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 특사 발표…MB·김경수 등 여야 정치인 대거 포함

입력 2022.12.27 (21:14) 수정 2022.12.28 (07: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1,300여명의 신년 특별사면 대상자를 발표했습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을 비롯해 여야 정치인들이 대거 포함됐고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에 연루됐던 인사들도 대상에 올랐습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복권 없는 사면이 결정됐습니다.

오승목 기잡니다.

[리포트]

다스 비자금 횡령과 삼성 뇌물 등의 혐의로 징역 17년이 확정됐던 이명박 전 대통령.

지난 6월까지 수감 생활을 하다 건강상 이유로 형 집행이 정지됐는데, '신년 특별사면' 대상에 올랐습니다.

남은 형기 15년뿐 아니라, 미납 벌금 82억 원도 면제됐습니다.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징역 2년이 확정됐던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도 사면 대상이 됐습니다.

내년 5월까지 남은 형이 면제됐지만 복권은 되지 않아서 2027년 말까진 공직선거에 나설 수 없습니다.

새해를 앞둔 이번 특별사면 대상자는 1,373명.

정치인과 공직자들이 대거 포함됐는데, 정부는 '국민 통합' 취지를 강조했습니다.

[한동훈/법무부 장관 :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고 과거를 청산하여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해 모두 힘을 함께 모으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습니다."]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건' 연루 인사들도 대부분 포함됐습니다.

김기춘 전 비서실장, 조윤선 전 정무수석을 비롯해, 이른바 '문고리 3인방'으로 불렸던 전 비서관들이 모두 복권됐습니다.

또 국정원 특수활동비를 뇌물로 받은 최경환 전 부총리, 특활비를 청와대 등에 상납한 남재준·이병기·이병호 전 국정원장도 사면·복권됐습니다.

우병우 전 민정수석도 복권됐고, 원세훈 전 국정원장은 형기의 절반이 줄어, 3년 뒤 출소할 수 있게 됐습니다.

김태효 현 국가안보실 1차장도 이명박 정부 당시 군사기밀을 유출했는데, 이번에 사면됐습니다.

여권에서는 김성태 이완영 이병석 최구식 전 의원, 야권에선 전병헌 신계륜 전 의원과 전 광주시장·화순군수가 사면·복권 대상에 올랐습니다.

선거사범 1,200여 명에 대해서도 특별사면이 단행됐지만, 광복절 특사와는 달리 재계 인사와 민생 사범들은 이번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오승목입니다.

촬영기자:김휴동/영상편집:김종선/그래픽:채상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신년 특사 발표…MB·김경수 등 여야 정치인 대거 포함
    • 입력 2022-12-27 21:14:22
    • 수정2022-12-28 07:33:09
    뉴스 9
[앵커]

정부가 1,300여명의 신년 특별사면 대상자를 발표했습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을 비롯해 여야 정치인들이 대거 포함됐고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에 연루됐던 인사들도 대상에 올랐습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복권 없는 사면이 결정됐습니다.

오승목 기잡니다.

[리포트]

다스 비자금 횡령과 삼성 뇌물 등의 혐의로 징역 17년이 확정됐던 이명박 전 대통령.

지난 6월까지 수감 생활을 하다 건강상 이유로 형 집행이 정지됐는데, '신년 특별사면' 대상에 올랐습니다.

남은 형기 15년뿐 아니라, 미납 벌금 82억 원도 면제됐습니다.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징역 2년이 확정됐던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도 사면 대상이 됐습니다.

내년 5월까지 남은 형이 면제됐지만 복권은 되지 않아서 2027년 말까진 공직선거에 나설 수 없습니다.

새해를 앞둔 이번 특별사면 대상자는 1,373명.

정치인과 공직자들이 대거 포함됐는데, 정부는 '국민 통합' 취지를 강조했습니다.

[한동훈/법무부 장관 :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고 과거를 청산하여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해 모두 힘을 함께 모으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습니다."]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건' 연루 인사들도 대부분 포함됐습니다.

김기춘 전 비서실장, 조윤선 전 정무수석을 비롯해, 이른바 '문고리 3인방'으로 불렸던 전 비서관들이 모두 복권됐습니다.

또 국정원 특수활동비를 뇌물로 받은 최경환 전 부총리, 특활비를 청와대 등에 상납한 남재준·이병기·이병호 전 국정원장도 사면·복권됐습니다.

우병우 전 민정수석도 복권됐고, 원세훈 전 국정원장은 형기의 절반이 줄어, 3년 뒤 출소할 수 있게 됐습니다.

김태효 현 국가안보실 1차장도 이명박 정부 당시 군사기밀을 유출했는데, 이번에 사면됐습니다.

여권에서는 김성태 이완영 이병석 최구식 전 의원, 야권에선 전병헌 신계륜 전 의원과 전 광주시장·화순군수가 사면·복권 대상에 올랐습니다.

선거사범 1,200여 명에 대해서도 특별사면이 단행됐지만, 광복절 특사와는 달리 재계 인사와 민생 사범들은 이번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오승목입니다.

촬영기자:김휴동/영상편집:김종선/그래픽:채상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