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 기자 "3명이 외교부에 확인 전화"
입력 2004.07.30 (22:04)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김선일 씨 실종 여부를 외교부에 문의한 AP기자는 모두 3명이었다는 것이 새로 드러났습니다.
국회 국정조사 청문회에서는 외교부에 대한 질타가 거셌습니다.
강석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고 김선일 씨의 피랍 여부를 외교통상부에 문의한 AP통신 기자는 1명이 아니라 3명이었던 사실이 오늘 새롭게 밝혀졌습니다.
⊙김재원(한나라당 의원): 3명의 기자가 외교부에 전화한 것은 맞습니까?
⊙서수경(AP통신 기자/증인): 저는 했습니다.
그리고 최 선배가 한 것도 압니다.
⊙유기홍(열린우리당 의원): 또 한 분이 통화했다고 하는 사실은 어떤 경위로 알게 됐습니까?
⊙서수경(AP통신 기자/증인): 들었습니다.
⊙기자: 동행명령장 발부로 증인으로 출석한 서 기자는 다른 동료기자가 김선일 씨를 거명하며 실종 여부를 물었다고 증언했습니다.
⊙윤호중(열린우리당 의원): 그 전에 질문한 기자가 김선일이라는 말을 했다는 말을 들었다 이런 말씀이시죠?
⊙서수경(AP통신 기자/증인): 그렇죠, 제가 직접 외통부 공관실 전화를 끊자마자 그 기자분과 얘기를 했습니다.
⊙기자: 통화 당사자인 정우진 외무관은 김선일 씨 이름을 듣지 못했다고 밝혀 다른 외교부 직원의 통화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
여야 의원들은 기자 3명의 전화로 외교부가 김선일 씨 피랍사실을 알 자지라가 방송하기 전에 알았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사실 은폐의혹을 집중 추궁했습니다.
⊙장윤석(한나라당 의원): 김선일 피랍 사실을 정부 당국이 확인할 기회가 있었지 않았습니까?
6월 3일날 AP통신으로부터 전화를 받고...
⊙반기문(외교통상부 장관): 그런 기회를 놓쳤던 것 같습니다.
⊙기자: 김 씨 피랍 사실이 알려진 뒤 주이라크 한국대사관이 정확한 피랍일자를 알리지 말라는 문서를 외교통상부 본부에 보낸 사실까지 알려져 외교부의 기강 해이와 직무태만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KBS뉴스 강석훈입니다.
국회 국정조사 청문회에서는 외교부에 대한 질타가 거셌습니다.
강석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고 김선일 씨의 피랍 여부를 외교통상부에 문의한 AP통신 기자는 1명이 아니라 3명이었던 사실이 오늘 새롭게 밝혀졌습니다.
⊙김재원(한나라당 의원): 3명의 기자가 외교부에 전화한 것은 맞습니까?
⊙서수경(AP통신 기자/증인): 저는 했습니다.
그리고 최 선배가 한 것도 압니다.
⊙유기홍(열린우리당 의원): 또 한 분이 통화했다고 하는 사실은 어떤 경위로 알게 됐습니까?
⊙서수경(AP통신 기자/증인): 들었습니다.
⊙기자: 동행명령장 발부로 증인으로 출석한 서 기자는 다른 동료기자가 김선일 씨를 거명하며 실종 여부를 물었다고 증언했습니다.
⊙윤호중(열린우리당 의원): 그 전에 질문한 기자가 김선일이라는 말을 했다는 말을 들었다 이런 말씀이시죠?
⊙서수경(AP통신 기자/증인): 그렇죠, 제가 직접 외통부 공관실 전화를 끊자마자 그 기자분과 얘기를 했습니다.
⊙기자: 통화 당사자인 정우진 외무관은 김선일 씨 이름을 듣지 못했다고 밝혀 다른 외교부 직원의 통화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
여야 의원들은 기자 3명의 전화로 외교부가 김선일 씨 피랍사실을 알 자지라가 방송하기 전에 알았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사실 은폐의혹을 집중 추궁했습니다.
⊙장윤석(한나라당 의원): 김선일 피랍 사실을 정부 당국이 확인할 기회가 있었지 않았습니까?
6월 3일날 AP통신으로부터 전화를 받고...
⊙반기문(외교통상부 장관): 그런 기회를 놓쳤던 것 같습니다.
⊙기자: 김 씨 피랍 사실이 알려진 뒤 주이라크 한국대사관이 정확한 피랍일자를 알리지 말라는 문서를 외교통상부 본부에 보낸 사실까지 알려져 외교부의 기강 해이와 직무태만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KBS뉴스 강석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AP 기자 "3명이 외교부에 확인 전화"
-
- 입력 2004-07-30 22:02:16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김선일 씨 실종 여부를 외교부에 문의한 AP기자는 모두 3명이었다는 것이 새로 드러났습니다.
국회 국정조사 청문회에서는 외교부에 대한 질타가 거셌습니다.
강석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고 김선일 씨의 피랍 여부를 외교통상부에 문의한 AP통신 기자는 1명이 아니라 3명이었던 사실이 오늘 새롭게 밝혀졌습니다.
⊙김재원(한나라당 의원): 3명의 기자가 외교부에 전화한 것은 맞습니까?
⊙서수경(AP통신 기자/증인): 저는 했습니다.
그리고 최 선배가 한 것도 압니다.
⊙유기홍(열린우리당 의원): 또 한 분이 통화했다고 하는 사실은 어떤 경위로 알게 됐습니까?
⊙서수경(AP통신 기자/증인): 들었습니다.
⊙기자: 동행명령장 발부로 증인으로 출석한 서 기자는 다른 동료기자가 김선일 씨를 거명하며 실종 여부를 물었다고 증언했습니다.
⊙윤호중(열린우리당 의원): 그 전에 질문한 기자가 김선일이라는 말을 했다는 말을 들었다 이런 말씀이시죠?
⊙서수경(AP통신 기자/증인): 그렇죠, 제가 직접 외통부 공관실 전화를 끊자마자 그 기자분과 얘기를 했습니다.
⊙기자: 통화 당사자인 정우진 외무관은 김선일 씨 이름을 듣지 못했다고 밝혀 다른 외교부 직원의 통화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
여야 의원들은 기자 3명의 전화로 외교부가 김선일 씨 피랍사실을 알 자지라가 방송하기 전에 알았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사실 은폐의혹을 집중 추궁했습니다.
⊙장윤석(한나라당 의원): 김선일 피랍 사실을 정부 당국이 확인할 기회가 있었지 않았습니까?
6월 3일날 AP통신으로부터 전화를 받고...
⊙반기문(외교통상부 장관): 그런 기회를 놓쳤던 것 같습니다.
⊙기자: 김 씨 피랍 사실이 알려진 뒤 주이라크 한국대사관이 정확한 피랍일자를 알리지 말라는 문서를 외교통상부 본부에 보낸 사실까지 알려져 외교부의 기강 해이와 직무태만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KBS뉴스 강석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