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가 공개 실현 여부 관심
입력 2004.04.17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아파트 분양 원가 공개가 실현될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원가 공개는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위기가 대세입니다.
이승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이달 초 서울에서 동시 분양된 잠실 주공 4단지의 분양가는 평당 2000만원선.
주변 시세보다 높게 책정된 분양가는 즉각 인근 아파트값을 최고 7000만원까지 끌어올렸습니다.
⊙박정식(경실련 공공,예산감시팀장): 이런 상황에서 소비자가 요구할 수 있는 부분은 원가 공개, 그게 최소한의 권리거든요.
그 원가공개가 이루어져야만 아파트 품질이라든가 가격을 비교할 수 있고...
⊙기자: 비싼 분양가가 아파트 값을 올리는 악순환이 반복되자 각 당은 총선 기간 동안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를 약속했습니다.
열린우리당은 공공아파트에 한해 점진적 추진의사를 밝혔고 한나라당도 공공아파트의 원가공개에 찬성했으며 민노당과 민주당은 민간 아파트까지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유은혜(열린우리당 부대변인): 공공주택 원가공개는 공개시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해서 점진적으로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기자: 주무부처인 건설교통부는 주공아파트에 한해 분양원가 공개 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6월쯤 최종 결정을 내릴 예정이지만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대한 고려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공공아파트의 분양원가가 공개될 경우 사실상 민간 아파트의 분양가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주택공사나 민간 건설업체는 분양 원가공개를 강력히 반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원가 공개여론이 높고 정치권도 공약으로 약속한 만큼 주공아파트의 분양원가는 공개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KBS뉴스 이승기입니다.
원가 공개는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위기가 대세입니다.
이승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이달 초 서울에서 동시 분양된 잠실 주공 4단지의 분양가는 평당 2000만원선.
주변 시세보다 높게 책정된 분양가는 즉각 인근 아파트값을 최고 7000만원까지 끌어올렸습니다.
⊙박정식(경실련 공공,예산감시팀장): 이런 상황에서 소비자가 요구할 수 있는 부분은 원가 공개, 그게 최소한의 권리거든요.
그 원가공개가 이루어져야만 아파트 품질이라든가 가격을 비교할 수 있고...
⊙기자: 비싼 분양가가 아파트 값을 올리는 악순환이 반복되자 각 당은 총선 기간 동안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를 약속했습니다.
열린우리당은 공공아파트에 한해 점진적 추진의사를 밝혔고 한나라당도 공공아파트의 원가공개에 찬성했으며 민노당과 민주당은 민간 아파트까지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유은혜(열린우리당 부대변인): 공공주택 원가공개는 공개시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해서 점진적으로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기자: 주무부처인 건설교통부는 주공아파트에 한해 분양원가 공개 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6월쯤 최종 결정을 내릴 예정이지만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대한 고려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공공아파트의 분양원가가 공개될 경우 사실상 민간 아파트의 분양가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주택공사나 민간 건설업체는 분양 원가공개를 강력히 반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원가 공개여론이 높고 정치권도 공약으로 약속한 만큼 주공아파트의 분양원가는 공개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KBS뉴스 이승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파트 분양가 공개 실현 여부 관심
-
- 입력 2004-04-17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data/fckeditor/vod/multi/kbs9/2004/20040417/1500K_new/210.jpg)
⊙앵커: 아파트 분양 원가 공개가 실현될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원가 공개는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위기가 대세입니다.
이승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이달 초 서울에서 동시 분양된 잠실 주공 4단지의 분양가는 평당 2000만원선.
주변 시세보다 높게 책정된 분양가는 즉각 인근 아파트값을 최고 7000만원까지 끌어올렸습니다.
⊙박정식(경실련 공공,예산감시팀장): 이런 상황에서 소비자가 요구할 수 있는 부분은 원가 공개, 그게 최소한의 권리거든요.
그 원가공개가 이루어져야만 아파트 품질이라든가 가격을 비교할 수 있고...
⊙기자: 비싼 분양가가 아파트 값을 올리는 악순환이 반복되자 각 당은 총선 기간 동안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를 약속했습니다.
열린우리당은 공공아파트에 한해 점진적 추진의사를 밝혔고 한나라당도 공공아파트의 원가공개에 찬성했으며 민노당과 민주당은 민간 아파트까지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유은혜(열린우리당 부대변인): 공공주택 원가공개는 공개시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해서 점진적으로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기자: 주무부처인 건설교통부는 주공아파트에 한해 분양원가 공개 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6월쯤 최종 결정을 내릴 예정이지만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대한 고려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공공아파트의 분양원가가 공개될 경우 사실상 민간 아파트의 분양가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주택공사나 민간 건설업체는 분양 원가공개를 강력히 반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원가 공개여론이 높고 정치권도 공약으로 약속한 만큼 주공아파트의 분양원가는 공개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KBS뉴스 이승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