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화물연대 협상 결렬

입력 2022.11.30 (19:08) 수정 2022.11.30 (19: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화물연대의 총파업이 1주일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부와 화물연대의 두 번째 교섭이 진행됐지만 협상은 별 성과없이 40분만에 결렬됐습니다.

정부는 시멘트업에 이어 정유업에도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조정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그제 1차 교섭에 이어 두 번째로 마주앉은 국토교통부와 화물연대.

하지만 교섭은 불과 40분 만에 결렬됐습니다.

양측은 2차 교섭에서도 기존 입장을 반복하며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협상에 앞서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명분 벌기용 형식적인 만남은 의미가 없다며 면담을 원점에서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토부는 어제 발동한 정부의 업무개시 명령서를 시멘트 분야의 화물차 기사 350명에게 교부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시멘트 운송업자들은 업무개시명령을 따르지 않고 총파업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파업이 1주일째 이어지면서 산업계의 피해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시멘트 협회는 시멘트 출하량이 여전히 평시의 10% 수준에 불과하고 하루 180억 원의 매출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고 추산했습니다.

정부는 어제까지 전국 건설 현장의 59%에 달하는 577곳에서 레미콘 타설이 중단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일부 주유소에서는 석유 공급이 끊기며 휘발유 품절사태가 나는 등 정유업계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늘 오전 8시 기준 전국의 품절 주유소가 23곳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어제 기준으로 전국 주유소의 재고는 휘발유의 경우 8일분, 경유는 10일분 정도라며 비상 수송을 통해 유류제품을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상황이 악화될 경우 시멘트 분야에 이어 정유 분야에도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시멘트협회를 비롯한 6개 업종별 화주 단체들은 오늘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산업계 피해가 극심한만큼 화물연대에 파업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KBS 뉴스 조정인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영상편집:차정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토부-화물연대 협상 결렬
    • 입력 2022-11-30 19:08:34
    • 수정2022-11-30 19:46:18
    뉴스7(광주)
[앵커]

화물연대의 총파업이 1주일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부와 화물연대의 두 번째 교섭이 진행됐지만 협상은 별 성과없이 40분만에 결렬됐습니다.

정부는 시멘트업에 이어 정유업에도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조정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그제 1차 교섭에 이어 두 번째로 마주앉은 국토교통부와 화물연대.

하지만 교섭은 불과 40분 만에 결렬됐습니다.

양측은 2차 교섭에서도 기존 입장을 반복하며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협상에 앞서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명분 벌기용 형식적인 만남은 의미가 없다며 면담을 원점에서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토부는 어제 발동한 정부의 업무개시 명령서를 시멘트 분야의 화물차 기사 350명에게 교부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시멘트 운송업자들은 업무개시명령을 따르지 않고 총파업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파업이 1주일째 이어지면서 산업계의 피해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시멘트 협회는 시멘트 출하량이 여전히 평시의 10% 수준에 불과하고 하루 180억 원의 매출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고 추산했습니다.

정부는 어제까지 전국 건설 현장의 59%에 달하는 577곳에서 레미콘 타설이 중단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일부 주유소에서는 석유 공급이 끊기며 휘발유 품절사태가 나는 등 정유업계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늘 오전 8시 기준 전국의 품절 주유소가 23곳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어제 기준으로 전국 주유소의 재고는 휘발유의 경우 8일분, 경유는 10일분 정도라며 비상 수송을 통해 유류제품을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상황이 악화될 경우 시멘트 분야에 이어 정유 분야에도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시멘트협회를 비롯한 6개 업종별 화주 단체들은 오늘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산업계 피해가 극심한만큼 화물연대에 파업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KBS 뉴스 조정인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영상편집:차정남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