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추적]“돈 받고 유기농 인증해 줘”
입력 2004.10.26 (21:58)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제 이 시간에는 풀무원의 가짜유기농 채소가 녹즙용으로 납품됐다는 소식을 전해 드렸습니다마는 이 같은 일이 벌어진 데는 유기농 인증과 관리업무를 맡고 있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도 책임을 면할 수 없습니다.
심지어 돈을 받고 인증을 해 준다는 그런 말도 많습니다.
온갖 비리의혹을 받고 있는 유기농 인증실태를 오늘은 송창언 기자가 현장추적으로 고발합니다.
⊙기자: 수도권에 유기농 채소를 공급하는 시설재배단지입니다.
하지만 이천시 주변에서 헬기로 농약을 뿌리는 항공 방제지역입니다.
때문에 이 농가는 몇 년 동안 애써 시설까지 만들었지만 끝내 유기농 인증을 받지 못했습니다.
이곳에서 20km 떨어진 또 다른 시설 재배단지입니다.
재배시설을 절반밖에 갖추지 못했지만 올 초에 그 어렵다던 유기농 인증을 거뜬히 받아냈습니다.
⊙유기농 재배 농민: 그전에는 노지에서 (시설 없이) 배추도 심고 상추도 심었죠.
⊙일반 재배 농민: 항공 방제 지역이라고...
그런데 어느 지역은 (인증이) 나가고 어느 지역은 안 나가니까 화가 나죠.
⊙기자: 어떻게 된 영문일까?
어디를 찾아봐도 항공방제지역과 관련된 규정은 없습니다.
한마디로 인증책임을 맡고 있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자의적인 판단에 좌우된다는 얘기입니다.
실제로 유기농 현장에서는 관리원측 직원이 바로 규정이자 법으로 통합니다.
⊙기자: 규정이 있는 게 아니라 눈으로 봐서요?
⊙국립농산품물질관리원 관계자: 그렇죠, 우리가 판단해서...
⊙기자: 인증도 그렇지만 사후 관리도 문제입니다.
직원 1명이 인증이나 농가 300여 곳을 담당하다 보니 제대로 된 관리가 이루어질 리가 없습니다.
⊙기자: 검사할 것 아닙니까, 정기적으로?
⊙유기농 재배 농민: 안 나와요.
⊙기자: 아예 안 나와요?
⊙유기농 재배 농민: 어쩌다 한 번씩.
⊙기자: 이러다 보니 가짜 유기농 채소가 버젓이 유통되는 것입니다.
유기농 인증만 받으면 농민들 입장에서 같은 채소라도 앉은 자리에서 값이 두세 배나 뜁니다.
이 같은 현실에서 농민들은 결국 품질관리원 직원들에게 향응과 금품을 건네가며 잘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한 농민이 지난 96년부터 3년 넘게 기록했던 장부입니다.
정기적인 식사대접에 찬조금과 전별금을 준 내역이 고스란히 적혀 있습니다.
⊙농민: 사람 바뀌면 사람 바뀌어서 또 해야 되고 1년에 700~800만원은 들었을 거예요.
⊙기자: 관리원측은 그런 일은 있을 수 없다고 펄쩍 뛰지만 이 같은 유착은 최근까지도 이어지고 있다는 게 이 농민의 주장입니다.
⊙농민: 제가 50만원 준 적도 있고 100만원 준 적도 있어요.
⊙기자: 어떤 성격의 돈이죠?
⊙농민: 모두 뇌물이죠.
⊙기자: 하지만 지금까지 인증과 관련한 출장소들의 비리가 감사에서 적발된 적은 없습니다.
유기농인증에서부터 관리감독까지 부실투성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그 동안 감시의 사각지대였음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송창언입니다.
심지어 돈을 받고 인증을 해 준다는 그런 말도 많습니다.
온갖 비리의혹을 받고 있는 유기농 인증실태를 오늘은 송창언 기자가 현장추적으로 고발합니다.
⊙기자: 수도권에 유기농 채소를 공급하는 시설재배단지입니다.
하지만 이천시 주변에서 헬기로 농약을 뿌리는 항공 방제지역입니다.
때문에 이 농가는 몇 년 동안 애써 시설까지 만들었지만 끝내 유기농 인증을 받지 못했습니다.
이곳에서 20km 떨어진 또 다른 시설 재배단지입니다.
재배시설을 절반밖에 갖추지 못했지만 올 초에 그 어렵다던 유기농 인증을 거뜬히 받아냈습니다.
⊙유기농 재배 농민: 그전에는 노지에서 (시설 없이) 배추도 심고 상추도 심었죠.
⊙일반 재배 농민: 항공 방제 지역이라고...
그런데 어느 지역은 (인증이) 나가고 어느 지역은 안 나가니까 화가 나죠.
⊙기자: 어떻게 된 영문일까?
어디를 찾아봐도 항공방제지역과 관련된 규정은 없습니다.
한마디로 인증책임을 맡고 있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자의적인 판단에 좌우된다는 얘기입니다.
실제로 유기농 현장에서는 관리원측 직원이 바로 규정이자 법으로 통합니다.
⊙기자: 규정이 있는 게 아니라 눈으로 봐서요?
⊙국립농산품물질관리원 관계자: 그렇죠, 우리가 판단해서...
⊙기자: 인증도 그렇지만 사후 관리도 문제입니다.
