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나는 뭘했나” 트라우마, 간접 노출도 위험

입력 2022.11.01 (21:49) 수정 2022.11.01 (22: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도심 한복판에서 수많은 청년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희생자 가족은 물론 국민 모두가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 마음의 상처를 보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텐데요.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강지인 교수에게 도움 말씀 들어보겠습니다. 강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KBS도 참사 현장의 영상을 되도록 사용하지 않으려고 하고 있습니다만, 사고 관련 영상에 여러 번 노출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요?

[답변]

이런 끔찍한 영상들을 통해서 트라우마에 간접적으로 노출된 경우에도 우리에게는 큰 충격과 불안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런 참담한 영상과 댓글들로 인해서 피해자분들이나 유가족분들께 2차적인 피해 2차 트라우마가 생기게 되지 않을까 우려가 되고 우리에게 세심한 주의와 배려가 더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앵커]

사고를 직접 겪은 사람은 물론이고 겪지 않은 사람들도 정신적 충격을 상당히 호소하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의 충격을 받았다고 해야 될까요?

[답변]

이 사고 현장에 직접 계셨던 분들이나 피해자 유가족분들의 고통과 충격은 제가 감히 상상조차 할 수 없을 정도의 큰 충격과 고통이실 것 같아 정말 안타깝습니다.
우리가 간접적으로 경험한 우리 국민들도 이 끔찍한 참사가 우리의 가까운 곳에서 우리가 한 번쯤은 걸었을 수도 있는 거리에서 우리의 일상에서 이런 일이 벌어졌다는 것에 대해서 나에게도 있을 수 있고 내 가족에게도 있을 수 있는 일이구나 하는 마음이 간접적인 경험이 우리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오지 않나 싶습니다.

[앵커]

나도 이제 그 현장에 충분히 있었을 수도 있다는 말이 나오고 있고, 그렇다 보니 충격이 더 클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상담이나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을 텐데요. 어떤 증상을 보이면 의심을 해봐야 될까요?

[답변]

이렇게 이제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큰 충격 경험 이후에는 정상적으로도 우리의 뇌나 우리의 신체에서 굉장한 각성 반응이 강렬하게 일어납니다.
그러다 보니까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한 자꾸 생각이 나는 이런 몸에서의 자율신경계 불안 반응과 함께 잠도 못 자고 악몽에 시달리고 그 사건을 생각하면서 갑자기 멍해지기도 하고 현실과 동떨어지는 느낌을 받기도 하는 여러 가지 증상이 있을 수 있는데 특히 트라우마 초기에는 정상적으로도 불안 반응은 있을 수 있습니다.
근데 이제 이런 반응이 일상생활이 안 될 정도로 심각하다거나 한 달 이상 지속 돼서 문제가 된다면 전문가를 찾아서 도움을 받는 것이 좋고요. 자살이라든지 극단적인 생각을 하게 되는 위험이 있다면 그때는 빠른 조치와 개입이 필요합니다.

[앵커]

한 달 정도. 그리고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면 상담이나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는 말씀이시고요. 희생자 대부분이 2~30대였습니다. 젊은 층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청년들의 마음을 어떻게 보듬어야 할까요?

[답변]

너무 안타까운 일인데요. 가정에서 우리가 사회가 안전하지 않다는 불신도 우리에게 생기고 특히 청년들은 사회 첫 발을 내딛고 미래를 꿈꾸는 이 시기에 뭔가 허탈하고 낙담하게 되고 무력감을 느끼게 되는 이런 힘든 과정에 있을까 저희가 우려가 되는데요. 이때 우리는 섣부른 충고나 비난 또 섣부른 위로보다는 진짜 어떤 마음이 있는지 어떤 고통과 어떤 시련이 있는지 그들의 진짜 마음에 귀를 기울여주고 그 마음을 이해하고 소통해 나가는 게 중요할 것 같고요. 우리 청년들은 스트레스를 이겨내는 회복 탄력성이라는 것도 굉장히 뛰어나기 때문에 이해와 소통의 분위기가 마련된다면 우리가 오히려 좀 더 힘을 합쳐서 좀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서로 화합하는 에너지로도 작동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면서 우리가 먼저 마음을 이해하는 그런 과정, 인정해 주는 게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앵커]

다른 세대에 있는 사람들도 그 세대에 함께 들어가서 동감하고 함께 생각하는 그런 시간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강 교수님 오늘 나와주셔서 고맙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터뷰] “나는 뭘했나” 트라우마, 간접 노출도 위험
    • 입력 2022-11-01 21:49:22
    • 수정2022-11-01 22:37:58
    뉴스 9
[앵커]

도심 한복판에서 수많은 청년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희생자 가족은 물론 국민 모두가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 마음의 상처를 보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텐데요.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강지인 교수에게 도움 말씀 들어보겠습니다. 강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KBS도 참사 현장의 영상을 되도록 사용하지 않으려고 하고 있습니다만, 사고 관련 영상에 여러 번 노출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요?

