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생명 보호할 ‘민방위 대피소’ 따져보니…

입력 2022.11.14 (19:13) 수정 2022.11.14 (20: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사일 도발 등 비상 상황에서 시민 생존권은 사는 지역에 상관없이 공평하게 보장받아야 할 권리인데요,

이 문제 집중 취재한 황현규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황 기자, 우선 민방위 대피소가 어떤 곳인지 궁금한데요?

[기자]

이달 초 울릉도에 공습 경보가 내려졌죠.

당시 주민들에게 몸을 피하라고 안내한 곳이 민방위 대피소입니다.

적의 미사일 발사 등 비상 상황 때 몸을 피할 수 있는 지하시설인데요,

부산에서도 민방위 대피소를 쉽게 볼 수 있지만, 어떤 곳인지 잘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공습 경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란 생각 때문일 텐데, 사실 저도 취재를 하기 전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예고 없이 찾아오는 재난엔 미리 대비하는 게 중요하지 않습니까?

민방위기본법에도 자치단체별로 대피소를 반드시 지정하도록 했는데요,

지금 화면으로 보시는 게 민방위 대피소 안내 표시판이니까 꼭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국민재난안전포털 사이트와 스마트폰 안전디딤돌 앱을 활용하면 주변에 있는 민방위 대피소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앵커]

부산에는 이런 민방위 대피소가 천4백 곳 정도 되는데, 수치상으로는 충분한 면적이라고요?

[기자]

지난주 부산시에서 이런 보도자료를 냈습니다.

구, 군과 함께 민방위 주민대피시설을 일제 점검하겠다는 내용인데요,

부산의 민방위 대피시설 현황도 참고 자료로 첨부했습니다.

이 자료를 보면 부산의 전체 민방위 대피소 면적은 440만 제곱미터 정도입니다.

부산에서 필요한 대피소 면적은 270만 제곱미터인데요,

부산 인구 330만 명에 민방위 대피소에서 한 사람이 차지하는 면적인 0.825를 곱한 겁니다.

민방위 대피소에 일시적으로, 그러니까 하루 미만으로 머물기 때문에 가부좌를 틀고 앉을 수 있을 정도면 된다고 본 겁니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민방위 대피소 평균 확보율은 163% 고요,

16개 구, 군 모두 확보율 100%가 넘어 민방위 대피소를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옵니다.

[앵커]

그런데 황 기자 보도를 보면, 공습 경보가 발령되더라도 대피할 수 없는 주민들이 많아요,

왜 그런거죠?

[기자]

저희가 부산의 민방위 대피소를 전수 분석한 이유이기도 한데요,

구, 군별 대피소 면적의 합계만을 제시한 부산시 자료의 이면을 들여다 봤습니다.

자치단체에서 지정한 대피소를 읍, 면, 동별로 일일이 분류하니 대피소가 아예 없거나 부족한 곳이 확인됐습니다.

부산 기장군과 강서구에 살고 있는 주민 가운데 4만 5천여 명은 공습경보 때 갈 곳이 없었는데요,

민방위 대피소로 지정하는 지하 공간 100제곱미터 이상의 아파트나 도시철도역, 큰 건물이 없거나 부족한 지역입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생존권의 문제인 민방위 대피소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주민들이 있으면 안 되겠죠.

대피소 면적을 충분히 확보한 인근의 읍, 면, 동으로 대피하면 된다는 자치단체의 해명도 있었는데요,

5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는 곳에 대피소를 지정하라는 행정안전부의 설명과 배치됩니다.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면적만 채워놓고 충분한 대피소를 확보했다고 하는 건 행정 편의주의로도 볼 수 있겠죠.

