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밀 자료 제출 거부키로
입력 2004.10.07 (21:58)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가기밀 유출 논란을 계기로 정부가 국가안위에 중요한 기밀자료는 제출을 거부하기로 했습니다.
첫 소식으로 김현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오늘 저녁에 모인 총리와 부총리 그리고 책임 장관들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기밀사항이 유출되는 데 대한 우려를 표했습니다.
사실과 다른 내용이 무분별하게 유포돼 안보를 위협하고 국민을 불안하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정부는 따라서 앞으로 국가안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국가기밀에 대해서는 자료제출을 거부하기로 했습니다.
또 국정감사장 등에서 국회의원이 비밀사항에 대한 설명을 요구할 경우 비공개를 요청해 비공개로 보고하도록 했습니다.
⊙이강진(국무총리실 공보수석): 국가기밀이 무분별하게 유포되어 안보를 위협하고 국민의 불안감을 조성할 우려가 있어 정부에서는 부득이 이번 조치를 취하게 되었습니다.
⊙기자: 이에 앞서 이해찬 총리는 김원기 국회의장에게 서한을 보내 정부는 기밀 유출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히고 국회에 대해서도 적절한 대책을 강구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한편 미국에서도 지난 2001년, 정보기관이 9.11테러와 관련해 의회에 보고한 국가기밀이 언론에 보도되자 부시 대통령은 관련자 색출과 보고 거부를 지시했습니다.
결국 격렬한 논란과 여론의 비판 속에 상하 양원 정부위원장이 재발방지를 약속한 이후에나 정보기관들이 의회보고를 재개하게 됐습니다.
KBS뉴스 김현석입니다.
첫 소식으로 김현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오늘 저녁에 모인 총리와 부총리 그리고 책임 장관들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기밀사항이 유출되는 데 대한 우려를 표했습니다.
사실과 다른 내용이 무분별하게 유포돼 안보를 위협하고 국민을 불안하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정부는 따라서 앞으로 국가안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국가기밀에 대해서는 자료제출을 거부하기로 했습니다.
또 국정감사장 등에서 국회의원이 비밀사항에 대한 설명을 요구할 경우 비공개를 요청해 비공개로 보고하도록 했습니다.
⊙이강진(국무총리실 공보수석): 국가기밀이 무분별하게 유포되어 안보를 위협하고 국민의 불안감을 조성할 우려가 있어 정부에서는 부득이 이번 조치를 취하게 되었습니다.
⊙기자: 이에 앞서 이해찬 총리는 김원기 국회의장에게 서한을 보내 정부는 기밀 유출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히고 국회에 대해서도 적절한 대책을 강구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한편 미국에서도 지난 2001년, 정보기관이 9.11테러와 관련해 의회에 보고한 국가기밀이 언론에 보도되자 부시 대통령은 관련자 색출과 보고 거부를 지시했습니다.
결국 격렬한 논란과 여론의 비판 속에 상하 양원 정부위원장이 재발방지를 약속한 이후에나 정보기관들이 의회보고를 재개하게 됐습니다.
KBS뉴스 김현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기밀 자료 제출 거부키로
-
- 입력 2004-10-07 20:59:05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국가기밀 유출 논란을 계기로 정부가 국가안위에 중요한 기밀자료는 제출을 거부하기로 했습니다.
첫 소식으로 김현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오늘 저녁에 모인 총리와 부총리 그리고 책임 장관들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기밀사항이 유출되는 데 대한 우려를 표했습니다.
사실과 다른 내용이 무분별하게 유포돼 안보를 위협하고 국민을 불안하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정부는 따라서 앞으로 국가안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국가기밀에 대해서는 자료제출을 거부하기로 했습니다.
또 국정감사장 등에서 국회의원이 비밀사항에 대한 설명을 요구할 경우 비공개를 요청해 비공개로 보고하도록 했습니다.
⊙이강진(국무총리실 공보수석): 국가기밀이 무분별하게 유포되어 안보를 위협하고 국민의 불안감을 조성할 우려가 있어 정부에서는 부득이 이번 조치를 취하게 되었습니다.
⊙기자: 이에 앞서 이해찬 총리는 김원기 국회의장에게 서한을 보내 정부는 기밀 유출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히고 국회에 대해서도 적절한 대책을 강구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한편 미국에서도 지난 2001년, 정보기관이 9.11테러와 관련해 의회에 보고한 국가기밀이 언론에 보도되자 부시 대통령은 관련자 색출과 보고 거부를 지시했습니다.
결국 격렬한 논란과 여론의 비판 속에 상하 양원 정부위원장이 재발방지를 약속한 이후에나 정보기관들이 의회보고를 재개하게 됐습니다.
KBS뉴스 김현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