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고프지 않도록”…무료급식소 정부 양곡 공급 확대

입력 2022.10.11 (21:40) 수정 2022.10.11 (21: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충남 천안 무료급식소에 사람들이 몰리면서 운영이 어렵다는 소식 얼마 전 전해드렸습니다.

보도가 나간 뒤 천안뿐 아니라 전국 무료급식소도 정부에서 쌀을 더 지원받게 됐습니다.

곳곳에서 기부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보도에 황정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노숙인들로 붐비는 충남 천안의 한 무료급식소입니다.

식판마다 흰 쌀밥이 듬뿍 담깁니다.

식사가 불규칙한 노숙인들은 보통 한 번 먹을 때 일반인의 두 배 정도를 먹습니다.

[노숙인/음성변조 : "그냥 한 끼 먹을 때도 있고, 어떤 때는 두 끼 먹을 때도 있고 그래요."]

정부는 이런 무료급식소에 시중의 1/10 가격에 정부 양곡을 공급하지만, 급식 인원 한 명당 하루 한 끼 180g으로 제한돼 있습니다.

먹는 양에 비해 정부 양곡 공급량이 턱없이 부족 하다 보니 급식소마다 운영비 대부분을 쌀을 추가 구입하는 데 쏟아붓고 있습니다.

공급 기준이 현실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계속되자, 정부가 한 끼 공급량을 180g에서 250g으로 대폭 늘렸습니다.

급식소가 저녁용 도시락을 별도로 제공하는 경우 하루 두 끼까지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앞서 청와대 국민청원에 이어 국가인권위원회가 정부 양곡 공급 기준이 타당한지를 조사하기도 했습니다.

[배우용/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과 서기관 : "무료급식소 경영에 어려움이 많은 거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취약계층에 대해 식사량이라도 충분히 제공하자는 취지로..."]

지난 3월 무료급식소가 겪고 있던 어려운 사연이 KBS 뉴스를 통해 소개된 뒤에는 각계의 후원도 이어졌습니다.

[김경애/천안 좋은씨앗공동체 대표 : "무료급식소가 이어지도록 미역이랑 의류랑 고추랑 전국에서 보내주고 있습니다."]

한때 쌀 걱정에 문 닫을 위기까지 처했던 무료급식소가 어려운 이웃을 외면하지 않는 온정까지 더해지면서 힘을 얻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촬영기자:홍순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배고프지 않도록”…무료급식소 정부 양곡 공급 확대
    • 입력 2022-10-11 21:40:17
    • 수정2022-10-11 21:47:15
    뉴스 9
[앵커]

충남 천안 무료급식소에 사람들이 몰리면서 운영이 어렵다는 소식 얼마 전 전해드렸습니다.

보도가 나간 뒤 천안뿐 아니라 전국 무료급식소도 정부에서 쌀을 더 지원받게 됐습니다.

곳곳에서 기부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보도에 황정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노숙인들로 붐비는 충남 천안의 한 무료급식소입니다.

식판마다 흰 쌀밥이 듬뿍 담깁니다.

식사가 불규칙한 노숙인들은 보통 한 번 먹을 때 일반인의 두 배 정도를 먹습니다.

[노숙인/음성변조 : "그냥 한 끼 먹을 때도 있고, 어떤 때는 두 끼 먹을 때도 있고 그래요."]

정부는 이런 무료급식소에 시중의 1/10 가격에 정부 양곡을 공급하지만, 급식 인원 한 명당 하루 한 끼 180g으로 제한돼 있습니다.

먹는 양에 비해 정부 양곡 공급량이 턱없이 부족 하다 보니 급식소마다 운영비 대부분을 쌀을 추가 구입하는 데 쏟아붓고 있습니다.

공급 기준이 현실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계속되자, 정부가 한 끼 공급량을 180g에서 250g으로 대폭 늘렸습니다.

급식소가 저녁용 도시락을 별도로 제공하는 경우 하루 두 끼까지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앞서 청와대 국민청원에 이어 국가인권위원회가 정부 양곡 공급 기준이 타당한지를 조사하기도 했습니다.

[배우용/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과 서기관 : "무료급식소 경영에 어려움이 많은 거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취약계층에 대해 식사량이라도 충분히 제공하자는 취지로..."]

지난 3월 무료급식소가 겪고 있던 어려운 사연이 KBS 뉴스를 통해 소개된 뒤에는 각계의 후원도 이어졌습니다.

[김경애/천안 좋은씨앗공동체 대표 : "무료급식소가 이어지도록 미역이랑 의류랑 고추랑 전국에서 보내주고 있습니다."]

한때 쌀 걱정에 문 닫을 위기까지 처했던 무료급식소가 어려운 이웃을 외면하지 않는 온정까지 더해지면서 힘을 얻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촬영기자:홍순용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