[답변]

이런 끔찍한 영상들을 통해서 트라우마에 간접적으로 노출된 경우에도 우리에게는 큰 충격과 불안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런 참담한 영상과 댓글들로 인해서 피해자분들이나 유가족분들께 2차적인 피해 2차 트라우마가 생기게 되지 않을까 우려가 되고 우리에게 세심한 주의와 배려가 더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앵커]

사고를 직접 겪은 사람은 물론이고 겪지 않은 사람들도 정신적 충격을 상당히 호소하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의 충격을 받았다고 해야 될까요?

[답변]

이 사고 현장에 직접 계셨던 분들이나 피해자 유가족분들의 고통과 충격은 제가 감히 상상조차 할 수 없을 정도의 큰 충격과 고통이실 것 같아 정말 안타깝습니다.
우리가 간접적으로 경험한 우리 국민들도 이 끔찍한 참사가 우리의 가까운 곳에서 우리가 한 번쯤은 걸었을 수도 있는 거리에서 우리의 일상에서 이런 일이 벌어졌다는 것에 대해서 나에게도 있을 수 있고 내 가족에게도 있을 수 있는 일이구나 하는 마음이 간접적인 경험이 우리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오지 않나 싶습니다.

[앵커]

나도 이제 그 현장에 충분히 있었을 수도 있다는 말이 나오고 있고, 그렇다 보니 충격이 더 클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상담이나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을 텐데요. 어떤 증상을 보이면 의심을 해봐야 될까요?

[답변]

이렇게 이제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큰 충격 경험 이후에는 정상적으로도 우리의 뇌나 우리의 신체에서 굉장한 각성 반응이 강렬하게 일어납니다.
그러다 보니까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한 자꾸 생각이 나는 이런 몸에서의 자율신경계 불안 반응과 함께 잠도 못 자고 악몽에 시달리고 그 사건을 생각하면서 갑자기 멍해지기도 하고 현실과 동떨어지는 느낌을 받기도 하는 여러 가지 증상이 있을 수 있는데 특히 트라우마 초기에는 정상적으로도 불안 반응은 있을 수 있습니다.
근데 이제 이런 반응이 일상생활이 안 될 정도로 심각하다거나 한 달 이상 지속 돼서 문제가 된다면 전문가를 찾아서 도움을 받는 것이 좋고요. 자살이라든지 극단적인 생각을 하게 되는 위험이 있다면 그때는 빠른 조치와 개입이 필요합니다.

[앵커]

한 달 정도. 그리고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면 상담이나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는 말씀이시고요. 희생자 대부분이 2~30대였습니다. 젊은 층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청년들의 마음을 어떻게 보듬어야 할까요?

[답변]

너무 안타까운 일인데요. 가정에서 우리가 사회가 안전하지 않다는 불신도 우리에게 생기고 특히 청년들은 사회 첫 발을 내딛고 미래를 꿈꾸는 이 시기에 뭔가 허탈하고 낙담하게 되고 무력감을 느끼게 되는 이런 힘든 과정에 있을까 저희가 우려가 되는데요. 이때 우리는 섣부른 충고나 비난 또 섣부른 위로보다는 진짜 어떤 마음이 있는지 어떤 고통과 어떤 시련이 있는지 그들의 진짜 마음에 귀를 기울여주고 그 마음을 이해하고 소통해 나가는 게 중요할 것 같고요. 우리 청년들은 스트레스를 이겨내는 회복 탄력성이라는 것도 굉장히 뛰어나기 때문에 이해와 소통의 분위기가 마련된다면 우리가 오히려 좀 더 힘을 합쳐서 좀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서로 화합하는 에너지로도 작동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면서 우리가 먼저 마음을 이해하는 그런 과정, 인정해 주는 게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앵커]

다른 세대에 있는 사람들도 그 세대에 함께 들어가서 동감하고 함께 생각하는 그런 시간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강 교수님 오늘 나와주셔서 고맙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