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北 도발에 대비태세 구축…대적관·헌법 정신 가져야”

입력 2022.10.14 (12:03) 수정 2022.10.14 (13: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밤 연이은 북한의 도발에 9.19 남북 군사합의 위반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도발에 맞설 대비태세를 구축했다며, 확고한 대적관과 헌법수호 정신도 국가 안보의 중요한 요소라고 했습니다.

강병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윤석열 대통령은 북한이 밤새 '무차별 도발'을 해왔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북한이 해상 완충구역으로 방사포를 쏜 데 대해 9.19 남북 군사합의 위반이라며,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하나하나 저희도 다 (대응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남북 9.19 합의 위반인 건 맞습니다."]

정부는 북한이 7차 핵실험까지 강행한다면, 9.19 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하는 방안도 선택지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또 도발에 맞설 대비태세를 구축했다면서도, 북한이 물리적 도발 외에 정치공세와 사회적 심리공세에 나설 수 있다고 했습니다.

'일치된 마음'으로 '대적관'과 헌법수호 정신을 국민들이 가져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군과 국민들이) 확고한 이런 대적관과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겠다는 이런 헌법수호 정신을 확실하게 갖는 것이 안보에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윤 대통령은 사전 선제 타격론은 일축하면서 미사일 방어 체계와 킬체인, 대량응징보복 등 '3축 체계'가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긴급 소집된 국가안전보장회의, NSC는 북한 도발에는 반드시 대가가 따를 거라며 강력 규탄했습니다.

특히 유엔 안보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안보리 이사국들의 책임있는 역할을 촉구했습니다.

이달 초 유엔 안보리가 북한 탄도미사일 도발을 규탄하는 성명 채택을 추진했지만, 중국과 러시아 반대로 무산된 데 대한 책임을 지적한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강병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尹 “北 도발에 대비태세 구축…대적관·헌법 정신 가져야”
    • 입력 2022-10-14 12:03:43
    • 수정2022-10-14 13:01:45
    뉴스 12
[앵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밤 연이은 북한의 도발에 9.19 남북 군사합의 위반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도발에 맞설 대비태세를 구축했다며, 확고한 대적관과 헌법수호 정신도 국가 안보의 중요한 요소라고 했습니다.

강병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윤석열 대통령은 북한이 밤새 '무차별 도발'을 해왔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북한이 해상 완충구역으로 방사포를 쏜 데 대해 9.19 남북 군사합의 위반이라며,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하나하나 저희도 다 (대응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남북 9.19 합의 위반인 건 맞습니다."]

정부는 북한이 7차 핵실험까지 강행한다면, 9.19 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하는 방안도 선택지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또 도발에 맞설 대비태세를 구축했다면서도, 북한이 물리적 도발 외에 정치공세와 사회적 심리공세에 나설 수 있다고 했습니다.

'일치된 마음'으로 '대적관'과 헌법수호 정신을 국민들이 가져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군과 국민들이) 확고한 이런 대적관과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겠다는 이런 헌법수호 정신을 확실하게 갖는 것이 안보에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윤 대통령은 사전 선제 타격론은 일축하면서 미사일 방어 체계와 킬체인, 대량응징보복 등 '3축 체계'가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긴급 소집된 국가안전보장회의, NSC는 북한 도발에는 반드시 대가가 따를 거라며 강력 규탄했습니다.

특히 유엔 안보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안보리 이사국들의 책임있는 역할을 촉구했습니다.

이달 초 유엔 안보리가 북한 탄도미사일 도발을 규탄하는 성명 채택을 추진했지만, 중국과 러시아 반대로 무산된 데 대한 책임을 지적한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강병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