직원 1명이 인증이나 농가 300여 곳을 담당하다 보니 제대로 된 관리가 이루어질 리가 없습니다.
⊙기자: 검사할 것 아닙니까, 정기적으로?
⊙유기농 재배 농민: 안 나와요.
⊙기자: 아예 안 나와요?
⊙유기농 재배 농민: 어쩌다 한 번씩.
⊙기자: 이러다 보니 가짜 유기농 채소가 버젓이 유통되는 것입니다.
유기농 인증만 받으면 농민들 입장에서 같은 채소라도 앉은 자리에서 값이 두세 배나 뜁니다.
이 같은 현실에서 농민들은 결국 품질관리원 직원들에게 향응과 금품을 건네가며 잘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한 농민이 지난 96년부터 3년 넘게 기록했던 장부입니다.
정기적인 식사대접에 찬조금과 전별금을 준 내역이 고스란히 적혀 있습니다.
⊙농민: 사람 바뀌면 사람 바뀌어서 또 해야 되고 1년에 700~800만원은 들었을 거예요.
⊙기자: 관리원측은 그런 일은 있을 수 없다고 펄쩍 뛰지만 이 같은 유착은 최근까지도 이어지고 있다는 게 이 농민의 주장입니다.
⊙농민: 제가 50만원 준 적도 있고 100만원 준 적도 있어요.
⊙기자: 어떤 성격의 돈이죠?
⊙농민: 모두 뇌물이죠.
⊙기자: 하지만 지금까지 인증과 관련한 출장소들의 비리가 감사에서 적발된 적은 없습니다.
유기농인증에서부터 관리감독까지 부실투성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그 동안 감시의 사각지대였음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송창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추적]“돈 받고 유기농 인증해 줘”
-
- 입력 2004-10-26 21:22:22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어제 이 시간에는 풀무원의 가짜유기농 채소가 녹즙용으로 납품됐다는 소식을 전해 드렸습니다마는 이 같은 일이 벌어진 데는 유기농 인증과 관리업무를 맡고 있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도 책임을 면할 수 없습니다.
심지어 돈을 받고 인증을 해 준다는 그런 말도 많습니다.
온갖 비리의혹을 받고 있는 유기농 인증실태를 오늘은 송창언 기자가 현장추적으로 고발합니다.
⊙기자: 수도권에 유기농 채소를 공급하는 시설재배단지입니다.
하지만 이천시 주변에서 헬기로 농약을 뿌리는 항공 방제지역입니다.
때문에 이 농가는 몇 년 동안 애써 시설까지 만들었지만 끝내 유기농 인증을 받지 못했습니다.
이곳에서 20km 떨어진 또 다른 시설 재배단지입니다.
재배시설을 절반밖에 갖추지 못했지만 올 초에 그 어렵다던 유기농 인증을 거뜬히 받아냈습니다.
⊙유기농 재배 농민: 그전에는 노지에서 (시설 없이) 배추도 심고 상추도 심었죠.
⊙일반 재배 농민: 항공 방제 지역이라고...
그런데 어느 지역은 (인증이) 나가고 어느 지역은 안 나가니까 화가 나죠.
⊙기자: 어떻게 된 영문일까?
어디를 찾아봐도 항공방제지역과 관련된 규정은 없습니다.
한마디로 인증책임을 맡고 있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자의적인 판단에 좌우된다는 얘기입니다.
실제로 유기농 현장에서는 관리원측 직원이 바로 규정이자 법으로 통합니다.
⊙기자: 규정이 있는 게 아니라 눈으로 봐서요?
⊙국립농산품물질관리원 관계자: 그렇죠, 우리가 판단해서...
⊙기자: 인증도 그렇지만 사후 관리도 문제입니다.
직원 1명이 인증이나 농가 300여 곳을 담당하다 보니 제대로 된 관리가 이루어질 리가 없습니다.
⊙기자: 검사할 것 아닙니까, 정기적으로?
⊙유기농 재배 농민: 안 나와요.
⊙기자: 아예 안 나와요?
⊙유기농 재배 농민: 어쩌다 한 번씩.
⊙기자: 이러다 보니 가짜 유기농 채소가 버젓이 유통되는 것입니다.
유기농 인증만 받으면 농민들 입장에서 같은 채소라도 앉은 자리에서 값이 두세 배나 뜁니다.
이 같은 현실에서 농민들은 결국 품질관리원 직원들에게 향응과 금품을 건네가며 잘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한 농민이 지난 96년부터 3년 넘게 기록했던 장부입니다.
정기적인 식사대접에 찬조금과 전별금을 준 내역이 고스란히 적혀 있습니다.
⊙농민: 사람 바뀌면 사람 바뀌어서 또 해야 되고 1년에 700~800만원은 들었을 거예요.
⊙기자: 관리원측은 그런 일은 있을 수 없다고 펄쩍 뛰지만 이 같은 유착은 최근까지도 이어지고 있다는 게 이 농민의 주장입니다.
⊙농민: 제가 50만원 준 적도 있고 100만원 준 적도 있어요.
⊙기자: 어떤 성격의 돈이죠?
⊙농민: 모두 뇌물이죠.
⊙기자: 하지만 지금까지 인증과 관련한 출장소들의 비리가 감사에서 적발된 적은 없습니다.
유기농인증에서부터 관리감독까지 부실투성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그 동안 감시의 사각지대였음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송창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