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파사고 예방 TF’ 첫 회의…“112 늑장대처 철저 조사”

입력 2022.11.02 (17:29) 수정 2022.11.02 (17: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태원 참사 이후 나흘째인 오늘, 행정안전부가 주최자 없이 다중이 밀집하는 인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범정부 특별팀을 구성하고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112 신고 늑장대처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지시하고 엄중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 대처는 조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주최자가 없이 다중이 밀집하는 행사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를 주문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이태원 참사 나흘 만에 범정부 특별팀이 꾸려졌습니다.

특별팀에는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교육부와 문체부, 경찰청, 소방청 등 관계부처와 서울시와 용산구 등 지자체, 안전관리와 지역축제 분야 등 민간 전문가가 참여했습니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오늘 첫 회의를 주재하고 이태원 참사로 드러난 제도적 문제점 등을 살펴보고 실현 가능한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상민/행정안전부 장관 : "실제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에서는 적극적으로 개선방안을 찾아 주시고, 민간 전문가분들께서는 아낌없는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이에 앞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사고 원인 조사가 끝나는 대로 112 대응체계의 혁신을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특히 경찰의 늑장 대처에 대해 경찰이 특별수사본부와 감찰을 통해 철저히 조사하라고 지시했습니다.

[한덕수/국무총리 : "경찰의 가장 기본적인 임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입니다. 정부는 조사가 끝나는 대로 상응하는 책임을 엄중히 묻고..."]

정부는 또 이태원 사고 '사망자'라는 표현은 재난 용어를 최대한 중립적으로 쓰는 일종의 내규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희생자'라는 표현을 쓰면 책임을 지게 되고 '사망자'라고 하면 책임을 안 지는 것은 아니라며 책임 회피는 아니라고 해명했습니다.

아울러 '참사'가 아닌 '사고'라고 쓰는 것도 '참사', '압사'라는 용어는 지역 이미지에 부정적인 이미지를 각인시켜 주기 때문이라며 각 용어 사용은 권고사항이라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파사고 예방 TF’ 첫 회의…“112 늑장대처 철저 조사”
    • 입력 2022-11-02 17:29:12
    • 수정2022-11-02 17:40:27
    뉴스 5
[앵커]

이태원 참사 이후 나흘째인 오늘, 행정안전부가 주최자 없이 다중이 밀집하는 인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범정부 특별팀을 구성하고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112 신고 늑장대처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지시하고 엄중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 대처는 조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주최자가 없이 다중이 밀집하는 행사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를 주문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이태원 참사 나흘 만에 범정부 특별팀이 꾸려졌습니다.

특별팀에는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교육부와 문체부, 경찰청, 소방청 등 관계부처와 서울시와 용산구 등 지자체, 안전관리와 지역축제 분야 등 민간 전문가가 참여했습니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오늘 첫 회의를 주재하고 이태원 참사로 드러난 제도적 문제점 등을 살펴보고 실현 가능한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상민/행정안전부 장관 : "실제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에서는 적극적으로 개선방안을 찾아 주시고, 민간 전문가분들께서는 아낌없는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이에 앞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사고 원인 조사가 끝나는 대로 112 대응체계의 혁신을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특히 경찰의 늑장 대처에 대해 경찰이 특별수사본부와 감찰을 통해 철저히 조사하라고 지시했습니다.

[한덕수/국무총리 : "경찰의 가장 기본적인 임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입니다. 정부는 조사가 끝나는 대로 상응하는 책임을 엄중히 묻고..."]

정부는 또 이태원 사고 '사망자'라는 표현은 재난 용어를 최대한 중립적으로 쓰는 일종의 내규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희생자'라는 표현을 쓰면 책임을 지게 되고 '사망자'라고 하면 책임을 안 지는 것은 아니라며 책임 회피는 아니라고 해명했습니다.

아울러 '참사'가 아닌 '사고'라고 쓰는 것도 '참사', '압사'라는 용어는 지역 이미지에 부정적인 이미지를 각인시켜 주기 때문이라며 각 용어 사용은 권고사항이라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