부산시도 이런 문제점을 미처 파악하지 못했다며,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저희는 도심에서도 인구 대비 대피소가 부족한 곳이 있다는 것, 또 대피소가 있더라도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을지까지 취재해 내일과 모레 연속 보도할 예정입니다.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황 기자, 수고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민 생명 보호할 ‘민방위 대피소’ 따져보니…
    • 입력 2022-11-14 19:13:35
    • 수정2022-11-14 20:02:12
    뉴스7(부산)
[앵커]

미사일 도발 등 비상 상황에서 시민 생존권은 사는 지역에 상관없이 공평하게 보장받아야 할 권리인데요,

이 문제 집중 취재한 황현규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황 기자, 우선 민방위 대피소가 어떤 곳인지 궁금한데요?

[기자]

이달 초 울릉도에 공습 경보가 내려졌죠.

당시 주민들에게 몸을 피하라고 안내한 곳이 민방위 대피소입니다.

적의 미사일 발사 등 비상 상황 때 몸을 피할 수 있는 지하시설인데요,

부산에서도 민방위 대피소를 쉽게 볼 수 있지만, 어떤 곳인지 잘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공습 경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란 생각 때문일 텐데, 사실 저도 취재를 하기 전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예고 없이 찾아오는 재난엔 미리 대비하는 게 중요하지 않습니까?

민방위기본법에도 자치단체별로 대피소를 반드시 지정하도록 했는데요,

지금 화면으로 보시는 게 민방위 대피소 안내 표시판이니까 꼭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국민재난안전포털 사이트와 스마트폰 안전디딤돌 앱을 활용하면 주변에 있는 민방위 대피소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앵커]

부산에는 이런 민방위 대피소가 천4백 곳 정도 되는데, 수치상으로는 충분한 면적이라고요?

[기자]

지난주 부산시에서 이런 보도자료를 냈습니다.

구, 군과 함께 민방위 주민대피시설을 일제 점검하겠다는 내용인데요,

부산의 민방위 대피시설 현황도 참고 자료로 첨부했습니다.

이 자료를 보면 부산의 전체 민방위 대피소 면적은 440만 제곱미터 정도입니다.

부산에서 필요한 대피소 면적은 270만 제곱미터인데요,

부산 인구 330만 명에 민방위 대피소에서 한 사람이 차지하는 면적인 0.825를 곱한 겁니다.

민방위 대피소에 일시적으로, 그러니까 하루 미만으로 머물기 때문에 가부좌를 틀고 앉을 수 있을 정도면 된다고 본 겁니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민방위 대피소 평균 확보율은 163% 고요,

16개 구, 군 모두 확보율 100%가 넘어 민방위 대피소를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옵니다.

[앵커]

그런데 황 기자 보도를 보면, 공습 경보가 발령되더라도 대피할 수 없는 주민들이 많아요,

왜 그런거죠?

[기자]

저희가 부산의 민방위 대피소를 전수 분석한 이유이기도 한데요,

구, 군별 대피소 면적의 합계만을 제시한 부산시 자료의 이면을 들여다 봤습니다.

자치단체에서 지정한 대피소를 읍, 면, 동별로 일일이 분류하니 대피소가 아예 없거나 부족한 곳이 확인됐습니다.

부산 기장군과 강서구에 살고 있는 주민 가운데 4만 5천여 명은 공습경보 때 갈 곳이 없었는데요,

민방위 대피소로 지정하는 지하 공간 100제곱미터 이상의 아파트나 도시철도역, 큰 건물이 없거나 부족한 지역입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생존권의 문제인 민방위 대피소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주민들이 있으면 안 되겠죠.

대피소 면적을 충분히 확보한 인근의 읍, 면, 동으로 대피하면 된다는 자치단체의 해명도 있었는데요,

5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는 곳에 대피소를 지정하라는 행정안전부의 설명과 배치됩니다.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면적만 채워놓고 충분한 대피소를 확보했다고 하는 건 행정 편의주의로도 볼 수 있겠죠.

부산시도 이런 문제점을 미처 파악하지 못했다며,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저희는 도심에서도 인구 대비 대피소가 부족한 곳이 있다는 것, 또 대피소가 있더라도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을지까지 취재해 내일과 모레 연속 보도할 예정입니다.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황 기자, 수고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