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자 대부분 20대·30대…여성이 98명

입력 2022.10.31 (06:41) 수정 2022.10.31 (07: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태원 참사로 가장 많은 인명피해를 입은 건 20대·30대 젊은층이었습니다.

10대 미성년자 사망 사례도 있었고, 성별로는 여성 사망자 수가 훨씬 많았습니다.

김유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젊은 여성과 남성이 잇따라 들것에 실려 갑니다.

3년 만에 '거리두기' 없이 맞이하게 된 핼러윈, 들뜬 마음으로 이태원을 찾았던 건 대부분 20대였습니다.

[최재원/서울 용산구보건소장 : "서울에 있는 응급의료센터로 대부분 17개, 20개 이상 (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 (피해자 연령대는 어떻게 되나요?) 20대가 가장 많은 것 같습니다."]

사망자 154명 가운데 거의 대부분인 103명이 20대였습니다.

30대도 서른 명의 희생자가 나왔고 40대에선 8명, 10대도 11명이 숨졌습니다.

교육부는 경찰·소방과 별도로 사고수습본부를 설치하고, 청소년 피해상황을 파악 중입니다.

성별로는 여성이 더 많았습니다.

남성 사망자가 50여 명인 데 반해 여성은 백 명 가까이 숨졌습니다.

셀 수 없이 많은 인파가 위에서 내리눌렀던 압사 사고의 특성 상, 상대적으로 체격이 작은 여성의 피해가 더 컸던 것으로 보입니다.

[김수아/목격자 : "걸음도 여성 분들은 구두 신고 계시니까 저도 똑같이 (인파에) 그냥 쓸려서 계속 발 접질러지면서 내려가게 되고 이런 상황이었어요."]

국방부는 장병과 군무원 중에서도 사망자 3명, 부상자가 4명 나왔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유대입니다.

촬영기자:조정석/영상편집:한찬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망자 대부분 20대·30대…여성이 98명
    • 입력 2022-10-31 06:41:43
    • 수정2022-10-31 07:20:16
    뉴스광장 1부
[앵커]

이태원 참사로 가장 많은 인명피해를 입은 건 20대·30대 젊은층이었습니다.

10대 미성년자 사망 사례도 있었고, 성별로는 여성 사망자 수가 훨씬 많았습니다.

김유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젊은 여성과 남성이 잇따라 들것에 실려 갑니다.

3년 만에 '거리두기' 없이 맞이하게 된 핼러윈, 들뜬 마음으로 이태원을 찾았던 건 대부분 20대였습니다.

[최재원/서울 용산구보건소장 : "서울에 있는 응급의료센터로 대부분 17개, 20개 이상 (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 (피해자 연령대는 어떻게 되나요?) 20대가 가장 많은 것 같습니다."]

사망자 154명 가운데 거의 대부분인 103명이 20대였습니다.

30대도 서른 명의 희생자가 나왔고 40대에선 8명, 10대도 11명이 숨졌습니다.

교육부는 경찰·소방과 별도로 사고수습본부를 설치하고, 청소년 피해상황을 파악 중입니다.

성별로는 여성이 더 많았습니다.

남성 사망자가 50여 명인 데 반해 여성은 백 명 가까이 숨졌습니다.

셀 수 없이 많은 인파가 위에서 내리눌렀던 압사 사고의 특성 상, 상대적으로 체격이 작은 여성의 피해가 더 컸던 것으로 보입니다.

[김수아/목격자 : "걸음도 여성 분들은 구두 신고 계시니까 저도 똑같이 (인파에) 그냥 쓸려서 계속 발 접질러지면서 내려가게 되고 이런 상황이었어요."]

국방부는 장병과 군무원 중에서도 사망자 3명, 부상자가 4명 나왔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유대입니다.

촬영기자:조정석/영상편집:한찬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