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정차 놓고도 ‘네 탓 공방’ 소모전…본질은 결국 ‘현장 통제’

입력 2022.11.01 (19:08) 수정 2022.11.01 (19: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참사 당일, 지하철 열차가 이태원역에 서지 않고 통과했다면, 인파가 덜 몰리고, 사고 위험도 줄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의 목소리도 있어왔습니다.

그러자 경찰과 서울교통공사는, 그 '무정차' 결정을 내리지 않은 책임을 서로에게 미루는 듯한 공방을 벌여왔는데요.

본질은 그런 소모적 공방이 아니라 결국 '현장 통제'에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보도에 김성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참사 당일 이태원역 승하차 인원은 13만여 명이었습니다.

1년 전 같은 시점, 즉 핼러윈을 앞둔 10월 마지막 주 토요일과 비교할 때 두 배 넘게 많았습니다.

[사고 목격자/음성변조 : "인파가 몰려서 (개찰구로) 올라가기까지 한 15분 넘게 걸렸습니다."]

그 인파가 몰린 이태원에선 결국, 참사가 발생하고 말았는데, 사고 장소가, 이태원역 1번 출구로부터 걸어서 1분 정도의 지척이었습니다.

지하철이라도 무정차 통과했으면, 인구 유입으로 인한 피해를 좀 줄일 수 있지 않았겠냐는 지적이 나왔던 이유입니다.

그러자 이를 놓고, 경찰과 서울교통공사의 책임 공방이 벌어졌습니다.

먼저 경찰이, 사고 사흘 전 관계기관 간담회 때 무정차 통과를 교통공사 측에 요청했다는 입장을 냈습니다.

사고 당일 밤 9시 38분과, 사고 이후에도 여러 차례 무정차를 요구했다는 겁니다.

[황창선/경찰청 치안상황관리관 : "(사건 당일) 21시 38분과 발생 직후인 23시 11분에 2차례, 1번은 휴대전화, 1번은 사무실 유선전화로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교통공사는, 사고 전 경찰이 무정차를 요청한 적 없다고 했습니다.

사고 '이후'에는 요청이 있었지만, 승객 불편 때문에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그 시점엔 이미 이태원에 유입되는 인구보다 귀가하려는 승객이 더 많았다는 취지입니다.

결국 어느 쪽 말이 맞는지를 굳이 가리자면, 수사 등으로 통화 내역을 확인해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태의 본질은 체계적인 '현장 통제'에 있지, 지하철 정차 여부가 핵심이 아니란 지적도 있습니다.

[김도경/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교수 : "인근 지역까지 같이 통제를 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분명히 이태원으로 모여드는 다양한 경로를 이용해서 다 접근할 수 있는 거죠. (무정차가) 안전 관리 대책의 모든 것은 아니다라고 생각이 들어서 본질은 아닌 것 같은..."]

경찰은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지하철 운영사는 '승객' 안전을 책임집니다.

이번 참사가 대중교통에서 발생한 일이 아니란 점에서, 실질적인 책임은, 결국 경찰 쪽이 더 무거울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김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무정차 놓고도 ‘네 탓 공방’ 소모전…본질은 결국 ‘현장 통제’
    • 입력 2022-11-01 19:08:42
    • 수정2022-11-01 19:19:45
    뉴스 7
[앵커]

참사 당일, 지하철 열차가 이태원역에 서지 않고 통과했다면, 인파가 덜 몰리고, 사고 위험도 줄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의 목소리도 있어왔습니다.

그러자 경찰과 서울교통공사는, 그 '무정차' 결정을 내리지 않은 책임을 서로에게 미루는 듯한 공방을 벌여왔는데요.

본질은 그런 소모적 공방이 아니라 결국 '현장 통제'에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보도에 김성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참사 당일 이태원역 승하차 인원은 13만여 명이었습니다.

1년 전 같은 시점, 즉 핼러윈을 앞둔 10월 마지막 주 토요일과 비교할 때 두 배 넘게 많았습니다.

[사고 목격자/음성변조 : "인파가 몰려서 (개찰구로) 올라가기까지 한 15분 넘게 걸렸습니다."]

그 인파가 몰린 이태원에선 결국, 참사가 발생하고 말았는데, 사고 장소가, 이태원역 1번 출구로부터 걸어서 1분 정도의 지척이었습니다.

지하철이라도 무정차 통과했으면, 인구 유입으로 인한 피해를 좀 줄일 수 있지 않았겠냐는 지적이 나왔던 이유입니다.

그러자 이를 놓고, 경찰과 서울교통공사의 책임 공방이 벌어졌습니다.

먼저 경찰이, 사고 사흘 전 관계기관 간담회 때 무정차 통과를 교통공사 측에 요청했다는 입장을 냈습니다.

사고 당일 밤 9시 38분과, 사고 이후에도 여러 차례 무정차를 요구했다는 겁니다.

[황창선/경찰청 치안상황관리관 : "(사건 당일) 21시 38분과 발생 직후인 23시 11분에 2차례, 1번은 휴대전화, 1번은 사무실 유선전화로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교통공사는, 사고 전 경찰이 무정차를 요청한 적 없다고 했습니다.

사고 '이후'에는 요청이 있었지만, 승객 불편 때문에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그 시점엔 이미 이태원에 유입되는 인구보다 귀가하려는 승객이 더 많았다는 취지입니다.

결국 어느 쪽 말이 맞는지를 굳이 가리자면, 수사 등으로 통화 내역을 확인해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태의 본질은 체계적인 '현장 통제'에 있지, 지하철 정차 여부가 핵심이 아니란 지적도 있습니다.

[김도경/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교수 : "인근 지역까지 같이 통제를 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분명히 이태원으로 모여드는 다양한 경로를 이용해서 다 접근할 수 있는 거죠. (무정차가) 안전 관리 대책의 모든 것은 아니다라고 생각이 들어서 본질은 아닌 것 같은..."]

경찰은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지하철 운영사는 '승객' 안전을 책임집니다.

이번 참사가 대중교통에서 발생한 일이 아니란 점에서, 실질적인 책임은, 결국 경찰 쪽이 더 무거울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김석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