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구제, 국가가 나서야 한다

입력 2004.10.07 (21:58)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렇듯 치매문제는 남의 일이 아니지만 정부 대책은 사실상 없다시피한 게 우리 현실입니다.
조기 진단에서 치료에 이르기까지 이제 국가가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이춘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서울국립병원의 한 치매병실.
치매노인을 2년 가까이 모시면서 한 달에 200만원대에 이르는 간병비용으로 가계가 휘청거립니다.
⊙김데레사(서울시 천호동): 너무 힘들고 지치고 그렇다고 해서 의존할 수 있는 그런 것도 아니고...
⊙기자: 92살 양순희 할머니는 지난해 남편과 사별한 뒤 치매로 이곳에 입원해 있지만 건강보험 적용 기간이 끝나 갈 데가 없습니다.
⊙양순희(92세/서울시 역촌동): 병원으로 가든지 저 혼자 있고 아무도 없어요.
⊙김윤경(서울시립 서대문병원 간호사): 건강보험 적용이 석 달밖에 되지 않아 다시 입원하실 경우에 악화되어 오셔서 안타깝습니다.
⊙기자: 이처럼 치매 노인들은 가정에서도 병원에서도 갈 데가 없습니다.
치매환자는 34만명이지만 요양시설은 1만명도 수용할 수 없고 건강보험도 석 달만 적용됩니다.
정부 대책은 사후 진료에 초점이 맞춰져 명목뿐이고 조기 발견까지는 꿈도 꾸지 못합니다.
⊙이은아(서울시립 서대문병원 신경과장): 치매 진단이 늦어지고 큰 문제를 나중에 더 큰 문제를 야기시키는 것이 됩니다.
⊙기자: 미국과 일본, 독일은 건강보험과 재정으로 국가가 진료를 모두 책임집니다.
고령화사회로 급속히 진행되는 한국, 치매정책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으면 그 노인의 비극은 끝이 아닐 것입니다.
KBS뉴스 이춘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치매 구제, 국가가 나서야 한다
    • 입력 2004-10-07 21:20:33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이렇듯 치매문제는 남의 일이 아니지만 정부 대책은 사실상 없다시피한 게 우리 현실입니다. 조기 진단에서 치료에 이르기까지 이제 국가가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이춘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서울국립병원의 한 치매병실. 치매노인을 2년 가까이 모시면서 한 달에 200만원대에 이르는 간병비용으로 가계가 휘청거립니다. ⊙김데레사(서울시 천호동): 너무 힘들고 지치고 그렇다고 해서 의존할 수 있는 그런 것도 아니고... ⊙기자: 92살 양순희 할머니는 지난해 남편과 사별한 뒤 치매로 이곳에 입원해 있지만 건강보험 적용 기간이 끝나 갈 데가 없습니다. ⊙양순희(92세/서울시 역촌동): 병원으로 가든지 저 혼자 있고 아무도 없어요. ⊙김윤경(서울시립 서대문병원 간호사): 건강보험 적용이 석 달밖에 되지 않아 다시 입원하실 경우에 악화되어 오셔서 안타깝습니다. ⊙기자: 이처럼 치매 노인들은 가정에서도 병원에서도 갈 데가 없습니다. 치매환자는 34만명이지만 요양시설은 1만명도 수용할 수 없고 건강보험도 석 달만 적용됩니다. 정부 대책은 사후 진료에 초점이 맞춰져 명목뿐이고 조기 발견까지는 꿈도 꾸지 못합니다. ⊙이은아(서울시립 서대문병원 신경과장): 치매 진단이 늦어지고 큰 문제를 나중에 더 큰 문제를 야기시키는 것이 됩니다. ⊙기자: 미국과 일본, 독일은 건강보험과 재정으로 국가가 진료를 모두 책임집니다. 고령화사회로 급속히 진행되는 한국, 치매정책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으면 그 노인의 비극은 끝이 아닐 것입니다. KBS뉴스 이춘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