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사 사고 왜 위험?…“60kg 100명이 밀면 18톤 압력”

입력 2022.10.31 (06:38) 수정 2022.10.31 (06: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압사 사고는 화재나 자연 재해처럼 자주 일어나는 일은 아니지만 앞서 보신 것처럼 일단 발생했다 하면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 치명적인 위험성을 지닙니다.

왜 그런지, 서재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번 참사에서 사람들이 목숨을 잃게 된 가장 주된 이유, '압박'에 의한 질식으로 추정됩니다.

구조 활동을 벌인 의료진들은 "현장에 도착했을 때 이미 다수의 피해자들이 심폐소생술(CPR)에도 못 깨어날 정도로 질식한 상태였다"고 전했습니다.

떠밀리고 깔리는 과정에서 가슴 부위에 가해진 강한 압박, 이것이 폐에 공기를 차단시켜 '산소 부족' 상태로 이어졌을 거란 설명입니다.

[정창삼/인덕대 스마트건설방재학과 교수 : "힘을 갑자기 가하게 되면 힘이 약한 쪽에서는 더 압축될 수밖에 없는 거죠. 호흡이라는 거는 심장의 펌핑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펌핑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이 나오지 않습니다."]

이들이 받았을 압박은 어느 정도였을까.

몸무게 60㎏의 성인 100명이 모이면 6t.

그런데 인파가 '갑자기 한 쪽으로' 확 쏠리는 경우엔 그보다 세 배, 약 18t 가량의 압력이 가해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입니다.

그 엄청난 무게로 인해 질식 뿐 아니라 장기 파열 등의 치명적 손상을 입었을 가능성도 높습니다.

[제진주/전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3~4분 정도를 질식했을 때 숨이 돌아가도록 해야하는 (시간을) '골든타임'이라고 하는데, 압사해서 다발성 장기 파열이 생기면 그건 심폐소생으로 (살리기도) 쉽지 않거든요."]

'압사' 사고의 경우 화재 등 다른 재해에 비해 교육과 대응 훈련 등이 훨씬 덜 이뤄져 왔습니다.

처음 맞닥뜨린 생소한 재난 앞에서 많은 피해자들이 어찌 할 바를 몰랐던 이유이기도 합니다.

KBS 뉴스 서재희입니다.

촬영기자:임동수/영상편집:박경상/그래픽: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압사 사고 왜 위험?…“60kg 100명이 밀면 18톤 압력”
    • 입력 2022-10-31 06:38:02
    • 수정2022-10-31 06:45:00
    뉴스광장 1부
[앵커]

압사 사고는 화재나 자연 재해처럼 자주 일어나는 일은 아니지만 앞서 보신 것처럼 일단 발생했다 하면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 치명적인 위험성을 지닙니다.

왜 그런지, 서재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번 참사에서 사람들이 목숨을 잃게 된 가장 주된 이유, '압박'에 의한 질식으로 추정됩니다.

구조 활동을 벌인 의료진들은 "현장에 도착했을 때 이미 다수의 피해자들이 심폐소생술(CPR)에도 못 깨어날 정도로 질식한 상태였다"고 전했습니다.

떠밀리고 깔리는 과정에서 가슴 부위에 가해진 강한 압박, 이것이 폐에 공기를 차단시켜 '산소 부족' 상태로 이어졌을 거란 설명입니다.

[정창삼/인덕대 스마트건설방재학과 교수 : "힘을 갑자기 가하게 되면 힘이 약한 쪽에서는 더 압축될 수밖에 없는 거죠. 호흡이라는 거는 심장의 펌핑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펌핑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이 나오지 않습니다."]

이들이 받았을 압박은 어느 정도였을까.

몸무게 60㎏의 성인 100명이 모이면 6t.

그런데 인파가 '갑자기 한 쪽으로' 확 쏠리는 경우엔 그보다 세 배, 약 18t 가량의 압력이 가해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입니다.

그 엄청난 무게로 인해 질식 뿐 아니라 장기 파열 등의 치명적 손상을 입었을 가능성도 높습니다.

[제진주/전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3~4분 정도를 질식했을 때 숨이 돌아가도록 해야하는 (시간을) '골든타임'이라고 하는데, 압사해서 다발성 장기 파열이 생기면 그건 심폐소생으로 (살리기도) 쉽지 않거든요."]

'압사' 사고의 경우 화재 등 다른 재해에 비해 교육과 대응 훈련 등이 훨씬 덜 이뤄져 왔습니다.

처음 맞닥뜨린 생소한 재난 앞에서 많은 피해자들이 어찌 할 바를 몰랐던 이유이기도 합니다.

KBS 뉴스 서재희입니다.

촬영기자:임동수/영상편집:박경상/그래픽:서수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