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권 불공평”…공습경보 때 갈 곳 없는 주민들

입력 2022.11.14 (19:11) 수정 2022.11.14 (20: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로 울릉도 전역에 한때 공습경보가 발령됐습니다.

이런 비상 상황 때 주민을 보호하기 위해 지정한 곳이 민방위 대피소인데요,

KBS가 천4백 곳에 달하는 부산의 민방위 대피소를 전수 분석해 연속 보도합니다.

오늘은 공습경보가 내려지더라도 갈 곳이 없는 주민들을 황현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신도시가 들어선 부산 기장군 일광읍입니다.

이 일대에서 유일한 민방위 대피소를 찾아가 봤습니다.

아파트 지하 주차장 만 천㎡로, 최대 수용 인원은 만 3천여 명입니다.

일광읍 인구의 절반이 넘는 만 4천여 명은 수용할 수 없습니다.

인구가 밀집한 신도시와 떨어져 있어 신속한 대피도 어렵습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 관계자 : "먼 곳에서 오려면 30분 걸리는데, 비상시에 30분 시간 끌면 대피소로서의 기능은 못 하죠."]

초, 중, 고등학교 6곳과 대형 쇼핑몰이 있는 부산 기장군 장안읍.

산업단지와 원자력 발전소도 끼고 있습니다.

8천4백여 명이 살고 있지만, 민방위 대피소는 한 곳도 없습니다.

공습 경보가 내려지는 비상 상황 때 이곳 주민들은 대피할 곳이 없다는 얘기입니다.

[부산 기장군 장안읍 주민 : "생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비상 조치가 내려지면 긴급하게 통보해서 주민들이 안전지대로 피신할 수 있도록 해줘야죠."]

대규모 지하 공간을 갖춘 건물이 없어 대피소 지정이 늦어지고 있습니다.

[하남신/부산 기장군 원전안전과장 : "(민방위) 대피시설로 지정하려면 기준에 맞아야 하는데 지정 기준에 부합하는 장소가 마땅치 않아서…."]

4천여 명이 살고 있는 부산 강서구 가덕도동에도 민방위 대피소가 없습니다.

강서구 강동동과 가락동에는 대피소가 한 곳뿐이어서 주민 3천6백여 명과 천7백 명을 수용할 수 없습니다.

부산의 민방위 대피소는 천390여 곳.

대부분 아파트와 건물 지하 주차장, 도시철도역으로 447만㎡에 달합니다.

대피소에서 한 명이 차지하는 면적 기준인 0.825㎡로 계산하면 최대 540만 명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부산시도 보도자료에서 필요한 민방위 대피소 면적의 160%가량을 초과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대피소를 전수 분석해 지역별로 따져보니, 기장군과 강서구 주민 4만 5천여 명은 공습경보 때도 대피할 곳이 없었습니다.

[우미옥/부산시 안전정책과장 : "시나 지자체가 모르는 지하 시설이 있는지, (대피소) 기준을 완화해서 지정할 수 있는 시설이 있는지 전수 조사를 해서…."]

부산시는 마땅한 지하 시설이 없는 곳에 정부 예산을 지원받아 대피소 역할을 할 건물을 짓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그래픽:최유리/자료조사:강예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존권 불공평”…공습경보 때 갈 곳 없는 주민들
    • 입력 2022-11-14 19:11:48
    • 수정2022-11-14 20:02:12
    뉴스7(부산)
[앵커]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로 울릉도 전역에 한때 공습경보가 발령됐습니다.

이런 비상 상황 때 주민을 보호하기 위해 지정한 곳이 민방위 대피소인데요,

KBS가 천4백 곳에 달하는 부산의 민방위 대피소를 전수 분석해 연속 보도합니다.

오늘은 공습경보가 내려지더라도 갈 곳이 없는 주민들을 황현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신도시가 들어선 부산 기장군 일광읍입니다.

이 일대에서 유일한 민방위 대피소를 찾아가 봤습니다.

아파트 지하 주차장 만 천㎡로, 최대 수용 인원은 만 3천여 명입니다.

일광읍 인구의 절반이 넘는 만 4천여 명은 수용할 수 없습니다.

인구가 밀집한 신도시와 떨어져 있어 신속한 대피도 어렵습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 관계자 : "먼 곳에서 오려면 30분 걸리는데, 비상시에 30분 시간 끌면 대피소로서의 기능은 못 하죠."]

초, 중, 고등학교 6곳과 대형 쇼핑몰이 있는 부산 기장군 장안읍.

산업단지와 원자력 발전소도 끼고 있습니다.

8천4백여 명이 살고 있지만, 민방위 대피소는 한 곳도 없습니다.

공습 경보가 내려지는 비상 상황 때 이곳 주민들은 대피할 곳이 없다는 얘기입니다.

[부산 기장군 장안읍 주민 : "생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비상 조치가 내려지면 긴급하게 통보해서 주민들이 안전지대로 피신할 수 있도록 해줘야죠."]

대규모 지하 공간을 갖춘 건물이 없어 대피소 지정이 늦어지고 있습니다.

[하남신/부산 기장군 원전안전과장 : "(민방위) 대피시설로 지정하려면 기준에 맞아야 하는데 지정 기준에 부합하는 장소가 마땅치 않아서…."]

4천여 명이 살고 있는 부산 강서구 가덕도동에도 민방위 대피소가 없습니다.

강서구 강동동과 가락동에는 대피소가 한 곳뿐이어서 주민 3천6백여 명과 천7백 명을 수용할 수 없습니다.

부산의 민방위 대피소는 천390여 곳.

대부분 아파트와 건물 지하 주차장, 도시철도역으로 447만㎡에 달합니다.

대피소에서 한 명이 차지하는 면적 기준인 0.825㎡로 계산하면 최대 540만 명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부산시도 보도자료에서 필요한 민방위 대피소 면적의 160%가량을 초과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대피소를 전수 분석해 지역별로 따져보니, 기장군과 강서구 주민 4만 5천여 명은 공습경보 때도 대피할 곳이 없었습니다.

[우미옥/부산시 안전정책과장 : "시나 지자체가 모르는 지하 시설이 있는지, (대피소) 기준을 완화해서 지정할 수 있는 시설이 있는지 전수 조사를 해서…."]

부산시는 마땅한 지하 시설이 없는 곳에 정부 예산을 지원받아 대피소 역할을 할 건물을 짓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그래픽:최유리/자료조사:강예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