통해서 홀로그램 기록이 가능합니다."]
원료의 구성이 비교적 단순해 공정도 쉽고, 매우 얇으면서 열에도 강해 여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가재원/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메타버스 구현이라든지 자동차에 들어가는 홀로그램 헤드업 디스플레이, 혹은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태양열 집광판 등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애플과 구글 등이 스마트 안경 개발에 나선 상황에서 연구진은 이번 연구 성과를 우리나라의 이동통신, 인공지능 기술과 접목하면 산업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KBS 뉴스 이연경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신개념 홀로그램 구현 소재 개발
-
- 입력 2022-09-27 19:39:47
- 수정2022-09-27 20:17:51

[앵커]
최근 활발하게 상업화가 이뤄지고 있는 증강현실(AR)이나 가상현실(VR)에 현실감을 더하기 위해서는 홀로그램 기술이 필수적인데요.
국내 연구진이 홀로그램 기술 구현에 필요한 새로운 소재를 개발했습니다.
이연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차량 유리창에 속도와 방향이 표시됩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인데, 홀로그램 기술을 적용해 3차원으로 구현하면 사실감을 더 높일 수 있지만 기존에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소재는 대량 생산이 어렵거나 열에 취약해 한계가 있었습니다.
한국화학연구원이 이런 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홀로그램을 구현할 조성물을 개발했습니다.
홀로그램 필름 제작 과정에서 이 조성물 표면에 레이저를 쏘면 활성산소가 만들어지는데 활성산소가 수용체 색깔을 바꿔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원리입니다.
[김형석/한국화학연구원 박사 후 연구원 : "빛을 조사하게 되면 발생되는 활성산소종에 의해서 수용체의 구조적인 변화를 통해서 홀로그램 기록이 가능합니다."]
원료의 구성이 비교적 단순해 공정도 쉽고, 매우 얇으면서 열에도 강해 여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가재원/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메타버스 구현이라든지 자동차에 들어가는 홀로그램 헤드업 디스플레이, 혹은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태양열 집광판 등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애플과 구글 등이 스마트 안경 개발에 나선 상황에서 연구진은 이번 연구 성과를 우리나라의 이동통신, 인공지능 기술과 접목하면 산업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KBS 뉴스 이연경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최근 활발하게 상업화가 이뤄지고 있는 증강현실(AR)이나 가상현실(VR)에 현실감을 더하기 위해서는 홀로그램 기술이 필수적인데요.
국내 연구진이 홀로그램 기술 구현에 필요한 새로운 소재를 개발했습니다.
이연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차량 유리창에 속도와 방향이 표시됩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인데, 홀로그램 기술을 적용해 3차원으로 구현하면 사실감을 더 높일 수 있지만 기존에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소재는 대량 생산이 어렵거나 열에 취약해 한계가 있었습니다.
한국화학연구원이 이런 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홀로그램을 구현할 조성물을 개발했습니다.
홀로그램 필름 제작 과정에서 이 조성물 표면에 레이저를 쏘면 활성산소가 만들어지는데 활성산소가 수용체 색깔을 바꿔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원리입니다.
[김형석/한국화학연구원 박사 후 연구원 : "빛을 조사하게 되면 발생되는 활성산소종에 의해서 수용체의 구조적인 변화를 통해서 홀로그램 기록이 가능합니다."]
원료의 구성이 비교적 단순해 공정도 쉽고, 매우 얇으면서 열에도 강해 여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가재원/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메타버스 구현이라든지 자동차에 들어가는 홀로그램 헤드업 디스플레이, 혹은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태양열 집광판 등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애플과 구글 등이 스마트 안경 개발에 나선 상황에서 연구진은 이번 연구 성과를 우리나라의 이동통신, 인공지능 기술과 접목하면 산업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KBS 뉴스 이연경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
-
이연경 기자 yglee@kbs.co.kr
이연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