칡 속에서 성장 호르몬 발견
입력 2004.07.13 (22:02)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나라 야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칡 속에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키고 골다공증치료에 탁월한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최성원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기자: 야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칡입니다.
이 칡을 농축시킨 뒤 실험동물세포에 주입해 봤더니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최고 7배나 증가했습니다.
특히 칡의 새싹 부분에 성장호르몬 유발을 촉진시키는 물질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에는 쥐의 여성호르몬 분비를 막은 뒤 골다공증을 유발시켰습니다.
골다공증쥐의 뒷다리 뼈 안의 골이 사라지고 사이사이에 흰 지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쥐에 칡 농축액을 9주 동안 먹였더니 뼈가 분홍색을 띠며 정상에 가깝게 변했습니다.
여성호르몬을 투약한 쥐에 비해서도 골밀도가 더 촘촘합니다.
⊙하혜경(한의학연구원 연구원): 투여했을 경우에 부작용도 에스트로젠보다 낫고 그래서 골다공증의 예방이나 치료제로 할 수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기자: 외국에서는 여성호르몬 대체요법으로 대두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연구팀은 국내산 칡에 함유된 여성호르몬 유사물질이 대두보다 최고 300배나 더 많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칡을 이용해 성장촉진과 골다공증 예방치료제 개발에 나설 계획입니다.
KBS뉴스 최성원입니다.
최성원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기자: 야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칡입니다.
이 칡을 농축시킨 뒤 실험동물세포에 주입해 봤더니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최고 7배나 증가했습니다.
특히 칡의 새싹 부분에 성장호르몬 유발을 촉진시키는 물질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에는 쥐의 여성호르몬 분비를 막은 뒤 골다공증을 유발시켰습니다.
골다공증쥐의 뒷다리 뼈 안의 골이 사라지고 사이사이에 흰 지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쥐에 칡 농축액을 9주 동안 먹였더니 뼈가 분홍색을 띠며 정상에 가깝게 변했습니다.
여성호르몬을 투약한 쥐에 비해서도 골밀도가 더 촘촘합니다.
⊙하혜경(한의학연구원 연구원): 투여했을 경우에 부작용도 에스트로젠보다 낫고 그래서 골다공증의 예방이나 치료제로 할 수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기자: 외국에서는 여성호르몬 대체요법으로 대두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연구팀은 국내산 칡에 함유된 여성호르몬 유사물질이 대두보다 최고 300배나 더 많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칡을 이용해 성장촉진과 골다공증 예방치료제 개발에 나설 계획입니다.
KBS뉴스 최성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칡 속에서 성장 호르몬 발견
-
- 입력 2004-07-13 22:02:04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우리나라 야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칡 속에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키고 골다공증치료에 탁월한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최성원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기자: 야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칡입니다.
이 칡을 농축시킨 뒤 실험동물세포에 주입해 봤더니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최고 7배나 증가했습니다.
특히 칡의 새싹 부분에 성장호르몬 유발을 촉진시키는 물질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에는 쥐의 여성호르몬 분비를 막은 뒤 골다공증을 유발시켰습니다.
골다공증쥐의 뒷다리 뼈 안의 골이 사라지고 사이사이에 흰 지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쥐에 칡 농축액을 9주 동안 먹였더니 뼈가 분홍색을 띠며 정상에 가깝게 변했습니다.
여성호르몬을 투약한 쥐에 비해서도 골밀도가 더 촘촘합니다.
⊙하혜경(한의학연구원 연구원): 투여했을 경우에 부작용도 에스트로젠보다 낫고 그래서 골다공증의 예방이나 치료제로 할 수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기자: 외국에서는 여성호르몬 대체요법으로 대두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연구팀은 국내산 칡에 함유된 여성호르몬 유사물질이 대두보다 최고 300배나 더 많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칡을 이용해 성장촉진과 골다공증 예방치료제 개발에 나설 계획입니다.
KBS뉴스 최성원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